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 일반 • 명리학

과학 : 일식 (日蝕)ㆍ월식 (月蝕)

by 당대 제일 2022. 10. 15.
반응형

 

"일식 (日蝕ㆍ해가림ㆍSolar eclipse)"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종류로는 "개기일식부분일식금환일식"이 있으며, "월식 (月蝕ㆍ달가림Lunar eclipse)"은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현상으로, 종류로는 "개기월식부분월식반영월식"이 있다.

 

1. 일식 (日蝕ㆍ해가림ㆍSolar eclipse)월식 (月蝕ㆍ달가림Lunar eclipse)

① 일식 (개기일식ㆍ부분일식ㆍ금환일식)

•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       • 주로 음력 1일에 발생

• 달의 위상이 "삭(朔ㆍ달이 빛을 비추지 않는 때ㆍ그믐달)"일 때, 발생

② 월식 (개기월식ㆍ부분월식ㆍ반영월식)

•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현상       • 주로 음력 15일에 발생

• 달의 위상이 "망(望ㆍ보름달ㆍ만월(滿月))"일 때, 발생

일식과 월식

2. 일식 (개기일식ㆍ부분일식ㆍ금환일식)

① 개기일식 (관찰 가능 시간 : 최대 7분)

• 달이 태양의 모든 면을 다 가려서, 태양이 전혀 보이지 않는 현상     • 평상시에는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코로나"가 육안으로 하얗게 보인다.   • 달은 지구 주위를 타원으로 돌기 때문에, 달과 지구의 거리가 자주 바뀐다.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면 "개기일식"이 보이고, 조금 멀어지면, "금환일식"이 보인다.

관찰 가능 지역 : "달의 본그림자"가 비추어지는 부분

② 부분일식 (관찰 가능 시간 : 지역마다 다름)

• 달이 태양의 일부분만을 가리는 현상 : "달의 본그림자"에 가까울수록, "태양"이 가려진 비율이 점점 높아진다.

• 관찰 가능 지역 : "달의 반그림자"가 비추어지는 부분

③ 금환일식 (관찰 가능 시간 : 최대 12분)

• 달이 태양의 가장자리만 남기고, "태양의 중심"만을 가려, "태양이 반지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

일식

3. 월식 (개기월식ㆍ부분월식ㆍ반영월식)

① 개기월식 (관찰 가능 시간 : 1시간 40분 (100분))

• "지구의 본그림자"가 달을 완전히 가리는 현상. 그렇다고 달이 전혀 안보이지는 것은 아니고, 달이 어둡고 붉은 빛을 띤다.

• "햇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할 때, "햇빛"은 "무지개 빛"으로 변한다. "무지개 빛"으로 바뀔 때, "빨간 빛"만 "지구의 본그림자"로 비추어지기 때문에, "개기월식" 때는 "본그림자"로 완전히 들어간 "달"에 붉은 빛이 비추어지는 것이다.

② 부분월식 (관찰 가능 시간 : 지역마다 다름)

• "지구의 본그림자"가 달의 일부만을 가리는 현상

③ 반영월식 (관찰 가능 시간 : 최대 12분)

• 달이 지구의 흐릿하고, 밝은 "반그림자"에 들어가는 현상

• "반영월식" 때는 "월식이 일어났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반그림자"는 "빛을 받는 그림자"이기 때문에,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갔다 하더라도, "달의 밝기"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월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