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식 - 일반 • 명리학94 역술인 ④ 제산 박재현 (霽山 朴宰顯ㆍ1935~2000ㆍ65세) "제산 박재현 (霽山 朴宰顯ㆍ1935~2000ㆍ향년 65세)"은 물상론의 대가ㆍ앉은뱅이(6ㆍ25전쟁 중)ㆍ책을 내지도 않았고, 제자도 없다. 속칭 "부산 박도사"로 불리며, 천재ㆍ귀신의 반열에 올라도 된다는 명성이었음. 좌충우돌, 종횡무진의 삶을 살며, 지켜보는 이에게 한편의 드라마를 선사했고, "삼성" 입사 면접 : "이병철 회장"의 부탁으로 관상으로 면접을 보았다. 1. 제산 박재현 (霽山 朴宰顯ㆍ1935~2000ㆍ향년 65세) • 출 생 : 경남 함양군 서상면 옥산리 • 아 명 : 박광태 • 활동지 : 부산ㆍ함양 • 호 : 제산(霽山)ㆍ운포ㆍ도강 • 별 칭 : 박도사ㆍ살아있는 토정 • 학 력 : 거창 농고 .. 2022. 12. 23. 역술인 ③ 자강 이석영 (自彊 李錫暎ㆍ1920~1983ㆍ63세) "자강 이석영 (自彊 李錫暎ㆍ1920~1983ㆍ향년 63세)"은 신살론의 대가로,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이며, 사주첩경(四柱捷徑ㆍ명리학계의 동의보감)을 저술했다. 1. 자강 이석영 (自彊 李錫暎ㆍ1920~1983ㆍ향년 63세) • 출 생 : 1920년 평북 삭주군 삭주면 남평리 • 사 망 : 1983 (향년 62세) • 활동지 : 서울 • 호 : 자강 (自彊) • 학 력 : 청주대 법학과 • 제 자 : 벽천 김석환 • 저 서 : 사주첩경(四柱捷徑ㆍ6권)ㆍ자강진결ㆍ추명가 등을 지어 역학자들의 노하우를 공개하여, 음지의 학문을 양지의 학문으로 현대화시키는데 공헌2. 1948년 월남 후,.. 2022. 12. 23. 역술인 ② 도계 박재완 (陶溪 朴在玩ㆍ1903~1992ㆍ89세) "도계 박재완 (陶溪 朴在玩ㆍ1903~1992ㆍ향년 89세)"은 용신론의 대가ㆍ명리요강(命理要綱) 저술ㆍ박도사로, 무욕담백한 인품을 통해 명리학자의 품격을 끌어올린 인물이다. "박도사"란 명칭을 들으며, 명성이 자자했는데도 평생에 집 1칸 마련하였다고 한다. 인격이 청렴하고, 올 곧아서 아직도 고매한 인품이 칭송받고 있다. 1. 도계 박재완 (陶溪 朴在玩ㆍ1903~1992ㆍ향년 89세)명 언 : 운명은 작은 건 인간의 노력으로 바꾸어도, 큰 건 못 바꾼다. (인생의 큰 줄거리는 못 바꾼다는 뜻ㆍ1991년 MBC 방송 "명리학자 박재완")• 출 생 : 1903년 (대구) • 활동지 : 대전 • 호 : 도계(陶溪) • 별 칭 : 득명(得名)ㆍ득령(得靈) • .. 2022. 12. 23. 역술인 ① 한국 3인방 : 박재완 (도계)ㆍ이석영 (자강)ㆍ박재현 (제산) "한국 근대 3대 역술인ㆍ한국 명리학 3인방"은 "도계 박재완(朴在玩)ㆍ자강 이석영(李錫暎)ㆍ제산 박재현(朴宰顯)"이다. 1. 한국 명리학 3인방 ① 도계 박재완 (陶溪 朴在玩ㆍ1903~1992): 용신론의 대가ㆍ박도사ㆍ활동 : 대전명리요강(命理要綱) 저술ㆍ무욕담백한 인품을 통해 명리학자의 품격을 끌어올린 인물ㆍ제자 : 노석 유충엽(종로에서 역문관(易門關) 운영)ㆍ조철수② 자강 이석영 (自彊 李錫暎ㆍ1920~1983): 신살론의 대가ㆍ활동 : 서울사주첩경(四柱捷徑ㆍ명리학계의 동의보감) 저술ㆍ제자 : 벽천 김석환③ 제산 박재현 (霽山 朴宰顯ㆍ1935~2000) : 물상론의 대가ㆍ부산 박도사ㆍ활동 : 부산 앉은뱅이(6ㆍ25전쟁 중)ㆍ책을 내지도 않았고, 제자도 없음. "삼성" 입사 면접 : "이병철 회장.. 2022. 12. 23. 명리학 ③ (3대 예언서) 정감록ㆍ격암유록ㆍ송하비결ㆍ만세력 "조선 3대 예언서"로는 "정감록 (도선국사)ㆍ격암유록 (남사고 선생)ㆍ송하비결 (송하 옹)"이 있으며, "원효결서(원효대사)ㆍ무학비결(무학대사)ㆍ채지가ㆍ해월유록" 등도 있다. "만세력 (萬歲曆)"은 조선시대 "역"의 계산방법ㆍ날짜를 알아보는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1. 정감록 (鄭鑑錄ㆍ도선 (道詵ㆍ827∼898ㆍ신라 말 승려))"정감록"은 양인(兩人)의 문답 외에 "도선(道詵ㆍ827∼898ㆍ신라 말 승려)ㆍ무학(無學ㆍ1327~1405ㆍ조선 초 승려)ㆍ토정(土亭ㆍ이지함ㆍ1517~1578ㆍ조선 중 학자)ㆍ격암(格庵ㆍ남사고ㆍ1509~1571ㆍ조선 중 학자)ㆍ서산대사(西山大師ㆍ휴정ㆍ1520~1604ㆍ조선 중 승려)ㆍ서계(西溪ㆍ박세당ㆍ1629~1703ㆍ조선 후 학자)ㆍ정북창(鄭北窓ㆍ정렴ㆍ1506~1549.. 2022. 12. 22. 명리학 ② 역사ㆍ사주명리 3대 보서 "역학 (易學)"은 접근 방법에 따른 구분을 해 보면, "정신적 분야"와 "학문적 분야"로 나뉠 수 있다. 정신적 분야는 영적(靈的)이거나 직관적(直觀的)으로 인식하게 되는 역학의 분야이다. 협의(狹義)의 "역학(易學)"이라 함은 "주역(周易)"을 일컫는다. 1. 역학 (易學)의 분야① 역학의 학문적 분류• 천학(天學) : 천문학(天文學)으로서, 태을수(太乙數)ㆍ철판신수(鐵板神數)ㆍ자미두수(紫微斗數) 등• 지학(地學) : 기문둔갑(奇門遁甲)ㆍ풍수지리학(風水地理學)ㆍ가상학(家相學)ㆍ방위학(方位學) 등• 인학(人學) : 점술학(占術學)으로서, 주역(周易)ㆍ육효(六爻)ㆍ매화역수(梅花易數)ㆍ단시(斷時)ㆍ육임(六壬)ㆍ파자점(破字占)ㆍ황극책수조수(皇極策數組數)ㆍ계의신결(稽疑神訣)ㆍ월령도(月令圖) / 사주학(四柱學).. 2022. 12. 22. 명리학 ① 命理學ㆍ사주학 (四柱學)ㆍ60갑자 (10천간+12지지) "명리학"의 궁극적 목적은 "추길피흉(追吉避凶)"이다. 일명 "사주학(四柱學)"이라고도 한다. 사람이 출생한 연월일시(年月日時)의 간지(干支), 8글자에 나타난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의 배합을 "사주(四柱)에 의거하여, 일생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학문"이다. 1. 명리학 (命理學ㆍ일명 사주학 (四柱學)이란?개인의 사주, 곧 생년월일시를 분석해,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5가지 기운의 배합률(四柱)을 알아낸 다음, 이를 다시 특정 시간을 구성하는 5가지 기운(運勢)의 배합률과 비교하는 학문 체계이다. 그리하여 그 사람의 부귀ㆍ빈천ㆍ부모ㆍ형제ㆍ질병ㆍ직업ㆍ결혼ㆍ성공ㆍ길흉 등의 제반 사항을 판단하는 것이다.모든 사람은 각각 천문학적 기호로 쓰인 신분증을 하나씩 갖고 있다. 다름 아닌 태어난 연월일시(年月日時.. 2022. 12. 22. 예절 : 봉투 쓰기ㆍ경조사 호칭ㆍ결혼기념일 1. 일상생활 경조문• 속지를 쓰고 접을 때, 상대방의 성명에 줄이 안 생기도록 한다. • 봉투는 되도록이면, 붓글씨로 써야 한다.• 축하서신은 속지를 고상하고, 밝은 색을 쓰면 좋다. • 부고장은 가정의례준칙에는 인쇄물에 의한 개별 고지는 금지되어 있다.• 호상은 상주와 의논하여 고인이나 상제와 가까운 친척이나 친지에게 부고를 낸다.• 부고에는 반드시 장일과 장지를 기록해야 한다. 다만, 구두나 사신으로 알리는 것은 허용한다.2. 편지 봉투를 쓸 때, 이름 아래 붙이는 호칭 • 님 : 순 한글식으로 쓸 때 • 씨 (氏) : 나이나 지위가 비슷한 사람에게 존경의 뜻으로 쓸 때 • 귀하 (貴下): 상대방을 높여 쓸 때 • 귀중 (貴中): 단체에 쓸 때 • 선생 (先生): .. 2022. 10. 15. 예절 : 삼우제(三虞祭)ㆍ49재(49齋)ㆍ칠칠재(77齋) "49재 (49齋)"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으로, 49재가 끝나면 "내세로 떠났다"고 보고 탈상한다.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1. 삼우제 (三虞祭)① 사람이 죽어서 장사 지낸 뒤, 3번째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오늘날에 와서는 흔히 장사 지낸 후, 3일째 되는 날 "삼우제"만 지내고 있다.②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고도 한다. 장사 당일 날 지내는 제사는 "초우(初虞)", 다음날 지내는 제사는 "재우(再虞)", 그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삼우(三虞)"라 한다.③ "초우"는 장사 당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고, "재우ㆍ삼우"는 지방ㆍ문중에 따라 .. 2022. 10. 15. 예절 : 죽음을 이르는 말 (별세ㆍ작고ㆍ서거ㆍ영면) "선종 (善終)"이란, 카톨릭에서 임종 때에 성사를 받아,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로, "착하게 살다가 복되게 생을 마친다"는 뜻을 가진 한자성어 "선생복종(善生福終)"의 준말로, 고해성사를 받아 대죄가 없는 상태로 죽었을 때를 말한다. 1. 죽음 : 죽는 일ㆍ생물의 생명이 없어지는 현상 (비슷한 말 : 입몰)• 사망 (死亡): 보통 사람의 죽음• 운명 (殞命): 사람의 목숨이 끊어짐, 죽음을 완곡하게 표현한 말• 별세 (別世): 일반적으로 윗사람이 세상을 떠났을 경우에 사용ㆍ세상을 하직한다는 말• 타계 (他界): 어른이나 귀인(貴人)이 세상을 떠났을 경우에 사용ㆍ인간계를 떠나서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 기세 (棄世): 세상을 버린다ㆍ웃어른이 돌아가심을 이르는 말• 영면 (永眠): 영원히 잠들다•.. 2022. 10. 15. 예절 : 직계존속ㆍ직계비속ㆍ호칭 (가족간) "직계존속"이라면, 말 그대로 "직계인 존속" 만을 뜻하므로, 부모ㆍ조 부모 만을 가리킨다. "백부" 등은 "방계존속"이다. 1. 직계존속ㆍ직계비속• 직계 (直系) : 혈연이 친자 관계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이어져 있는 계통• 직계존속 (直系尊屬) : 조상으로부터 직계로 내려와 자기에 이르는 사이의 혈족 (부모ㆍ조부모)• 직계비속 (直系卑屬) : 자기로부터 직계로 이어져 내려가는 혈족 (아들ㆍ딸ㆍ손자ㆍ증손)• 방계존속 (傍系尊屬) : 방계 혈족 가운데 자기보다 항렬이 높은 친족 (백부모ㆍ숙부모ㆍ종조부모)• 장인ㆍ장모 : 빙부ㆍ빙모 → "빙 (聘ㆍ부를 빙)"에는 "장가들 빙"의 뜻이 있다.• 백부 : 큰 아버지 / 숙부 : 작은 아버지 / 삼촌 : 아버지의 형제 중, "결혼하지 않은 남자 형제.. 2022. 10. 15. 과학 : 위도ㆍ경도ㆍ자오선ㆍ북회귀선ㆍ북극권 "위도 (緯度ㆍlatitude)"는 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가로로 된 것으로, 적도로부터 북극(남극) 방향으로 각도로 표현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적도의 북쪽인 북위 33~39°사이에 위치한다. ① 적도 (赤道ㆍequator) 지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지구의 자전축의 수직"이 평면의 지표를 나누는 선ㆍ"적도"는 "위도"의 기준이 되며, "적도의 위도"는 0°이다. "적도"의 북쪽을 "북반구"라 하며, 남쪽은 "남반구"가 된다. "북극점"과 "남극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곳이다.② 위도 (緯度ㆍ씨줄)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이나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것ㆍ"위도 단위"는 "도(°)"이며, 북극점- "90°N(북위 90도)"부터, 남극점-"90°S(남위 90도)"까.. 2022. 10. 15.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