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33

사건- 1931.09 : 만주사변 → 중국과 "15년 전쟁"의 시작 "만주 사변 (滿洲事變, 9ㆍ18사변)"은 1931.09.18일, 일본 제국이 "류탸오후 사건 (柳條湖事件ㆍ만철 폭파 사건)"을 조작해, 일본 관동군이 만주를 중국 침략을 위한 전쟁의 병참 기지로 만들고, 식민지화하기 위해 벌인 침략 전쟁을 말한다. "만주 사변"은 1945년까지 계속된 중국과의 "15년 전쟁"의 시작이며, 제2차 세계대전의 서곡(序曲)을 이룬다. 1.  만주 사변 (滿洲事變, 9ㆍ18사변ㆍ1931.09.18~1932.02.18ㆍ15년 전쟁의 시작)•  일 시 : 1931.09.18~ 1932.02.18         •  장 소 : 만주ㆍ중국 •  결 과 : 일본 승리         • 교 전 : 중화민국(국민혁명군) - 일본제국 육군 • 지 휘 : 중화민국- 장쉐량ㆍ마잔산ㆍ펑잔하이 -.. 2022. 10. 8.
사건- 1929.11 : 광주학생 독립운동 "광주학생 독립운동"은 1919년 "3ㆍ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대중적 항일 운동"으로 꼽힌다. (3ㆍ1운동 10년 후) 1953.10월, "국회 본회의"에서 "윤택중 의원 (한국민주당)"의 제안으로, "만장일치"로 "학생의 날"이 가결되었고, 2006년, 11.03일 "학생독립운동기념일"로 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1. 광주학생 독립운동ㆍ광주학생 항일운동1929.11.03일, "광주 시내"에서 일어난 "일본 학생"의 "한국 여학생 희롱"으로 일어난 "조선 학생ㆍ일본 학생" 간 충돌로 시작되었다. 1929.11.12일, "광주지역학생 대시위 운동"을 거쳐, "호남지역" 일대로 확산되고, 다른 한편으로 "서울"을 거쳐, 1929.11월 말에서 1930.03월이나 05월까지 "전국"으로 확산된 "학생독.. 2022. 10. 7.
사건- 1927.02 : 신간회 (新幹會)→ 좌ㆍ우익 내부분열로 해산 "신간회 (新幹會)"는 "좌ㆍ우익 (민족주의ㆍ사회주의) 세력"이 합작해 결성한 대표적인 "항일단체"로, "민족유일당 민족협동전선"이라는 표어 아래, "조선민족 운동의 대표단체"로 발족하여, 독립운동 가운데 커다란 의의를 가진다. "일제"로부터 탄압받아 해산된 것이 아닌, "좌ㆍ우 내부분열에 의해 해산되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1. 신간회 (新幹會) : 1927.02.15~ 1931.05.15본래 "지하 비밀결사 단체"가 아닌, "합법적으로 항일독립"을 전개한 단체로, 합법 단체인 까닭에 "일제 당국"의 탄압 하에서, 기대한 만큼의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없는 약점이 있었다. 내부적으로는 "좌ㆍ우익"의 갈등은 적잖게 있었다. "비타협 민족주의자ㆍ사회주의자ㆍ천도교(구파)ㆍ기타 종교계" 등 각계각층.. 2022. 10. 7.
사건- 1926.06 : 6ㆍ10 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 "6ㆍ10 만세운동 (병인만세운동)"은 "3ㆍ1운동"을 잇는 전국적ㆍ전 민중적인 항일운동으로, "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독립운동이며,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되었다. 1926년이 간지로 "병인년"이므로, "병인만세운동"으로 불리기도 한다. 1.  6ㆍ10 만세운동 (六十萬歲運動ㆍ병인만세운동)학생들에 의해 독자적으로 계획ㆍ추진된 운동으로, "3ㆍ1운동" 이후 꾸준히 다져온 "결사ㆍ동맹휴학ㆍ계몽활동" 등의 학생운동이 결집된 결과로 나타난 항일운동이었다. 침체된 "민족운동"에 새로운 활기를 안겨주었고, "3ㆍ1운동(1919년)"과 "광주학생운동 (1929년)"의 교량 구실을 담당하여, 꺼지지 않는 민족 독립운동사의 큰 횃불이 되었다."군중의 호응"으로 시위가 확대되었으나, 조직 사이의 유대 결여ㆍ민족진영의.. 2022. 10. 7.
정도전 ⑤ 삼봉 (三峰)의 생애ㆍ죽음 "정도전 (鄭道傳ㆍ1342~ 398ㆍ56세)"의 집안은 본래 "봉화지역"의 "향리(鄕吏)"였다. "고려시대"까지의 "향리(鄕吏)"는 "조선시대"의 "향리"와는 그 격(格)이 달라, 지방의 토착세력을 말한다. 정도전 집안은 "경상도 봉화(奉化)지역"의 "토착세력"인 셈이다. 1. 생 애아버지가 "이곡(李穀)"과 나이를 잊은 두터운 친교가 있었기 때문에. "이곡"의 아들 "목은 이색(李穡)"과 가깝게 지낼 수 있었고, "성균관 진사"로서 "목은 이색"의 제자가 되었다. "이색"은 우리나라 초기 성리학자로 "안향(安珦)ㆍ백이정(白邇正)ㆍ이곡ㆍ이제현(李濟賢)"의 학맥을 계승한 인물이다. 그 후 성균관에서 "이색"과 스승과 제자로 다시 만나, 성리학에 대하여 한층 심도 있는 연구를 하였다."이색(李穡)"의 문하로.. 2022. 10. 7.
정도전 ④ 건국 : 주요 인물은 누구? (이성계ㆍ최영) "태조 이성계 (太祖ㆍ1335~1408ㆍ재위 1392~1398(6년)ㆍ73세)"는 당시 "신흥 무인"의 대표였고, 고려 말, "급진 사대부"의 수장이었고, 이에 비해 "최영 (崔瑩ㆍ1316년~1388ㆍ72세)"은 고려 정통 귀족가문의 후예였고, 권문세족과 깊이 연관된 "친원파"였다 1. 이성계 - 최영 관계 "이성계"는 당시 "신흥 무인"의 대표였고, 고려 말, "급진사대부"의 수장이었다. 이성계 조상은 본래 "전주"에서 살다가 "강원도"를 거쳐 "함경도 지방"으로 옮겨가 그 지역의 유력자로 성장했다. 그러나 "원나라"가 그 지역을 공격했을 때, "이안사(이성계 고조부)"는 이에 항복했고, 그 후 대대로 "원나라"의 관리를 지냈다. 그러나 "원" 쇠퇴기에 "공민왕"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할 때, 아버.. 2022. 10. 7.
정도전 ③ 관계 : 정몽주ㆍ이방원ㆍ이성계 "정도전 (鄭道傳ㆍ1342~ 398ㆍ56세)"은 "정몽주 (鄭夢周)"와 함께, "조선 주자학 (朱子學)"의 첫머리에 놓이는데, 그는조선 건국을 설계한 기획자이자, "역성혁명 (易姓革命)"을 주도한 혁명가였고, "주자학 (朱子學)"을 통치 원리로 세운 "유학 (儒學)"의 대가였다. 그러나 그는 "조선왕조" 500년 내내, "간신 (奸臣)"으로 낙인찍혀 배척당했고, 조선 건국세력과 대립한 "정몽주"는 뒷날 "조선 주자학 (朱子學)"의 우두머리로 등극한다. 1. 정도전의 개혁ㆍ이방원의 개혁① 정도전의 개혁정도전은 "정치의 근본이 민(民)"이라고 했다. "유교정치"의 원리인 셈이다. 권력이 이곳에서 출발하고, 통치자가 민심(民心)을 잃으면 덕(德)이 있는 다른 사람에게 권력을 넘긴다. 그래야만 "이성계"가 국왕.. 2022. 10. 7.
정도전 ② 평가ㆍ경복궁 (근정전ㆍ강녕전) 뜻 "정도전 (鄭道傳ㆍ1342~ 398ㆍ56세)"은 조선 건국 직후부터, "참모" 역할을 버리고, 실질적 "주상의 길"을 걸은 것, "주원장"과의 대결에 집중하느라, "이방원"의 야심을 확실히 견제하지 못한 것들이 건국 6년 만에 그가 허무하게 무너지게 만든 핵심 요인들이었다. 1. 평 가① 역사에서 보기 드문 "참모"였다."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를 창업했을 뿐만 아니라, 새 왕조의 "건국이념ㆍ대외관계ㆍ경제체제ㆍ정치체제ㆍ사회체제ㆍ종교철학ㆍ도시구조" 등을 거의 혼자 힘으로 설계했다. 그는 중국의 전설적 참모인 "주공단ㆍ장량(장자방)ㆍ주은래(저우언라이)"등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다. 어쩌면 이들보다 더 나았는지도 모른다. 이들은 "정도전"처럼 국가의 구도를 전면적으로 설계하지는 못했다. 이들이 더 나은 .. 2022. 10. 7.
정도전 ① 조선의 설계자ㆍ밀본 (密本)ㆍ육룡이 나르샤 "정도전 (鄭道傳ㆍ1342~ 398ㆍ56세)"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되는 격동의 시기에 역사의 중심에서, 새 왕조를 설계한 인물로, "조선의 설계자ㆍ최고의 혁명가"이다. 그러나 자신이 꿈꾸던 "성리학적 이상세계"의 실현을 보지 못하고, 끝내는 정적인 "태종(이방원)"의 칼에 단죄되어, 조선 왕조의 끝자락에 가서야, 겨우 신원(伸寃)되는 극단적인 삶을 살았다. 1. 정도전 (鄭道傳ㆍ1342~ 1398ㆍ향년 56세ㆍ호 : 삼봉 (三峰)) 이성계 (1335~1408ㆍ73세)ㆍ정몽주(1337~1392ㆍ55세)ㆍ이방원 (태종ㆍ1367~1422ㆍ55세)조선개국(1392)시, 50세ㆍ고려 말~조선 초 문신ㆍ유학자ㆍ외교관ㆍ정치가ㆍ사상가ㆍ혁명가ㆍ조선 초기 성리학자(性理學者)의 한사람ㆍ유학(儒學)의 대가(大家)ㆍ지방 향.. 2022. 10. 7.
사건- 1919.03 : 3ㆍ1운동 ⑤ 유관순 열사가 받은 고문 독립 운동가 "유관순 (柳寬順ㆍ1902~ 1920ㆍ18세)"열사는 검거 당시에 16세였으며, 18세 생일을 맞이하기 3개월 전, "경성부 서대문형무소"에 사망하였다.1. 유관순 (柳寬順ㆍ1902.12.16~1920.09.28ㆍ향년 17세)1916년, "미국인 선교사"의 추천으로 "이화학당 초등부 3학년"에 편입하고, 1919년에 "이화학당 고등부"에 진학하였다. 1919년 3ㆍ1운동에 참여하고, 03.05일의 만세 시위에도 참여하였다."총독부"의 휴교령으로 "천안"으로 내려와, 후속 만세 시위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가, 일제에 체포되어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형을 선고받고 항소하였고,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아 형이 확정되었으나, "법정모독죄"가 추가되어, 5년형으로 늘어났으며, 교도소.. 2022. 10. 6.
사건- 1919.03 : 3ㆍ1운동 ④ 보성사 (독립선언서 인쇄) "보성사(普成社)"는 1919년 3ㆍ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인쇄했던 곳이다. "사장 이종일ㆍ공장감독 김홍규ㆍ총무 장효근"이 1919.02.27일 밤에 35,000매를 인쇄하였다. 1919.06.28일 밤에 불을 질러 태워버렸다. 1. 보성사 (普成社)보성사는 "30평 2층 기와벽돌집"으로 "전동 보성학교" 구내(현재 홰나무가 있는 조계사 경내)에 있었으며, 보성사의 소유주이기도 했던 "천도교 교주" "의암 손병희"의 특명으로, "육당 최남선"이 초안을 집필하고,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한 독립선언서를 넘겨받아,"사장 이종일ㆍ공장감독 김홍규ㆍ총무 장효근"이 1919.02.27일 밤에 35,000매를 인쇄하였다. 일본 측의 형사에게 발각되는 위기도 있었으나, "족보책"이라고 위장하여 위기를 넘겼다.03... 2022. 10. 6.
사건- 1919.03 : 3ㆍ1운동 ③ 당시 세계 정세 요약 "일본 메이지 유신ㆍ명치유신(明治維新)ㆍ 1868~1889 "의 과정은 개국ㆍ도쿠가와 막부의 붕괴ㆍ천황 중심 통일국가의 형성과 그에 따른 신정책의 실시로 나누어볼 수 있다. "막부체제"를 해체하고, "왕정복고"를 통한 중앙통일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한다. 1. 1868~1889 : 일본 메이지 유신ㆍ명치유신(明治維新)ㆍ1912년 메이지 천황사망"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리고, "천황 친정형태의 통일국가를 형성시킨 근대 일본의 정치ㆍ사회적 변혁이다. "메이지 유신"의 과정은 개국ㆍ도쿠가와 막부의 붕괴ㆍ천황 중심 통일국가의 형성과 그에 따른 신정책의 실시로 나누어볼 수 있다. "막부체제"를 해체하고, "왕정복고"를 통한 중앙통일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한다."메이지.. 2022.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