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 일반 • 명리학

과학 : 위도ㆍ경도ㆍ자오선ㆍ북회귀선ㆍ북극권

by 당대 제일 2022. 10. 15.
반응형

 

"위도 (緯度latitude)"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가로로 된 것으로, 적도로부터 북극(남극) 방향으로 각도로 표현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적도의 북쪽인 북위 33~39°사이에 위치한다.

 

적도 (赤道equator)

지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지구의 자전축의 수직"이 평면의 지표를 나누는 선"적도""위도"의 기준이 되며, "적도의 위도"이다 "적도"의 북쪽을 "북반구"라 하며, 남쪽은 "남반구"가 된다 "북극점""남극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곳이다.

위도 (緯度씨줄)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이나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것ㆍ"위도 단위""(°)"이며, 북극점- "90°N(북위 90)"부터, 남극점-"90°S(남위 90)"까지 범위 안에 있다.

위도

경도 (經度날줄)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이나 서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것ㆍ "경도 단위"는 도(°)이며, "180°E(동경180)"부터 "180°W(서경 180)"까지의 범위 안에 있다 "경도"의 경우, 자연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하나의 기준이 필요하여, 1884년 국제회의에서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표준으로 삼기로 결정했다.

북위남위 (北緯)

"북위""적도"를 기준으로, "북쪽 90"까지의 위도이며, 범위가 "북반구"와 같다.

북위

동경서경 (東經西經)

"동경""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 180도까지의 경도이다 동쪽 끝인 "동경 180°""서경 180°"와 같은 "경도"이며, 대부분의 "날짜변경선"이 지난다.

자전축 (회전체의 자전축)

회전체의 자전축 : 회전 방향으로 오른손을 감싸 쥐었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자전축 기울기(적도기울기): "천체의 자전축""공전 축"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천체의 적도면""궤도면" 사이의 각도와 같다.

본초 자오선 (本初 子午線)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으로, "경도"의 기준이 된다 현재의 "경도 "1884, 국제회의에서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표준으로 삼기로 결정했다. 1972년 협정, "세계시"로 바뀌기 전까지는 "시간대의 기준"이 되었다.

자오선 (자선- 날짜변경선) :  "12 간지()"에 따른 12시 중, "자시와 오시"를 뜻하는 것으로, ""는 밤12(00), "오시"는 낮 12시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본초자오선""12시와 낮12시가 시작되는 선"이란 의미를 지니는 것이 "그리니치 천문대""12(오선)" 구분 짓는 경계이며, 지구 반대편으로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12(자선- 날짜변경선)" 경계가 존재한다.

본초자오선

 날짜 변경선 (變更線날짜선국제 날짜변경선International Date Line)

"경도 180°"에 대부분이 걸쳐 있는 "가상의 선"이다 "오클랜드 웰링턴" 기점으로 하여, "영국 런던"이 종점이다 "시간"을 구분하기 위한 "인위의 선""시간대"는 기준선인 "그리니치 천문대"의 동쪽서쪽으로 1간대를 갈 때마다, 1시간씩 추가감소(UTC+1UTC-1)되는데, 지구를 동쪽서쪽으로 1바퀴 돌면 출발한 곳의 시간대가 UTC+0이라면, 1바퀴를 돌았을 때는 UTC+24UTC-24와 같이 되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만든 선이다.

그러나, "시베리아의 축치 반도알래스카의 알류샨 열도"가 이 "날짜 변경선"에 걸쳐 있기 때문에 "축치 반도" 쪽의 날짜 변경선은 "동쪽"으로 약간 꺾어지고, "알류샨 열도" 쪽의 날짜 변경선은 "서쪽"으로 약간 꺾어진다 "뉴질랜드 령""채텀 제도" 근처도 같은 이유로, 날짜 변경선이 "동쪽"으로 약간 꺾어진다 1995, 동서 길이가 길며, 섬의 절반은 변경선 서쪽에 있고, 나머지 절반은 동쪽에 있는 "키리바시" 요청으로 날짜 변경선이 이 부근에서 "동쪽"으로 튀어나가게 되었다 그리고, "사모아"2011.12.30.일을 없애고, 날짜변경선을 "사모아 동쪽"으로 이동시켰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동쪽"으로 나오게 되었다.

북회귀선남회귀선 (하지선北回歸線Tropic of Cancer동지선回歸線Tropic of Capricorn)

지구상의 "23°27N""위도선(緯度線)"을 말한다 지구의 "자전축(自轉軸)""공전면(公轉面)"에 대해 "23°27" 기울어져 있다 이 때문에 태양이 머리 위를 통과하는 것은 "춘분(春分)"에는 "적도 상"이며, 그 후 점차 북상해서 "하지(夏至)"에는 "북회귀선"에 도달 한다 (매년 북반구의 여름 하지 때, 태양이 머리 위를 지나며, "하지선(夏至線)"이라고도 한다 그 후 다시 남하해서, "추분(秋分)"에는 "적도 상", 그 후 점차 남하해서 "동지(冬至)"에는 "남회귀선"에 도달한 다음에, 다시 북상한다. (동지선(至線)"이라고도 한다)

"북회귀선"은 태양이 머리 위, 천정을 지나는 가장 "북쪽 지점"을 잇는 위선이다 2011년을 기준으로, "북회귀선""북위 23°26'16"(23.4378°)"을 지난다 "북회귀선"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구 자전축 기울기"의 변화에 따라, 40,000년 주기로 "가량" 변한다. (현재는 1년에 약 15m 가량의 속도로 "남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회귀선

북극권남극권 (北極圈極圈)

"북극권"은 지도 위에 표시된 지구의 주요 "5개 위선" 중 하나이다 2011년을 기준으로, "북위 66°33'44"(66.5622°)"을 지난다 "북극권"은 여름에 해가 지지 않는 "백야 현상" 겨울에 해가 뜨지 않는 "극야 현상"이 일어나는 남쪽 한계이다 "북극권"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구 자전축 기울기"의 변화에 따라 40,000년 주기로 "가량" 변한다. 현재는 1년에 약 15m 가량의 속도로 "북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북극권

대척점 (對蹠點대척지): 통상 지구의 정반대쪽이다.

"대척점 관계"에 있는 두 지역은 서로, "기후시간대낮과 밤" 등의 모든 점에서 반대된다 북반구남반구가 반대이고, 같은 위도값을 가지며, 경도는 동경서경이 반대이고, 180- 경도가 된다 "한반도"와 대척점 관계에 있는 지역은 "우루과이 앞바다(남아메리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대척점"이란, 지구 표면의 어느 한 지점의 "180도 반대방향"에 있는 지점을 가리킨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