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식 - 일반ㆍ명리학104

역술인 ② 도계 박재완 (陶溪 朴在玩ㆍ1903~1992ㆍ89세) "도계 박재완 (陶溪 朴在玩ㆍ1903~1992ㆍ향년 89세)"은 용신론의 대가ㆍ명리요강(命理要綱) 저술ㆍ박도사로, 무욕담백한 인품을 통해 명리학자의 품격을 끌어올린 인물이다. "박도사"란 명칭을 들으며, 명성이 자자했는데도 평생에 집 1칸 마련하였다고 한다. 인격이 청렴하고, 올 곧아서 아직도 고매한 인품이 칭송받고 있다. 1. 도계 박재완 (陶溪 朴在玩ㆍ1903~1992ㆍ향년 89세) 명 언 : 운명은 작은 건 인간의 노력으로 바꾸어도, 큰 건 못 바꾼다. (인생의 큰 줄거리는 못 바꾼다는 뜻ㆍ1991년 MBC 방송 "명리학자 박재완") • 출 생 : 1903년 (대구) • 활동지 : 대전 • 호 : 도계(陶溪) • 별 칭 : 득명(得名)ㆍ득령(得靈) • 특 기 : 무욕담백한 인품을 통해 명리학자의 품.. 2022. 12. 23.
역술인 ① 한국 3인방 : 박재완 (도계)ㆍ이석영 (자강)ㆍ박재현 (제산) "한국 근대 3대 역술인ㆍ한국 명리학 3인방"은 "도계 박재완(朴在玩)ㆍ자강 이석영(李錫暎)ㆍ제산 박재현(朴宰顯)"이다. 1. 한국 명리학 3인방 ① 도계 박재완 (陶溪 朴在玩ㆍ1903~1992): 용신론의 대가ㆍ박도사ㆍ활동 : 대전 명리요강(命理要綱) 저술ㆍ무욕담백한 인품을 통해 명리학자의 품격을 끌어올린 인물ㆍ제자 : 노석 유충엽(종로에서 역문관(易門關) 운영)ㆍ조철수 ② 자강 이석영 (自彊 李錫暎ㆍ1920~1983): 신살론의 대가ㆍ활동 : 서울 사주첩경(四柱捷徑ㆍ명리학계의 동의보감) 저술ㆍ제자 : 벽천 김석환 ③ 제산 박재현 (霽山 朴宰顯ㆍ1935~2000) : 물상론의 대가ㆍ부산 박도사ㆍ활동 : 부산 앉은뱅이(6ㆍ25전쟁 중)ㆍ책을 내지도 않았고, 제자도 없음. "삼성" 입사 면접 : "이병철 .. 2022. 12. 23.
명리학 ③ (3대 예언서) 정감록ㆍ격암유록ㆍ송하비결ㆍ만세력 "조선 3대 예언서"로는 "정감록 (도선국사)ㆍ격암유록 (남사고 선생)ㆍ송하비결 (송하 옹)"이 있으며, "원효결서(원효대사)ㆍ무학비결(무학대사)ㆍ채지가ㆍ해월유록" 등도 있다. "만세력 (萬歲曆)"은 조선시대 "역"의 계산방법ㆍ날짜를 알아보는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1. 정감록 (鄭鑑錄ㆍ도선 (道詵ㆍ827∼898ㆍ신라 말 승려)) "정감록"은 양인(兩人)의 문답 외에 "도선(道詵ㆍ827∼898ㆍ신라 말 승려)ㆍ무학(無學ㆍ1327~1405ㆍ조선 초 승려)ㆍ토정(土亭ㆍ이지함ㆍ1517~1578ㆍ조선 중 학자)ㆍ격암(格庵ㆍ남사고ㆍ1509~1571ㆍ조선 중 학자)ㆍ서산대사(西山大師ㆍ휴정ㆍ1520~1604ㆍ조선 중 승려)ㆍ서계(西溪ㆍ박세당ㆍ1629~1703ㆍ조선 후 학자)ㆍ정북창(鄭北窓ㆍ정렴ㆍ1506~1549ㆍ조.. 2022. 12. 22.
명리학 ② 역사ㆍ사주명리 3대 보서 "역학 (易學)"은 접근 방법에 따른 구분을 해 보면, "정신적 분야"와 "학문적 분야"로 나뉠 수 있다. 정신적 분야는 영적(靈的)이거나 직관적(直觀的)으로 인식하게 되는 역학의 분야이다. 협의(狹義)의 "역학(易學)"이라 함은 "주역(周易)"을 일컫는다. 1. 역학 (易學)의 분야 ① 역학의 학문적 분류 • 천학(天學) : 천문학(天文學)으로서, 태을수(太乙數)ㆍ철판신수(鐵板神數)ㆍ자미두수(紫微斗數) 등 • 지학(地學) : 기문둔갑(奇門遁甲)ㆍ풍수지리학(風水地理學)ㆍ가상학(家相學)ㆍ방위학(方位學) 등 • 인학(人學) : 점술학(占術學)으로서, 주역(周易)ㆍ육효(六爻)ㆍ매화역수(梅花易數)ㆍ단시(斷時)ㆍ육임(六壬)ㆍ파자점(破字占)ㆍ황극책수조수(皇極策數組數)ㆍ계의신결(稽疑神訣)ㆍ월령도(月令圖) / 사주학(.. 2022. 12. 22.
명리학 ① 命理學ㆍ사주학 (四柱學)ㆍ60갑자 (10천간+12지지) "명리학"의 궁극적 목적은 "추길피흉(追吉避凶)"이다. 일명 "사주학(四柱學)"이라고도 한다. 사람이 출생한 연월일시(年月日時)의 간지(干支), 8글자에 나타난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의 배합을 "사주(四柱)에 의거하여, 일생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학문"이다. 1. 명리학 (命理學ㆍ일명 사주학 (四柱學)이란? 개인의 사주, 곧 생년월일시를 분석해,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5가지 기운의 배합률(四柱)을 알아낸 다음, 이를 다시 특정 시간을 구성하는 5가지 기운(運勢)의 배합률과 비교하는 학문 체계이다. 그리하여 그 사람의 부귀ㆍ빈천ㆍ부모ㆍ형제ㆍ질병ㆍ직업ㆍ결혼ㆍ성공ㆍ길흉 등의 제반 사항을 판단하는 것이다. 모든 사람은 각각 천문학적 기호로 쓰인 신분증을 하나씩 갖고 있다. 다름 아닌 태어난 연월일시(年月.. 2022. 12. 22.
예절 : 봉투 쓰기ㆍ경조사 호칭ㆍ결혼기념일 1. 일상생활 경조문 • 속지를 쓰고 접을 때, 상대방의 성명에 줄이 안 생기도록 한다. • 봉투는 되도록이면, 붓글씨로 써야 한다. • 축하서신은 속지를 고상하고, 밝은 색을 쓰면 좋다. • 부고장은 가정의례준칙에는 인쇄물에 의한 개별 고지는 금지되어 있다. • 호상은 상주와 의논하여 고인이나 상제와 가까운 친척이나 친지에게 부고를 낸다. • 부고에는 반드시 장일과 장지를 기록해야 한다. 다만, 구두나 사신으로 알리는 것은 허용한다. 2. 편지 봉투를 쓸 때, 이름 아래 붙이는 호칭 • 님 : 순 한글식으로 쓸 때 • 씨 (氏) : 나이나 지위가 비슷한 사람에게 존경의 뜻으로 쓸 때 • 귀하 (貴下): 상대방을 높여 쓸 때 • 귀중 (貴中): 단체에 쓸 때 • 선생 (先生): 은사나 사회적으로 이름난 .. 2022. 10. 15.
예절 : 삼우제(三虞祭)ㆍ49재(49齋)ㆍ칠칠재(77齋) "49재 (49齋)"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으로, 49재가 끝나면 "내세로 떠났다"고 보고 탈상한다.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1. 삼우제 (三虞祭) ① 사람이 죽어서 장사 지낸 뒤, 3번째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오늘날에 와서는 흔히 장사 지낸 후, 3일째 되는 날 "삼우제"만 지내고 있다. ②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고도 한다. 장사 당일 날 지내는 제사는 "초우(初虞)", 다음날 지내는 제사는 "재우(再虞)", 그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삼우(三虞)"라 한다. ③ "초우"는 장사 당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고, "재우ㆍ삼우"는 지방ㆍ문중에 따라 조금씩 .. 2022. 10. 15.
예절 : 죽음을 이르는 말 (별세ㆍ작고ㆍ서거ㆍ영면) "선종 (善終)"이란, 카톨릭에서 임종 때에 성사를 받아,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로, "착하게 살다가 복되게 생을 마친다"는 뜻을 가진 한자성어 "선생복종(善生福終)"의 준말로, 고해성사를 받아 대죄가 없는 상태로 죽었을 때를 말한다. 1. 죽음 : 죽는 일ㆍ생물의 생명이 없어지는 현상 (비슷한 말 : 입몰) • 사망 (死亡): 보통 사람의 죽음 • 운명 (殞命): 사람의 목숨이 끊어짐, 죽음을 완곡하게 표현한 말 • 별세 (別世): 일반적으로 윗사람이 세상을 떠났을 경우에 사용ㆍ세상을 하직한다는 말 • 타계 (他界): 어른이나 귀인(貴人)이 세상을 떠났을 경우에 사용ㆍ인간계를 떠나서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 • 기세 (棄世): 세상을 버린다ㆍ웃어른이 돌아가심을 이르는 말 • 영면 (永眠): 영원.. 2022. 10. 15.
예절 : 나이를 부르는 말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 나는 나이 15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30살에 뜻이 확고하게 섰으며, 40살에는 미혹되지 않았고, 50살에는 하늘의 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으며, 60살에는 남의 말을 듣기만 하면 곧 그 이치를 깨달아 이해하게 되었고, 70살이 되어서는 무엇이든 하고 싶은 대로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 1. 예기 (禮記) : 곡례편 (曲禮篇) • 10세 : 유 (幼) : 이때부터 배우기 시작한다. • 20세 : 약 (弱) : 비로소 갓을 쓴다. • 30세 : 장 (壯) : 집 (家ㆍ妻)을 가진다. • 40세 : 강 (强) : 벼슬을 하는 나이다. • 50세 : 애 (艾) : 관정 (官政)을 맡는다. • 60세 : 기 (耆) : 남을 지시하고 부린다. • 70세 : 노 (老) : 이쯤 .. 2022. 10. 15.
예절 : 직계존속ㆍ직계비속ㆍ호칭 (가족간) "직계존속"이라면, 말 그대로 "직계인 존속" 만을 뜻하므로, 부모ㆍ조 부모 만을 가리킨다. "백부" 등은 "방계존속"이다. 1. 직계존속ㆍ직계비속 • 직계 (直系) : 혈연이 친자 관계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이어져 있는 계통 • 직계존속 (直系尊屬) : 조상으로부터 직계로 내려와 자기에 이르는 사이의 혈족 (부모ㆍ조부모) • 직계비속 (直系卑屬) : 자기로부터 직계로 이어져 내려가는 혈족 (아들ㆍ딸ㆍ손자ㆍ증손) • 방계존속 (傍系尊屬) : 방계 혈족 가운데 자기보다 항렬이 높은 친족 (백부모ㆍ숙부모ㆍ종조부모) • 장인ㆍ장모 : 빙부ㆍ빙모 → "빙 (聘ㆍ부를 빙)"에는 "장가들 빙"의 뜻이 있다. • 백부 : 큰 아버지 / 숙부 : 작은 아버지 / 삼촌 : 아버지의 형제 중, "결혼하지 않은 남자 형제" .. 2022. 10. 15.
과학 : 위도ㆍ경도ㆍ자오선ㆍ북회귀선ㆍ북극권 "위도 (緯度ㆍlatitude)"는 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가로로 된 것으로, 적도로부터 북극(남극) 방향으로 각도로 표현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적도의 북쪽인 북위 33~39°사이에 위치한다. ① 적도 (赤道ㆍequator) 지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지구의 자전축의 수직"이 평면의 지표를 나누는 선ㆍ"적도"는 "위도"의 기준이 되며, "적도의 위도"는 0°이다. "적도"의 북쪽을 "북반구"라 하며, 남쪽은 "남반구"가 된다. "북극점"과 "남극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곳이다. ② 위도 (緯度ㆍ씨줄)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이나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것ㆍ"위도 단위"는 "도(°)"이며, 북극점- "90°N(북위 90도)"부터, 남극점-"90°S(남위 90도)"까지 .. 2022. 10. 15.
과학 : 일식 (日蝕)ㆍ월식 (月蝕) "일식 (日蝕ㆍ해가림ㆍSolar eclipse)"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종류로는 "개기일식ㆍ부분일식ㆍ금환일식"이 있으며, "월식 (月蝕ㆍ달가림ㆍLunar eclipse)"은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현상으로, 종류로는 "개기월식ㆍ부분월식ㆍ반영월식"이 있다. 1. 일식 (日蝕ㆍ해가림ㆍSolar eclipse)ㆍ월식 (月蝕ㆍ달가림ㆍLunar eclipse) ① 일식 (개기일식ㆍ부분일식ㆍ금환일식) •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 • 주로 음력 1일에 발생 • 달의 위상이 "삭(朔ㆍ달이 빛을 비추지 않는 때ㆍ그믐달)"일 때, 발생 ② 월식 (개기월식ㆍ부분월식ㆍ반영월식) •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현상 • 주로 음력 15일에 발생 • 달의 위상이 "망(望ㆍ보름달ㆍ만월(滿月))"일 때, 발생 2. .. 2022.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