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 • 현대사)462 군인 (4명의 친구) : 정일권ㆍ윤동주ㆍ문익환ㆍ장준하 서로 다른 인생을 살다 간, "정일권 (丁一權ㆍ1917~1994.01.17ㆍ77세)ㆍ장준하 (張俊河ㆍ1918~1975ㆍ57세)ㆍ문익환 (文益煥ㆍ1918~1994.01.18ㆍ76세)ㆍ윤동주 (尹東柱ㆍ1917~1945ㆍ28세)"는 "광명 중학교 (용정 소재)" 친구들이었다. 1. 친구 : 정일권ㆍ윤동주ㆍ문익환ㆍ장준하광명 중학교 (용정 소재)친구들 : 앞줄 (정일권)ㆍ뒷줄 왼쪽으로부터 (장준하ㆍ문익환ㆍ윤동주)① 정일권 (丁一權ㆍ1917~1994.01.17ㆍ77세) 만주국 일본군인ㆍ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친일파ㆍ박정희의 군사쿠데타를 도와 외교관ㆍ간도헌병대 대대장 (일본군 중령ㆍ최상위계급 조선인)ㆍ군인(육군대장ㆍ군번5번)ㆍ국회의원(3선ㆍ8~10대)ㆍ국회의장ㆍ국무총리(9대)ㆍ외교관(주미 대사 3대/ 5대)ㆍ외무.. 2022. 11. 6. 군인 : 정일권 (1917)ㆍ정인숙 내연남ㆍ만주군 장교(최상위계급 조선인) "정일권 (丁一權ㆍ1917~1994ㆍ77세)"은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으로 이끈 숨은 주역이다. 1950년, "육군참모총장 (5대)" 재직 시, 국군 총사령관을 겸임하여 육ㆍ해ㆍ공군을 지휘하였으나, "국민방위군 사건ㆍ거창민간인 학살사건"으로 사퇴했다. 총리 재직 중, 자신의 아이를 낳은 "정인숙 암살사건"으로 사회적인 물의를 빚자, 총리 직을 사퇴했다. 1970년, "공화당 총재" 상임고문을 지냈으며, 1971년부터 8ㆍ9ㆍ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73년부터 "국회의장"을 지냈고, 1980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1. 정일권 (丁一權ㆍ나카지마 잇켄ㆍ1917~1994ㆍ향년 77세)만주국 일본군인ㆍ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친일파ㆍ박정희의 군사쿠데타를 도와 외교관ㆍ간도헌병대 대대장 (일본군 중령ㆍ최상위계.. 2022. 11. 6. 군인 : 이범석 (1900)ㆍ 청산리 전투ㆍ국무총리(초대)ㆍ이승만 묘비 "이범석 (李範奭ㆍ1900~1972ㆍ72세)"은 "청산리 전투"에 참전하였고, "임시정부 광복군 참모장"이었으나, "부산 정치파동"의 주역으로, "이승만"의 장기집권을 도왔다는 점과 "한강철교 폭파"로 희생자를 양산했다는 점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1971.07월, "서울 국립현충원"에 있는 "이승만 묘비"를 친필로 썼다. 1. 이범석 (李範奭ㆍ1900~1972ㆍ향년 72세)ㆍ이승만 묘비 작성자ㆍ청산리 전투 군인(중국군 소장)ㆍ독립운동가(임시정부 광복군 참모장ㆍ육군 중장)ㆍ청산리 전투에 참전ㆍ조선민족청년단 (족청ㆍ族靑ㆍ1946.10) 설립자ㆍ국무총리(1대)ㆍ국방부장관ㆍ내무부장관) • 출 생 : 한성부 용동 • 사 망 : 서울 명동 성모병원 (국립 현충원) • 사 인 : 병사 (심근경.. 2022. 11. 6. 군인 : 김홍일 (1898)ㆍ6ㆍ25 한강 방어선의 결정적 공헌자 "김홍일 (金弘壹ㆍ1898~1980ㆍ82세)"은 중국군 현역 군인 신분으로 임시정부의 "김구"를 도와, "윤봉길ㆍ이봉창"의 거사에 쓰일 폭탄을 준비했다. "미군"의 역할이 한국의 방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김홍일 장군"이 "한강 이남"에서의 "지연전"을 대성공시켜, 무려 7일이나 되는 시간을 벌었다. 1. 김홍일 (金弘壹ㆍ1898~1980ㆍ향년 82세) 한강 방어선 전투의 영웅ㆍ중화민국 최초의 육군 소장(사단급 부대 지휘)ㆍ독립운동가ㆍ"한국광복군 참모장"을 거쳐, 최초의 장군 임관자(준장)으로 임관하여 "6ㆍ25전쟁"에 참전ㆍ육군사관학교 교장ㆍ외교관(7대 외무부 장관)ㆍ신민당 국회의원(7대)ㆍ신민당 총재ㆍ민주통일당 고문ㆍ1961년 "5ㆍ16 군사정변" 직후.. 2022. 11. 6. 군인 : 신성모 (1891)ㆍ국방장관 (625 당시)ㆍ한강 인도교 폭파 지시자 "이승만 대통령"은 영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을 우대하였는데, "신성모 (申性模ㆍ1891~1960ㆍ69세)"는 "런던 유학"으로 영어에 능통했다고 한다. "한국전쟁" 당시, "한강 인도교 폭파( 06.28일 새벽 2:30분경) 지시자"이며, 1951.02월 "거창 양민학살 사건" 당시, "계엄사령관"이던 "김종원 (金宗元ㆍ1922~1964ㆍ42세)"과 함께 사건을 합리화시켰다. 1951.01월 "국민방위군 사건" 당시, 착복금 중 일부가 "이승만 정치자금"으로 사용된 것을 무마하려다가, "국방부 장관직"을 사임하였다. 1. 신성모 (申性模ㆍ1891~1960ㆍ향년 69세)독립운동가(신아동제사ㆍ신한청년당 멤버)ㆍ1930년부터 영국 런던과 인도를 왕래하는 정기화객선 선장ㆍ제독(중장)ㆍ1950년 6ㆍ25 한국전쟁.. 2022. 11. 6. 군인 : 지청천 (1888)ㆍ광복군 총사령관ㆍ신흥무관학교 교성대장 "지청천 (池靑天ㆍ1888~1957ㆍ69세)"은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을 하다가, 임시정부의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광복 후 귀국, 우익청년단체인 "대동청년단"을 조직하였고,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48.08.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에는 "국무위원 겸 무임소장관"에 임명되었다. 이후 친(親)이승만계 정당인 "대한국민당ㆍ자유당" 등에서 활동하였다. 1. 지청천 (池靑天ㆍ1888~1957ㆍ향년 69세) 독립운동가(만주)ㆍ임시정부 광복군 총사령부 사령관ㆍ친 이승만계 정당(대한국민당ㆍ자유당) 활동ㆍ신흥무관학교 교성대장(유일한 정규 "육군사관학교" 졸업자ㆍ중위 때 망명)ㆍ서로군정서 간부ㆍ대한독립군단 조직(서일ㆍ홍범도ㆍ김규식ㆍ김좌진 등)ㆍ고려혁명군 결성(이범석 등)ㆍ대동청.. 2022. 11. 6. 한글 : 최현배 (외솔ㆍ1894)ㆍ우리말본ㆍ한글갈ㆍ한글날 작사가 "최현배 (崔鉉培ㆍ1894~1970ㆍ76세)"의 "국어학의 연구"는 1910년 봄, 일요일마다 "보성중학교"에서 열리는 "조선어강습원"에서 "주시경 (周時經ㆍ1876~1914ㆍ38세)"의 가르침을 받음으로써 싹튼 것이라 한다. 5대 국경일 중, "한글날" 노래를 작사했다. "삼일절ㆍ제헌절ㆍ광복절ㆍ개천절" 노랫말은 "정인보"가 작사했다. 그가 강의를 했었던 "연세대 문과대학"에는 "최현배"의 호를 딴 "외솔관"과 "정인보 (鄭寅普ㆍ1893~1950ㆍ57세)"의 호를 딴 "위당관"이 있다. 1. 최현배 (崔鉉培ㆍ1894~1970ㆍ향년 76세) 국어학자ㆍ한글학자ㆍ교육자 (연세대학교 부총장)ㆍ국어운동의 중심적인 인물 • 출 생 : 경남 울산 내상면 • 사 망 : 서울 • 호 : 외솔 .. 2022. 11. 5. 한글 : 주시경 (백천ㆍ1876)ㆍ주보따리ㆍ어문 민족주의자 "주시경 (周時經ㆍ1876~1914ㆍ38세)"은 국어의 연구ㆍ운동을 통하여 일제침략에 항거한 학자이다. 현대 한국어는 "주시경ㆍ최현배" 2명의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1896년, 한글전용의 "독립신문" 발행에 기여하였고, 1897년 "독립협회"의 중앙위원이 되었다. 1906~1914년, 한글연구ㆍ보급을 통해, 민족의식ㆍ민족문화 발양하였으며, 1908년 "국어연구회"를 조직하여 "한글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1. 주시경 (周時經ㆍ1876~1914ㆍ향년 38세) 언어학자ㆍ국문학자ㆍ민족주의자ㆍ국어 연구와 운동을 통해 일제침략에 항거한 학자 (어문 민족주의자)ㆍ "지석영→ 주시경→ 최현배"ㆍ현대 한국어는 "주시경ㆍ최현배" 2명의 영향이 절대적 • 출 생 : 황해도 봉산군 • 사 망 .. 2022. 11. 5. 역사 : 이병도 (두계ㆍ1896)ㆍ역사 왜곡 핵심주역ㆍ조선사 편수회 핵심 "이병도 (李丙燾ㆍ1896~1989ㆍ93세)"는 "이마니시 류 (금서룡ㆍ今西龍ㆍ1875~1932ㆍ57세)"의 수제자로, 조선사편수회(조선총독부 산하)에서 수사관보(1925.08~1927)ㆍ촉탁의 역사학자이다. 할아버지가 "이완용"이라는 주장과 "이완용 관" 뚜껑을 불 태웠다고 한다. 그의 "한국사연구 방법론"은 "조선사편수회"에서 일한 경험으로, "식민사학"의 영향을 받았고, 그로 인해 후학들에게도 "식민사학"을 전수하는데, "앞잡이 노릇"을 했다. 문교부 장관(1960)ㆍ서울대 문리과 교수(1946)ㆍ서울대학원장(1954)ㆍ민족문화 추진회 이사장(1982)ㆍ다산선생기념 사업회 회장(1984)ㆍ"윤치영"(내무부장관)의 처남ㆍ손자- 이장무(서울대학교 총장)ㆍ이건무(문화재청장)ㆍ"진단학회" 창설했다. .. 2022. 11. 5. 역사 : 정인보 (담원ㆍ1893)ㆍ삼일절/제헌절/광복절/개천절 노래작사 "정인보 (鄭寅普ㆍ1893~1950ㆍ57세)"는 저서 "조선사연구ㆍ양명학연론"이 있으며, 주로 "조선의 얼"을 강조했다. 5대 국경일 중, "한글날 (최현배 작사)"을 제외한 "삼일절ㆍ제헌절ㆍ광복절ㆍ개천절" 노래의 노랫말을 작사하기도 했다. 그가 강의를 했었던 "연세대 문과대학"에는 "정인보"의 호를 딴 "위당관"과 "최현배 (崔鉉培ㆍ1894~1970ㆍ76세)"의 호를 딴 "외솔관"이 있다. 1. 정인보 (鄭寅普ㆍ1893~1950ㆍ향년 57세) 일제 강점기 한학자ㆍ역사학자ㆍ실학자ㆍ양명학자ㆍ양명학 연구의 대가ㆍ작가ㆍ언론인ㆍ정치인ㆍ한민족이 주체가 되는 역사체계 수립에 노력한 역사학자ㆍ한국전쟁 때 납북ㆍ한국정부의 초대 감찰위원장ㆍ국학대학의 초대학장• 출 생 : 서울 명동 • 사 망 : 6ㆍ2.. 2022. 11. 5. 역사 : 신채호 (단재ㆍ1880)ㆍ조선 상고사ㆍ아나키스트 "신채호 (申采浩ㆍ1880~1936ㆍ56세)"는 "조선상고사"의 저자로, "고대사 연구"에 치중했으며, "박은식(1859~1925ㆍ66세)"은 "근대사 연구"에 치중했다. "왜놈이 만든 호적에 이름을 올릴 수 없다"며, 스스로 "무국적자"가 되었다. 특히 "조선상고사"에서 역사관을 "낭가사상"과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보았다. 1919.08월에 시작한 "임정 의정원회의(6회)"에서 "이승만"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이완용은 있는 나라를 팔아먹었지만, 이승만은 없는 나라를 팔아먹으려 한다."라고 크게 성토하면서,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다. 1. 신채호 (申采浩ㆍ1880~1936ㆍ향년 56세)독립운동가ㆍ민족주의자ㆍ사학자ㆍ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말년에 무정부주의자)ㆍ언론인(황성신문 논설위원).. 2022. 11. 5. 역사 : 박은식 (백암ㆍ1859)ㆍ대통령(2대)ㆍ한국통사→ 조선사 편수회 "박은식 (朴殷植ㆍ1859~1925ㆍ66세)"은 임시정부 2대 대통령(1925ㆍ전임 이승만)으로, "근대사 연구"에 치중했으며, "신채호 (申采浩ㆍ1880~1936ㆍ56세)"는"고대사 연구"에 치중했다. 1915년 "한국통사"를 지었으며, 이것은 일제가 "조선사 편수회"를 설치하는 원인이 되었다.1. 박은식 (朴殷植ㆍ1859~1925ㆍ향년 66세) 임시정부 2대 대통령 (1925ㆍ전임 이승만)ㆍ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ㆍ애국계몽운동가ㆍ정치가ㆍ학자ㆍ교육자ㆍ언론인(황성신문ㆍ대한매일신보 주필→ 통감부에 매매)ㆍ대동교 (大同敎)를 창건하고, 신한혁명당 (新韓革命黨)을 조직하여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 출 생 : 조선 황해도 황주군 • 사 망 :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 (임시정부 최초의 "국장") .. 2022. 11. 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