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32

특수부대 ② 한국의 특수부대 한국판 "델타포스"인 "제 707 특수임무단 (707th Special Missions Group)"은 "육군 특수전 사령부" 소속의 특수부대로, 평시엔 "대테러 작전"이 기본 임무이고, 전시엔 "X파일"이라고 내부적으로 불리는 "비밀작전"을 수행하는 특수임무를 가지고 있다. 1.  제 707 특수임무단 (707th Special Missions Group) : 한국판 델타포스 • 활동 : 1981.04~           • 소속 : 한국 육군 (육군 특수전 사령부 소속)           • 역할 : 대테러ㆍ적 핵심부 직접 타격작전ㆍ기타 기밀작전           • 표어 : 행동으로 논리를 대변하고, 결과로서 과정을 입증한다. • 본부 : 경기도 이천           • 지휘관 : 중령      .. 2022. 9. 30.
특수부대 ① 세계 랭킹 1~10위 "영국 특수부대 (United Kingdom Special Forces)"는 영국 SAS 22연대ㆍSBS(해군 특전대/Special Boat Service)ㆍSRR (특수정찰연대/Special Reconnaissance Regiment)ㆍSFSG(특수부대지원단/ Special Forces Support Group)로 구성된다. 1.  1위 : 영국 SAS 22연대 (British Army Special Air Serviceㆍ영국 육군 공수특전단) • 활동 : 1941.07~ 1945.10 / 1947.01~               • 소속 : 영국 육군               • 주요 지휘관 : 중령 데이비드 스틸링               • 규모 : 400~ 600명(소속 부대원 : 오퍼레이터)ㆍ.. 2022. 9. 30.
사건- 1896.02 : 아관파천→ 친러 내각→ 대한제국 선포 (환구단) "아관파천"은 1896.02.11~ 1897.02.20일 (1년간) 있었던 사건으로,  1895.10.08일에 발생한 "을미사변 (乙未事變ㆍ명성황후 시해사건)"으로 신변의 위협을 받게 된 "고종"이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파천한 사건으로, "러시아"에서는 "고종 러시아공관 망명"이라고 불렀다. 1. 아관파천 (俄館播遷ㆍ노관파천 (露館播遷))→ 친러 내각→ 대한제국 선포 (환구단)"고종ㆍ세자(순종)ㆍ엄상궁(순헌황귀비 엄씨)*이 "경복궁"을 떠나, "러시아 제국 공사관 (정동)"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 "김홍집(내각 총리대신)ㆍ정병하(농상공부대신)ㆍ어윤중(탁지부대신)" 등이 백성들에게 살해되었고, "유길준(내부대신)ㆍ조희연(군부대신)" 등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그리고 "이완용ㆍ이범진"등의 "친러 내각.. 2022. 9. 30.
이상설 (보재ㆍ1871)ㆍ안중근의 정신적 스승ㆍ헤이그 밀사 "이상설 (李相卨ㆍ1871~1917ㆍ44세)"은  1907년, "헤이그 회담ㆍ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파견되었고, "헤이그 밀사"와 관련하여, 사형선고를 받았다. 1917.04월,  망명지인 "연해주 니콜리스크"에서 병사했다. 1. 이상설 (李相卨ㆍ1871~1917ㆍ향년 44세)조선(대한제국) 문신(성균관 교수ㆍ영의정(1개월))ㆍ일제 강점기 독립 운동가 (안중근의 정신적 스승)1907년, "헤이그 회담ㆍ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파견되어 활동하였고, 이후 "해외 독립운동 기지"건설에 이바지하였다. "헤이그 밀사"와 관련하여, 사형선고를 받았다.ㆍ1909년, "한흥동(최초의 독립운동 기지)" 건설ㆍ1910년, "13도의군(의병 규합)"을 편성ㆍ고종의 러시아 망명을 권하는 상소문"을 올려 "망명정부의 수립" 시도.. 2022. 9. 30.
이토 히로부미ㆍ신라호텔 영빈관ㆍ박문사ㆍ장충단 1932.10.26일, 일본제국은 "이토 히로부미 (이등박문(伊藤博文)ㆍ본명- 하야시 도시스케ㆍ1841~1909.10.26ㆍ68세)"를 추모하기 위한 사찰인 "박문사(博文寺)"를 짓고, 사찰이 자리잡은 언덕을 "춘무산(春畝山)"이라고 불렀다. "박문사"라는 이름은 "이등박문(伊藤博文)"에서 따왔고, "춘무(春畝)"는 "이토"의 호이다. 현재 장충단공원 동쪽, "신라호텔 영빈관" 자리에 있던 사찰이었다. 1. 박문사 (博文寺ㆍ1932.10.26): 장충단공원 동쪽 "신라호텔 영빈관" 자리에 있던 사찰"장충단(奬忠壇)"은 "을미사변(1895.10.08)" 때, 피살당한 "홍계훈(시위연대장)ㆍ이경직(궁내부대신)" 등을 기리기 위해, "고종"이 쌓은 제단이었다. 이곳은 "명성황후 살해"에 대한 항일감정의 장소.. 2022. 9. 29.
이토 히로부미ㆍ이등박문 (1841~1909ㆍ68세) "이토 히로부미 (이등박문(伊藤博文)ㆍ본명- 하야시 도시스케ㆍ1841~1909.10.26ㆍ68세)"은 우리에게 영원히 침략자이자, 민족의 원수이지만, 일본 국민들에게는 합리적이고, 청렴한 정치가로 추앙받는 인물이라 한다. 1. 이토 히로부미 (이등박문(伊藤博文)ㆍ본명- 하야시 도시스케ㆍ1841~1909.10.26ㆍ68세) 조선 병탄 작업 완성자ㆍ에도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ㆍ일본제국 헌법학자ㆍ정치가ㆍ일본제국의 초대 내각 총리대신(1대ㆍ5대ㆍ7대ㆍ10대)ㆍ조선통감부의 초대 통감 역임ㆍ"메이지 유신" 이후, 정부의 요직을 거쳤으며, 일본제국 "헌법"의 기초를 마련ㆍ추밀원 의장(1대ㆍ3대ㆍ8대ㆍ10대)ㆍ귀족원 의장ㆍ작위는 백작(사후 공작으로 추증) • 본 명 : 하야시 도시스케 (林利助) .. 2022. 9. 29.
안중근 ⑤ 최재형의 지원 (1860~1920ㆍ60세) "최재형 (崔在亨ㆍ1860~1920ㆍ60세)"은 "군수업"으로 쌓은 막대한 재력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하여,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현자로 평가된다. 다양한 길을 걸으며, 오로지 한인들을 위해 살았고, 엄청난 자금을 독립운동에 쏟아 부었다. 1. 최재형 (崔在亨ㆍ1860~1920ㆍ향년 60세)ㆍ최도헌(崔都憲)ㆍ최 표트르 세묘노비치안중근 의거를 지원ㆍ군인ㆍ항일 독립운동가ㆍ사업가ㆍ언론가ㆍ교육가(정교회 학교 32개 설립)• 1908년 : "동의회(최초의 독립단체)"를 조직하고, 총장에 선출(안중근- 평의원)ㆍ"대동공보" 사장ㆍ"전로한족중앙총회(全露韓族會中央總會)" 명예회장 → 1911년 : "권업회" 발기회 회장 → 1914년 : "한인아령이주 50주년 기념회" 회장 → 1919년 : "블라디보스토크"에서 .. 2022. 9. 29.
안중근 ④ 마지막 휘호ㆍ유묵 글씨 (보물 26점) "안중근 (安重根ㆍ1879~ 1910.03.26ㆍ31세)"는 1910.03.26일 오전 9시, 사형 집행장으로 나가기 직전, 호송관 "지바 도시치(千葉十七) 상등병"에게 "위국헌신군인본분 (爲國獻身軍人本分) : 나라를 위하여 헌신하는 것이 군인의 본분"이라는 행서체 8자를 마지막 휘호로 남겼다. 1. 마지막 휘호 : 위국헌신군인본분 (爲國獻身軍人本分) 다음 일화는 귀국 후, 유묵을 제단에 걸어두고 향을 사르며, "안중근 의사"의 명복을 빈 "지바"의 전언을 토대로 구성한 것이다. "지바"가 묻힌 "일본 미야자키현(宮崎縣) 와카야나기쵸(若柳町)"의 대림사 주지인 "사이토 타이켄(齊藤泰彦)"의 단행본 "내 마음의 안중근"에 나온다. "일전에 부탁한 글씨를 지금 씁시다." 1910.03.26일 오전 9시,.. 2022. 9. 29.
안중근 ③ 의거 이후 행방 : 자녀 (2남1녀)ㆍ동생 (2명) 차남 "안준생 (安俊生ㆍ마태오ㆍ1907~1952ㆍ45세)"은 1939.10.17일, 당시 "서울 장충단"에는 "친일파" 인사들에 의해,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는 신사인 "박문사(博文祠)"가 세워져 있었다. "안준생"은 "총독부"의 계획대로, "서울 장충단"에 있던 "박문사"를 찾았고, "이토 히로쿠니(이토 히로부미 아들)"과 함께 참배하고, "부친 안중근의 죄에 대해 용서"를 빌었다. 1. 안중근 (안응칠ㆍ安重根ㆍ1879~1910ㆍ31세ㆍ1910년 하얼빈 의거) 안중근은 "안태훈 (베드로)ㆍ조마리아"의 1째 아들로 태어났다. 의거 당시, 부친은 이미 사망했지만, 어머니는 생존해 있었다. "김아려"와 결혼해서 2남 1녀를 두었다. • 부인 : 김아려 (金亞麗ㆍ김마리아ㆍ1878~1946ㆍ68세) • .. 2022. 9. 29.
안중근 ② "이토" 암살 진행ㆍ단지동맹 "안중근 (安重根ㆍ1879~ 1910.03.26ㆍ31세)"은 군인 (의병부대 참모중장ㆍ참모총장 직)ㆍ항일 의병장ㆍ교육자 (삼흥학교(三興學敎) 설립)ㆍ"하얼빈 역"에서 "이등방문"을 죽였을 때, 그 많은 사람들 속에서 대한독립을 3번 부르짖고, 순순히 잡혔다. 1. 하얼빈 의거 : "이토"를 저격하기 위해, "하얼빈"에 머무른 것은 10박 11일① 1909.10.21 (목) : 오전 08:50 블라디보스토크 역그동안 함께 활동했던 "우덕순"과 생애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짧지만, 긴 여행을 시작한다. 오후 03:06, "우슬리스크"에 도착한 이들은 "포그라니치누이 행" 열차의 2등차표를 구입. 오후 09:25, "포그라니치누이 역"에 도착하여, 독립활동을 지원해 주던 "한의사 유경건"의 집을 찾아가, ".. 2022. 9. 29.
안중근 ① 이토 히로부미 처형 (1879~1910ㆍ31세) "안중근 (安重根ㆍ1879~ 1910.03.26ㆍ31세)"은 1909년, "우덕순(후에 밀정으로 변절)ㆍ조도선ㆍ유동하"과 소수의 결사대를 조직하여, "만주의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초대 한국통감ㆍ이등박문)" 하차시에 암살을 준비하였고, 1909.10.26일 "하얼빈 역"에 잠입하여, 역전에서 "러시아 군"의 군례를 받는 "이토 히로부미"를 09:30분에 암살하였다. 1. 안중근 (安重根ㆍ1879~ 1910.03.26ㆍ향년 31세)군인 (의병부대 참모중장ㆍ참모총장 직)ㆍ항일 의병장ㆍ교육자 (삼흥학교(三興學敎) 설립)ㆍ"하얼빈 역"에서 "이등방문"을 죽였을 때, 그 많은 사람들 속에서 대한독립을 3번 부르짖고, 순순히 잡혔다.옥중에서도 혹독한 고문을 받으면서, "자서전ㆍ동양평화론" 등을 집필하는 한.. 2022. 9. 29.
주먹ㆍ419 ③ 곽영주 (1924)ㆍ최인규 (1919)ㆍ신정식 (?) "최인규 (崔仁圭ㆍ1919~1961.12.21ㆍ42세)"는 1960년 "3ㆍ15 부정선거"를 총지휘하여 유혈사태가 벌여졌고, "시위대ㆍ학생들"에게 발포명령을 내려 진압을 하고, 체포한 "시위대ㆍ학생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고문을 했으며, 그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죽었다.  1. 최인규 (崔仁圭ㆍ1919~1961.12.21ㆍ향년 42세ㆍ이정재와 2살 차) 내무부 장관ㆍ제4대 국회의원(광주군)ㆍ4ㆍ19혁명의 한 원인을 만든 장본인 1960년 "3ㆍ15 부정선거"를 총지휘하여 유혈사태가 벌여졌고, "시위대ㆍ학생들"에게 발포명령을 내려 진압을 하고, 체포한 "시위대ㆍ학생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고문을 했으며, 그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죽었다.  1960년 "4ㆍ19혁명"으로 "자유당정권"이 무너지.. 2022. 9.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