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근 • 현대사)462

교수 : 김동길 (1928)ㆍ방송인 겸 시사평론가ㆍ연세대 부총장ㆍ김옥길 "김동길 (金東吉ㆍ1928~2022ㆍ94세ㆍ독신)"은 평생 100권이 넘는 책을 출판했다. 모두 수필ㆍ신문칼럼을 모은 산문집들로, 문장력이 뛰어나고 사람들에게 쉽게 술술 읽히는 수필로 한때는 상당히 잘 팔리는 베스트셀러 저자였다. 특히 "미국 보스턴 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할 당시, 연구 주제가 "링컨"이었기에 그의 일생을 간략히 요약한 그의 대표작인 "링컨의 일생"을 펴내기도 했다. 신랄한 "풍자ㆍ해학"으로 인하여 학생들로부터 인기 있는 교수였다. 1. 김동길 (金東吉ㆍ1928~2022ㆍ향년 94세ㆍ호- 산남(山南)ㆍ독신) 연세대 사학과 교수ㆍ연세대 부총장ㆍ국회의원(14대 국민당)ㆍ신민당 대표최고위원ㆍ조선일보 논설고문ㆍ자유민주연합 상임고문ㆍ시민사회단체 운동ㆍ방송인 겸 시사평론가ㆍ수필가ㆍ시인ㆍ김병두(원.. 2022. 11. 9.
교수 : 김옥길 (1921)ㆍ이화여대 총장(1961~1979)ㆍ김동길 누나 "김옥길 (金玉吉ㆍ1921~1990ㆍ69세ㆍ독신)"은 이화여대총장(1961~1979)ㆍ문교부 장관(1979~1980)이다. 1943년, 모교인 "이화여자전문학교 기숙사 사감"으로 시작, 1952년부터 "기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61년 "김활란 총장(金活蘭ㆍ1899~1970ㆍ71세)"의 후임으로 "총장(제8대)"에 선임된 이래 18년간 총장직을 역임하였다.1. 김옥길 (金玉吉ㆍ1921~1990ㆍ향년 69세ㆍ독신)이화여대 총장(1961~1979)ㆍ문교부 장관(1979~1980)ㆍ김동길의 누나ㆍ김병두(원남면장)의 장녀 •  출 생 : 평남 맹산군 원남면 향평리    •  사 망 : 서울 서대문구 대신동 92번지 (현, 김옥길 기념관)     •  사 인 : 직장암•  학 력 : 이화여자전문학교 (.. 2022. 11. 9.
인권 운동가 : 2020.06.10일, 6ㆍ10 민주항쟁 (33주년)에서 인권 운동가는 "배은심(1940~2022ㆍ82세)ㆍ박정기(1929~2018ㆍ89세)ㆍ이소선(1929~2011ㆍ82세)ㆍ조영래 변호사(1947~1990ㆍ43세)ㆍ박형규 목사(1923~2016ㆍ93세)ㆍ지학순 주교(1921~1993ㆍ72세)ㆍ조비오 신부(1938~2016ㆍ78세(조철현))ㆍ성유보(1943~2014ㆍ71세)ㆍ김진균 교수(1937~2004ㆍ67세)ㆍ김찬국 총장(1927~2009ㆍ82세)ㆍ권종대(1936~2004ㆍ68세)ㆍ황인철 변호사(1940~1993ㆍ53세)"이다. 인권 운동가 : 2020.06.10일ㆍ "국민훈장 모란장" 수여 >• 배은심 (1940~2022ㆍ82세ㆍ이한열 열사 어머니ㆍ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명예회장) : 아들 이한열을 황망하게 떠나보낸 뒤, 한 해 전에 만들어진 "유가협"에.. 2022. 11. 8.
3공 저항 : 박노해 (1957)ㆍ얼굴 없는 시인 (노동의 새벽)ㆍ사노맹결성 "박노해 (朴勞解ㆍ본명 : 박기평(朴基平)ㆍ1957~ )"는 1984년(27살)에 쓴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은 금서였음에도 100만 부가 발간되었으며, 이때부터 "얼굴 없는 시인"으로 불렸다. 1991년, 사형을 구형받고 환히 웃던 모습은 강렬한 기억으로 남았다. 무기수로 감옥 독방에서 독서ㆍ집필을 이어갔고, 7년 6개월 만에 석방되었다. 1. 박노해 (朴勞解ㆍ본명 : 박기평(朴基平)ㆍ1957~ )시인ㆍ노동운동가ㆍ사회주의혁명가ㆍ평화운동가ㆍ사진작가•  출 생 : 전남 함평군     •  별 칭 : 얼굴 없는 시인ㆍ박노해 : 박해받는 노동자의 해방을 위하여를 줄인 것 •  학 력 : 선린상고(야간부)     •  경 력 : 1985년 : 서울노동운동연합(서노련) 중앙위원 → 1989년 : 남한사회주의노동자.. 2022. 11. 8.
3공 저항 : 김민기 (가수ㆍ1951)ㆍ서울대 미학과 (美學科) 출신? 노래 "아침이슬" 작곡가로 유명한  69 학번 : 김민기 (金敏基ㆍ1951)는 "서울대 회화학과" 출신이다.  "서울대 미학과 (美學科) 출신자"로는, "59학번 : 김지하 (金芝河ㆍ1941)ㆍ67학번 : 유홍준 (兪弘濬ㆍ1949 )ㆍ82학번 : 진중권 (陳重權ㆍ1963)ㆍ91 학번 : 방시혁 (房時爀ㆍ1972)ㆍ94학번 : 변희재 (邊熙宰ㆍ1974 )"이 있다. 1. 서울대 미학과 출신• 59 학번 : 김지하 (金芝河ㆍ본명 : 김영일(金英一)ㆍ1941~2022ㆍ81세) : 박경리(소설가) 사위ㆍ1970년대 유신 시대를 대표 문인ㆍ타는 목마름으로ㆍ오적)• 67 학번 : 유홍준 (兪弘濬ㆍ1949~ ) : 미술사학자ㆍ교수ㆍ문화재청 청장ㆍ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2 학번 : 진중권 (陳重權ㆍ1963~ ) : 문.. 2022. 11. 8.
3공 저항 : 김지하 (1941)ㆍ타는 목마름으로ㆍ오적(五賊) "김지하 (金芝河ㆍ본명 : 김영일(金英一)ㆍ1941~2022ㆍ81세)"는 필명이 "지하(地下)"였는데, 이것이 굳어져서 이름처럼 사용되면서, 이름을 "지하(芝河)"로 변경하게 되었고, 1975년, "타는 목마름으로"가 발표되었다. "4ㆍ19혁명"이후, 학생운동을 시작했으며, 1964년 "6ㆍ3항쟁"에 참여ㆍ수감ㆍ4개월간 복역했다. 1970년, 저항시 "오적(五賊)"을 발표ㆍ독재에 항거하다가 정권의 눈밖에 나서 "필화"를 입었고, 반공법 위반으로 서울구치소에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971년, "가수 김민기(金敏基ㆍ1951ㆍ아침이슬 작곡가)"와 함께 야학 활동을 시작했다. 1973년, "김영주(소설가 박경리 딸)"과 결혼했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까지 언도받았다가, 1980년에.. 2022. 11. 8.
3공 저항 : 백기완 (1932)ㆍ임을 위한 행진곡ㆍ장산곶매 이야기 1981.05월에 발표된, 1980년,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을 추모하는 노래이자,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민중가요인 "임을 위한 행진곡"은 "백기완 (白基琓ㆍ1932~2021ㆍ89세)"의 미발표 장시 "묏비나리 (1980.12)"의 한 부분을 "황석영(黃晳暎ㆍ1943 ~ ㆍ소설가ㆍ장길산ㆍ무기의 그늘ㆍ손님)"이 차용하여 가사를 지었다. 1. 백기완 (白基琓ㆍ1932~2021ㆍ향년 89세)시문학가ㆍ소설가ㆍ작가ㆍ시민사회운동가ㆍ통일운동가ㆍ1964년, "한일회담 반대운동"에 참여한 이래, "반독재 민주화운동ㆍ통일운동ㆍ노동운동" 등에 참여ㆍ"장산곶매 이야기ㆍ우리 겨레 위대한 이야기" 등을 써서, 왕성한 저술 활동ㆍ1987년(13대)ㆍ1992년(14대)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 후보로 출마, 중도사퇴하거나 낙선.. 2022. 11. 8.
3공 저항 : 문익환 (1918)ㆍ성서학자ㆍ배우 문성근(3남) 아버지 "문익환 (文益煥ㆍ1918~1994ㆍ76세)"목사는  1989년, "통일이 없으면, 민주주의도 없다"는 당시 진보 기독교인들의 인식에 따라, 북한을 방문하여, "김일성 주석"과 회담하고 귀국하였다. 그러나 정부와 사전협의 없이 독자적으로 방북했으며, "평양 도착" 성명에서 "존경하는 김일성 주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한국정부를 일방적으로 비방했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상의 "반국가단체 잠입죄"로 투옥되어, 1993년 석방되었다. 1. 문익환 (文益煥ㆍ1918~1994ㆍ향년 76세)목사 (성서학자ㆍ한국기독교장로회)ㆍ한신대학교 교수ㆍ통일운동가ㆍ사회운동가ㆍ시인ㆍ작사가ㆍ문재린 목사의 아들ㆍ배우 문성근(3남)의 아버지ㆍ박용길 장로(부인)와 문동환 목사(동생)도 함께 민주화 운동에 헌신ㆍ늦은 나이에 운동권에 참여하.. 2022. 11. 8.
3공 저항 : 장준하 (1918)ㆍ김구 비서ㆍ의문 추락사 (약사봉)ㆍ사상계 "장준하 (張俊河ㆍ1918~1975ㆍ57세)"는 김구 비서ㆍ한국광복군 출신으로,  3공화국 시절, 민주화운동 참가로 10여 차례 투옥됐으며, 1975년 "유신체제 반대운동"을 주도하던 중, 의문의 등산 사고(약사봉(경기도 포천군)에서 의문 추락사)로 사망했다.. 1. 장준하 (張俊河ㆍ1918~1975ㆍ향년 57세) 김구 비서ㆍ한국광복군ㆍ민족청년단(이범석)활동ㆍ국회의원(7대)ㆍ언론인(월간 사상계ㆍ잡지 등불)ㆍ교사(정주군 신안소학교)ㆍ민족주의자ㆍ제1공화국 공무원 (서기관ㆍ문교부 국민정신계몽 담당관ㆍ문교부 국민사상연구원 기획과장ㆍ제2공화국 공무원 (문교부 대학교육심의회 의원ㆍ국토건설단 기획부장ㆍ국토건설단장)ㆍ통일당 최고위원 •  출 생 : 평북 의주군     •  사 망 :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 (약사봉에서 .. 2022. 11. 8.
3공 저항 : 함석헌 (1901)ㆍ씨알 사상ㆍ노벨 평화상 후보 (2차례) "함석헌 (咸錫憲ㆍ1901~1989ㆍ88세)"은 일생을 "민중계몽운동"에 헌신했던 사회운동가로, "평양고등보통학교 3년" 재학 중, "3ㆍ1운동"을 맞아 6촌 형 "함석은(1892~1928ㆍ36세)"에게서 "독립선언서"를 전달받아, "평양"에 배포한 사건으로 학업을 중단하게 되었다. 수도승이나 다름이 없는 차림으로, 언제나 단정한 한복을 입고, 수염을 드리우고 다녔으며, 가냘픈 몸이 강연장소ㆍ시위현장에 나타나면, 함부로 표현하기 어려운 기개가 짙게 깔렸다. 1. 함석헌 (咸錫憲ㆍ1901~1989ㆍ향년 88세)독립운동가ㆍ종교인ㆍ언론출판인ㆍ기독교 운동가ㆍ시민사회운동가ㆍ재야운동가ㆍ문필가ㆍ오산학교 교사ㆍ광복 이후,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 •  출 생 : 평북 용천군        •  사 망 : 서.. 2022. 11. 8.
3공 검사 : 김기춘 (1939)ㆍ유신헌법 작성자ㆍ대통령비서실장 (박근혜) "김기춘 (金淇春ㆍ1939~ )"은 "박정희 정권" 시절인1972.10월(당시 33살), "유신헌법" 초안자이며,  "중앙정보부의 대공수사국장"으로 있었고, "노태우 정부" 시절에는 "검찰총장ㆍ법무부 장관"을 지냈으며,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청와대 비서실장"을 맡았다. 1. 김기춘 (金淇春ㆍ1939~ )유신헌법 초안자(당시 33살ㆍ1972.10월)ㆍ부산 "초원 복집"사건 주모자ㆍ3선 국회의원(15ㆍ16ㆍ17대)ㆍ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ㆍ검찰총장(노태우 정부ㆍ22대)ㆍ법무부 장관(노태우 정부ㆍ40대)ㆍ대통령 비서실장(박근혜)ㆍ상청회 회장(정수장학회의 장학금을 받았던 졸업생 모임)ㆍ박정희 기념사업회 초대 이사장ㆍ변호사ㆍ변리사ㆍ한국야구위원회(KBO)총재ㆍ한양대학교 법대 교수ㆍ세월호 참사 보고 시간과 방.. 2022. 11. 8.
3공 검사 : 신직수 (1927)ㆍ유신헌법 기획자ㆍ인혁당ㆍ홍진기 사돈 "제5보병사단"에서 "법무참모(소령)"으로 근무할 당시, "박정희(사단장)ㆍ김재규(참모장)이었다. 1972.10월, "법무부 장관"으로 "유신헌법"을 사실상 만든 사람이다. "유신정권" 기간 동안, 인권유린 문제에 있어 절대로 자유로울 수 없는 인물로, "검찰총장ㆍ중앙정보부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동백림 사건ㆍ유럽 간첩단 사건ㆍ민청학련 사건ㆍ인민혁명당 사건ㆍ장준하 의문사 사건"이 일어났다. "홍석현(1949ㆍ중앙그룹 회장)"의 장인이며, "홍진기 (洪璡基ㆍ1917~1986ㆍ69세)"와는 사돈관계이다. 1. 신직수 (申稙秀ㆍ1927~2001ㆍ향년 74세) 중앙정보부 부장(이후락 후임ㆍ7대)ㆍ법무부 장관(22대)ㆍ검찰총장(11대)ㆍ유신헌법 기획 책임자 (당시 44살ㆍ법무부 장관)ㆍ중앙일보 "홍석현 회장"의.. 2022.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