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995 리극로 (고루ㆍ1893) : 조선어학회 회장ㆍ한글학자ㆍ중도우파 "리극로 (李克魯ㆍ1893~1978ㆍ향년 85세)"는 조선어학회 회장ㆍ한글학자 ("좌익"계열이 아닌 "중도우파" 성향의 노선 견지)로, 본질적으로는 "김구"와 함께 활동하는 "우파"에 가까운 인물이었다. 하지만 "이승만"과 사이가 정말 나빴고, 남쪽에서 "이승만"의 집권이 거의 확실시되었기에 북한에 그대로 남았다고 한다. 1. 리극로 (李克魯ㆍ1893~1978ㆍ향년 85세) 복역하다가 해방과 함께 출소ㆍ"당 간사"자격으로 "김구 선생"을 대동한 바 있다ㆍ 북조선 정치인 (초대 내각의 무임소상ㆍ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출 생 : 경남 의령군 지정면 두곡리 • 사 망 : 평양 • 사 인 : 병사 • 자 녀 : 이억세ㆍ이대세 • 호 : 고루ㆍ물불 • 학 력 :.. 2022. 10. 30. 김철수 (지운ㆍ1893) :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거목ㆍ반(反) 박헌영 "김철수 (金綴洙ㆍ1893~1986ㆍ향년 93세)"는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의 거목으로, 줄곧 반(反)박헌영 계열에서 활동했다. 한국 "초창기 사회주의 운동"을 이끌었고, 해방 공간에서 좌ㆍ우익의 가교역할을 자임했고, "이승만ㆍ박헌영 회담"을 추진하는 등, 통일정부 수립에 노력한 "사회주의 계열"의 최고 원로이다. 1. 김철수 (金綴洙ㆍ1893~1986ㆍ향년 93세)신아동맹당(반제(反帝)운동단체)ㆍ사회혁명당ㆍ통일조선공산당 결성ㆍ고려공산당 중앙위원ㆍ조선공산당(제3차) 초대 책임비서ㆍ"우장춘(우범선 아들)"에게 한국을 선택하도록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의식화 시킨 장본인한국 "초창기 사회주의 운동"을 이끌었고, 해방 공간에서 좌ㆍ우익의 가교역할을 자임했고, "이승만ㆍ박헌영 회담"을 추진하는 등, 통일정부 수립.. 2022. 10. 30. 장건상 (소해ㆍ1882) : 의열단ㆍ민족혁명당 활동ㆍ장택상과 호형호제 "장건상 (張建相ㆍ1882~1974ㆍ향년 92세)"은 일본ㆍ미국 유학 후, 1916년 "신규식"의 요청으로 "상하이"에 건너가 "동제사"에 참여한 뒤, "상하이 임정" 발족에 참여하여 "외무부 차장"을 지냈다. 그러나 "임정"을 탈퇴, 1920년 말 "베이징"으로 건너가 "국민대표자대회ㆍ고려공산당" 등에 참여하고, "임정" 노선에 비판적인 인사들과 함께 "군사통일회의"를 조직했다. 1. 장건상 (張建相ㆍ1882~1974ㆍ향년 92세)독립운동가ㆍ통일운동가ㆍ정치가(야당 정치인)ㆍ국회의원 (1선, 무소속)ㆍ시인ㆍ저술가ㆍ임시정부(외무부 차장ㆍ국무위원ㆍ학무부장) 참여ㆍ혁명 지(동지 김성숙) 발간ㆍ국민대표자대회ㆍ고려공산당ㆍ의열단ㆍ민족혁명당ㆍ민족주의 민주전선 등에서 활동ㆍ1948년 "남북협상" 참여ㆍ조선인민당ㆍ근로인.. 2022. 10. 30. 이동휘 (성재ㆍ1873) : 임정 국무총리(1919)ㆍ헤이그밀사 기획 "이동휘 (李東輝ㆍ1873~1935ㆍ62세)"는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로, 대한제국 군인(육군 장교 출신)ㆍ임시정부 군무총장(1919)ㆍ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1919)였다. "이동휘 1인"이 세운 학교만도 100여 개나 되었다고 한다. 1. 이동휘 (李東輝ㆍ1873~1935ㆍ향년 62세)공산주의 운동/사회주의 운동 전개ㆍ"헤이그 밀사 사건" 기획자ㆍ한말 애국계몽/의병운동 전개ㆍ"기독교인"으로, 기독교 사상을 전파하는 독실한 전도사로 활동하기도 했다ㆍ"함경도ㆍ평안도ㆍ북간도ㆍ연해주" 한인사회 등 활동하면서 "소련에 의탁하였다"는 비판이 있으며, "러시아 공산당의 앞잡이"로 조선독립 운동군 3,500명을 학살한 "자유시 참변"에 참여하였다. • 출 생 : 함남 단천군 • 사 망 : 소련 .. 2022. 10. 30. 김립 (1880) : 이동휘 책사ㆍ김구에게 암살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1922.02.06일 발생한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레닌 자금)"으로 "김립 (金立ㆍ김익용(金翼容)ㆍ1880~1922ㆍ42세)"은 암살된다. 1922년 "임시정부 경무국"의 "김구"가 보낸 "오면직ㆍ노종균"등의 총격을 받고 암살당했다. (당시 60만 금화 루블은 2012년 오늘의 구매력으로 환산하면 약 600억 원에 해당하는 거금이다.그러므로 200만 금화 루블은 2,000억 원에 해당한다) 1. 김립 (金立ㆍ김익용(金翼容)ㆍ1880~1922.02.06ㆍ향년 42세)독립 운동가ㆍ사회주의 운동가ㆍ언론인ㆍ교육인ㆍ이동휘의 측근/책사ㆍ중국으로 망명, "고려공산당(상해파)ㆍ한인사회당"에서 활동했다. 1921년, "한형권"등과 함께 "한인사회당"의 대표자로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열린 "코민테른"에 참석.. 2022. 10. 30. 사건- 22.02 :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레닌 자금ㆍ김립 암살사건)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레닌 자금)"은 1922.02.06일 발생한 "김립" 암살사건이다. 1921년, "한형권"등과 함께 "한인사회당"의 대표자로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열린 "코민테른"에 참석, 1921.11월 "코민테른 회의"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으로부터 "200만 루블"을 지원받고, 그 중 "한형권"이 받은 "40만 루블"을 "한인사회당"과 한국인 "사회주의" 청년들을 위한 지원금으로 운반하던 중, "상하이"에서 1922년 "임시정부 경무국"의 "김구"가 보낸 "오면직ㆍ노종균"등의 총격을 받고 암살당했다. (그 당시 60만 금화 루블은 2012년 오늘의 구매력으로 환산하면 약 600억 원에 해당하는 거금이다.그러므로 200만 금화 루블은 2,000억 원에 해당한다) 1. 국제공산당 자금.. 2022. 10. 30. 반공 검사 : 선우종원 (1918)ㆍ장면 비서실장ㆍ조폐공사 사장 "선우종원 (鮮于宗源ㆍ1918~2014ㆍ96세)"은 "좌익"전력자를 전향하도록 한 "보도연맹 결성"을, "오제도 (吳制道ㆍ1917~2001ㆍ84세)"와 함께 주도하였다. 1. 선우종원 (鮮于宗源ㆍ1918~2014ㆍ향년 96세)사상검사로 활약한 법조인(1940~1950년대 반공검사)ㆍ"오제도(사법시험 임용동기)"와 함께, 사상검사로 활동ㆍ장면(국무총리) 비서실장ㆍ정치가(국회사무처 사무총장)ㆍ국영기업인(한국조폐공사 사장)ㆍ서양화가ㆍ서예가• 출 생 : 평남 대동군 • 사 망 : 서울 • 학 력 : 평양고보ㆍ경성제국대학교 법학과 • 호 : 주암 (周巖) • 처 : 윤정석 (尹貞錫ㆍ1919~2002ㆍ수필가) • 자 녀 : 5남 1녀 (1남 선우재호(기업인)ㆍ2남 선우중호(토목.. 2022. 10. 29. 반공 검사 : 오제도 (1917)ㆍ김수임 사건ㆍ조봉암 진보당 사건 "오제도 (吳制道ㆍ1917~2001ㆍ84세)"는 "좌익"전력자를 전향하도록 한 "보도연맹 결성"을, "선우종원 (鮮于宗源ㆍ1918~2014ㆍ96세)"과 함께 주도하였다. "박헌영" 월북 이후, "남로당" 총책을 맡았던 거물 "김삼룡ㆍ이주하"를 체포했고, "국회 프락치 사건ㆍ여간첩 김수임 사건ㆍ조봉암의 진보당 사건" 등 대표적인 공안 사건을 담당하여, 1950년대 "반공검사"로 이름을 떨쳤다. 1. 오제도 (吳制道ㆍ1917~2001ㆍ향년 84세)국회의원 (2선ㆍ9대ㆍ11대)ㆍ사상검사로 활약한 법조인(1940~1950년대 반공검사)ㆍ"선우종원(사법시험 임용동기)"과 함께, 사상검사로 활동• 출 생 : 평남 안주군 • 학 력 : 일본 와세다 대학 법학과 (1939) • 저 서 : 오제.. 2022. 10. 29. 김수임 (39세) : 이강국 애인 (남로당)ㆍ이대 출신 (모윤숙ㆍ노천명) "김수임 (金壽任ㆍ1911~1950.06.28ㆍ39세)"은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 출신으로, 간첩 혐의로 사형당했다. "이강국 (李康國ㆍ1906~1955?ㆍ향년 49세)"의 연인이었으며, "모윤숙"이 만든 "낙랑클럽"에서 "사교계의 여왕"으로 부상했는데, "이화여전" 재학시절, "모윤숙 (기숙사 룸메이트ㆍ이강국을 좋아했다는 설이 있음)"의 단짝이었다. 1. 김수임 (金壽任ㆍ1911~1950.06.28ㆍ향년 39세) "베어드 대령(미군 헌병감)"과 결혼을 전제로 동거하고 있었는데, 그 "서촌집"은 "이완용"의 집. 연인 "이강국"은 "김수임"의 도움으로 월북했다고 한다. "여간첩 사건"으로 유명한 "김수임"은 당시 미군 헌병이 운전하는 사령관 차를 "이강국"과 동승해 38선까지 검문을 피할 수 있게 해준.. 2022. 10. 29. 마타하리 3인 : 현 엘리스(53)ㆍ김수임(39)ㆍ김소산(36) "한국판 마타하리"는 "현 엘리스 (1903~1956?ㆍ53세)ㆍ김수임 (1911~1950ㆍ39세)ㆍ김소산(1914~1950?ㆍ36세)"으로, "마타 하리 (Mata Hariㆍ새벽의 눈동자ㆍ1876~1917ㆍ41세)"는 국제적인 매춘부ㆍ"1차 세계대전" 중, "첩자 혐의"로 "프랑스"에서 처형된 "네덜란드" 출신의 무용가이다. 1. "한국판 마타하리" 여인 3명① 현 앨리스 (1903~1956?ㆍ향년 53세)ㆍ"박헌영"을 연모ㆍ그와 함께 북한에서 간첩죄로 처형 스파이로 지목돼, 부친 따라 해외 떠돈 게 누명의 씨앗ㆍ조선인 최초로 미국에서 출생ㆍ하와이 이민(1903)ㆍ1920년대 상해ㆍ미국 이민사회② 김수임 (1911~1950ㆍ향년 39세)ㆍ"이강국"의 정인ㆍ미군 대령과 동거ㆍ한강 백사장에서 총살 "베어.. 2022. 10. 29. 혁명 트로이카 : 주세죽 (52)ㆍ고명자 (46)ㆍ허정숙(89)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로, "사회주의 혁명 트로이카"는 "주세죽 (1901~1953ㆍ52세ㆍ박헌영 부인)ㆍ고명자 (1904~1950ㆍ46세ㆍ김단야 부인)ㆍ허정숙 (1902~1991ㆍ89세ㆍ임원근 부인ㆍ허헌의 장녀)"이었다. 1. 사회주의 혁명 트로이카 : 주세죽 (52)ㆍ고명자 (46)ㆍ허정숙(89)"비비안나 박"이 한국을 방문하면서, 어머니 "주세죽" 유품에서 찾아낸 사진 1장을 가져왔다. 가운데가 "주세죽(1901~1953)"이며, 왼쪽이 "허정숙(1902~1991)", 오른쪽이 "고명자(1904~1950)"다. 단발을 하고 "청계천"으로 보이는 곳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사진이다. "조선공산당" 여성혁명가 3명의 가장 찬란한 한 때였다."우리 3인은 본래 동지로서 친구로서 단발하기로.. 2022. 10. 29. 공산당 ⑨- 3 : 남부군ㆍ제주 43사건ㆍ여수/순천사건ㆍ대구사건 "남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각 지역에 조직된 "인민유격대들" 가운데 가장 먼저 교전을 벌인 유격대는 "제주도 인민유격"대였다. "제주도 인민유격대"는 1948.04.03일 민중항쟁을 유혈적으로 진압하는 "경찰대"를 상대로 첫 교전을 벌였다. 1. "인민유격대"는 민중 속에 있다.① 1948.04 : 제주 4ㆍ3사건 (제주10%ㆍ3만 명 학살) "제주도 인민유격대"는 전투력과 전투기간에서 다른 지역 인민유격대를 능가할 정도로 "남조선혁명전쟁"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1948.12.08일, "제1회 124차 국회 본회의"에서 "국무총리 이범석"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제주도 인민유격대"는 약 3,000명으로 편성되었다고 한다."서울신문(1948.04.30.)"은 "제주도 인민유격대".. 2022. 10. 28. 이전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1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