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20

사건- 45.08 : 군정 (1945.09.09~1948.08.15)ㆍ해방직후의 활동 처음엔 좌우 관계없는 인사들이 "인민위원회"에서 일을 했지만,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을 했던 사람들과 단체들이 "사회주의 계열"이었고, 인기가 많았기 때문에 "좌익계열 인사들"이 점점 늘어났다. "소련"은 "인민위원회"를 인정했지만, "미국"은 "인민위원회"를 "공산당"으로 간주하며, 이들의 활동을 인정하지 않았다.  • "소련 치스차코프 포고문"의 내용 : 조선의 독립을 축하하고, 건국은 조선인들의 능력에 달려있다   • "미국, 맥아더 포고문"의 내용 : 38선 밑으로는 미국의 "명령"에 따라야 하고, 공용어는 "영어"를 써야 한다. 1. 해방이후 활동 (조선인민공화국ㆍ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5.08.15 : 조선 건국준비위원회 (치안대 조직) → 여운형을 중심으로 발족 • 1945.09.0.. 2022. 11. 9.
친일파 연구 : 임종국 (1929)ㆍ친일파 척결ㆍ부일 협력자 고발자 "임종국 (林鍾國ㆍ1929~1989ㆍ60세)"은 친일파 연구의 전문가로, 그가 행적을 발굴하여, 친일파로 지목한 인물 가운데는 아버지 "임문호"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친일파 연구"가 시작된 지점도 "아버지의 친일 행적"을 밝히는 것이었다. 1. 임종국 (林鍾國ㆍ1929~1989ㆍ향년 60세)부일 협력자 고발자ㆍ친일파 연구의 전문가ㆍ민족정기 회복하려 했던 재야 운동가ㆍ역사학자ㆍ문학평론가ㆍ그가 행적을 발굴하여, 친일파로 지목한 인물 가운데는 아버지 "임문호"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친일파 연구"가 시작된 지점도 "아버지의 친일 행적"을 밝히는 것이었다. • 출 생 : 경남 창녕군 신당리 • 사 망 : 서울 순천향 병원 • 학 력 : 1952년, 고려대 정치학과 입학ㆍ2년 후 중퇴ㆍ19.. 2022. 11. 9.
교수 : 마광수 (1951)ㆍ연세대ㆍ즐거운 사라ㆍ가자 장미여관으로 "마광수 (馬光洙ㆍ1951~2017ㆍ66세ㆍ호 : 광마(狂馬))"는 "연세대 국어국문학과"를 수석으로 입학ㆍ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윤동주 시인"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최연소(27세) 연세대 교수가 되었다. 1977년 청록파 시인 "박두진"의 추천으로 등단했다. 1. 마광수 (馬光洙ㆍ1951~2017ㆍ향년 66세ㆍ호- 광마(狂馬)) 연세대 교수(최연소 27세)ㆍ국어국문학자ㆍ저술가ㆍ화가ㆍ소설가ㆍ수필가ㆍ시인ㆍ문학평론가ㆍ"홍익대 국어교육학과 전임강사"로 임용되었고, 1984년부터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지내며, 한국 문학의 지나친 교훈성과 위선을 비판하고 풍자하였다.  "연세대"에서 교양과목 "연극의 이해ㆍ문학과 성"을 가르쳤다.  1991년 출판한 "즐거운 사라"의 외설 논란으로 1992.. 2022. 11. 9.
교수 : 김동길 (1928)ㆍ방송인 겸 시사평론가ㆍ연세대 부총장ㆍ김옥길 "김동길 (金東吉ㆍ1928~2022ㆍ94세ㆍ독신)"은 평생 100권이 넘는 책을 출판했다. 모두 수필ㆍ신문칼럼을 모은 산문집들로, 문장력이 뛰어나고 사람들에게 쉽게 술술 읽히는 수필로 한때는 상당히 잘 팔리는 베스트셀러 저자였다. 특히 "미국 보스턴 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할 당시, 연구 주제가 "링컨"이었기에 그의 일생을 간략히 요약한 그의 대표작인 "링컨의 일생"을 펴내기도 했다. 신랄한 "풍자ㆍ해학"으로 인하여 학생들로부터 인기 있는 교수였다. 1. 김동길 (金東吉ㆍ1928~2022ㆍ향년 94세ㆍ호- 산남(山南)ㆍ독신) 연세대 사학과 교수ㆍ연세대 부총장ㆍ국회의원(14대 국민당)ㆍ신민당 대표최고위원ㆍ조선일보 논설고문ㆍ자유민주연합 상임고문ㆍ시민사회단체 운동ㆍ방송인 겸 시사평론가ㆍ수필가ㆍ시인ㆍ김병두(원.. 2022. 11. 9.
교수 : 김옥길 (1921)ㆍ이화여대 총장(1961~1979)ㆍ김동길 누나 "김옥길 (金玉吉ㆍ1921~1990ㆍ69세ㆍ독신)"은 이화여대총장(1961~1979)ㆍ문교부 장관(1979~1980)이다. 1943년, 모교인 "이화여자전문학교 기숙사 사감"으로 시작, 1952년부터 "기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61년 "김활란 총장(金活蘭ㆍ1899~1970ㆍ71세)"의 후임으로 "총장(제8대)"에 선임된 이래 18년간 총장직을 역임하였다.1. 김옥길 (金玉吉ㆍ1921~1990ㆍ향년 69세ㆍ독신)이화여대 총장(1961~1979)ㆍ문교부 장관(1979~1980)ㆍ김동길의 누나ㆍ김병두(원남면장)의 장녀 •  출 생 : 평남 맹산군 원남면 향평리    •  사 망 : 서울 서대문구 대신동 92번지 (현, 김옥길 기념관)     •  사 인 : 직장암•  학 력 : 이화여자전문학교 (.. 2022. 11. 9.
인권 운동가 : 2020.06.10일, 6ㆍ10 민주항쟁 (33주년)에서 인권 운동가는 "배은심(1940~2022ㆍ82세)ㆍ박정기(1929~2018ㆍ89세)ㆍ이소선(1929~2011ㆍ82세)ㆍ조영래 변호사(1947~1990ㆍ43세)ㆍ박형규 목사(1923~2016ㆍ93세)ㆍ지학순 주교(1921~1993ㆍ72세)ㆍ조비오 신부(1938~2016ㆍ78세(조철현))ㆍ성유보(1943~2014ㆍ71세)ㆍ김진균 교수(1937~2004ㆍ67세)ㆍ김찬국 총장(1927~2009ㆍ82세)ㆍ권종대(1936~2004ㆍ68세)ㆍ황인철 변호사(1940~1993ㆍ53세)"이다. 인권 운동가 : 2020.06.10일ㆍ "국민훈장 모란장" 수여 >• 배은심 (1940~2022ㆍ82세ㆍ이한열 열사 어머니ㆍ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명예회장) : 아들 이한열을 황망하게 떠나보낸 뒤, 한 해 전에 만들어진 "유가협"에.. 2022. 11. 8.
3공 저항 : 박노해 (1957)ㆍ얼굴 없는 시인 (노동의 새벽)ㆍ사노맹결성 "박노해 (朴勞解ㆍ본명 : 박기평(朴基平)ㆍ1957~ )"는 1984년(27살)에 쓴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은 금서였음에도 100만 부가 발간되었으며, 이때부터 "얼굴 없는 시인"으로 불렸다. 1991년, 사형을 구형받고 환히 웃던 모습은 강렬한 기억으로 남았다. 무기수로 감옥 독방에서 독서ㆍ집필을 이어갔고, 7년 6개월 만에 석방되었다. 1. 박노해 (朴勞解ㆍ본명 : 박기평(朴基平)ㆍ1957~ )시인ㆍ노동운동가ㆍ사회주의혁명가ㆍ평화운동가ㆍ사진작가•  출 생 : 전남 함평군     •  별 칭 : 얼굴 없는 시인ㆍ박노해 : 박해받는 노동자의 해방을 위하여를 줄인 것 •  학 력 : 선린상고(야간부)     •  경 력 : 1985년 : 서울노동운동연합(서노련) 중앙위원 → 1989년 : 남한사회주의노동자.. 2022. 11. 8.
3공 저항 : 김민기 (가수ㆍ1951)ㆍ서울대 미학과 (美學科) 출신? 노래 "아침이슬" 작곡가로 유명한  69 학번 : 김민기 (金敏基ㆍ1951)는 "서울대 회화학과" 출신이다.  "서울대 미학과 (美學科) 출신자"로는, "59학번 : 김지하 (金芝河ㆍ1941)ㆍ67학번 : 유홍준 (兪弘濬ㆍ1949 )ㆍ82학번 : 진중권 (陳重權ㆍ1963)ㆍ91 학번 : 방시혁 (房時爀ㆍ1972)ㆍ94학번 : 변희재 (邊熙宰ㆍ1974 )"이 있다. 1. 서울대 미학과 출신• 59 학번 : 김지하 (金芝河ㆍ본명 : 김영일(金英一)ㆍ1941~2022ㆍ81세) : 박경리(소설가) 사위ㆍ1970년대 유신 시대를 대표 문인ㆍ타는 목마름으로ㆍ오적)• 67 학번 : 유홍준 (兪弘濬ㆍ1949~ ) : 미술사학자ㆍ교수ㆍ문화재청 청장ㆍ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2 학번 : 진중권 (陳重權ㆍ1963~ ) : 문.. 2022. 11. 8.
3공 저항 : 김지하 (1941)ㆍ타는 목마름으로ㆍ오적(五賊) "김지하 (金芝河ㆍ본명 : 김영일(金英一)ㆍ1941~2022ㆍ81세)"는 필명이 "지하(地下)"였는데, 이것이 굳어져서 이름처럼 사용되면서, 이름을 "지하(芝河)"로 변경하게 되었고, 1975년, "타는 목마름으로"가 발표되었다. "4ㆍ19혁명"이후, 학생운동을 시작했으며, 1964년 "6ㆍ3항쟁"에 참여ㆍ수감ㆍ4개월간 복역했다. 1970년, 저항시 "오적(五賊)"을 발표ㆍ독재에 항거하다가 정권의 눈밖에 나서 "필화"를 입었고, 반공법 위반으로 서울구치소에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971년, "가수 김민기(金敏基ㆍ1951ㆍ아침이슬 작곡가)"와 함께 야학 활동을 시작했다. 1973년, "김영주(소설가 박경리 딸)"과 결혼했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까지 언도받았다가, 1980년에.. 2022. 11. 8.
3공 저항 : 백기완 (1932)ㆍ임을 위한 행진곡ㆍ장산곶매 이야기 1981.05월에 발표된, 1980년,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을 추모하는 노래이자,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민중가요인 "임을 위한 행진곡"은 "백기완 (白基琓ㆍ1932~2021ㆍ89세)"의 미발표 장시 "묏비나리 (1980.12)"의 한 부분을 "황석영(黃晳暎ㆍ1943 ~ ㆍ소설가ㆍ장길산ㆍ무기의 그늘ㆍ손님)"이 차용하여 가사를 지었다. 1. 백기완 (白基琓ㆍ1932~2021ㆍ향년 89세)시문학가ㆍ소설가ㆍ작가ㆍ시민사회운동가ㆍ통일운동가ㆍ1964년, "한일회담 반대운동"에 참여한 이래, "반독재 민주화운동ㆍ통일운동ㆍ노동운동" 등에 참여ㆍ"장산곶매 이야기ㆍ우리 겨레 위대한 이야기" 등을 써서, 왕성한 저술 활동ㆍ1987년(13대)ㆍ1992년(14대)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 후보로 출마, 중도사퇴하거나 낙선.. 2022. 11. 8.
3공 저항 : 문익환 (1918)ㆍ성서학자ㆍ배우 문성근(3남) 아버지 "문익환 (文益煥ㆍ1918~1994ㆍ76세)"목사는  1989년, "통일이 없으면, 민주주의도 없다"는 당시 진보 기독교인들의 인식에 따라, 북한을 방문하여, "김일성 주석"과 회담하고 귀국하였다. 그러나 정부와 사전협의 없이 독자적으로 방북했으며, "평양 도착" 성명에서 "존경하는 김일성 주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한국정부를 일방적으로 비방했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상의 "반국가단체 잠입죄"로 투옥되어, 1993년 석방되었다. 1. 문익환 (文益煥ㆍ1918~1994ㆍ향년 76세)목사 (성서학자ㆍ한국기독교장로회)ㆍ한신대학교 교수ㆍ통일운동가ㆍ사회운동가ㆍ시인ㆍ작사가ㆍ문재린 목사의 아들ㆍ배우 문성근(3남)의 아버지ㆍ박용길 장로(부인)와 문동환 목사(동생)도 함께 민주화 운동에 헌신ㆍ늦은 나이에 운동권에 참여하.. 2022. 11. 8.
3공 저항 : 장준하 (1918)ㆍ김구 비서ㆍ의문 추락사 (약사봉)ㆍ사상계 "장준하 (張俊河ㆍ1918~1975ㆍ57세)"는 김구 비서ㆍ한국광복군 출신으로,  3공화국 시절, 민주화운동 참가로 10여 차례 투옥됐으며, 1975년 "유신체제 반대운동"을 주도하던 중, 의문의 등산 사고(약사봉(경기도 포천군)에서 의문 추락사)로 사망했다.. 1. 장준하 (張俊河ㆍ1918~1975ㆍ향년 57세) 김구 비서ㆍ한국광복군ㆍ민족청년단(이범석)활동ㆍ국회의원(7대)ㆍ언론인(월간 사상계ㆍ잡지 등불)ㆍ교사(정주군 신안소학교)ㆍ민족주의자ㆍ제1공화국 공무원 (서기관ㆍ문교부 국민정신계몽 담당관ㆍ문교부 국민사상연구원 기획과장ㆍ제2공화국 공무원 (문교부 대학교육심의회 의원ㆍ국토건설단 기획부장ㆍ국토건설단장)ㆍ통일당 최고위원 •  출 생 : 평북 의주군     •  사 망 :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 (약사봉에서 .. 2022.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