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연 • 전시 • 축제72

발레 : 가위손 (Matthew Bourne) >팀 버튼 감독의 1990년 동명 영화(조니 뎁 주연)를 바탕으로 제작한 무언(無言)의 댄스 뮤지컬입니다. 영화의 감성과 서사를 무대 위에서 무용, 움직임, 음악, 무대 디자인으로 풀어낸 이 작품은 매튜 본 특유의 극적인 안무와 연극적 상상력이 빛나는 작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1. 작품 소개 : 어떤 작품인가? “춤으로 눈이 내리고, 마음이 무너지고, 사랑이 피어난다.” 발레도 아니고, 뮤지컬도 아닌, 그 경계를 허문 새로운 장르로 볼 수 있습니다. 감정의 깊이, 연출의 섬세함, 상징의 풍부함까지, 매튜 본이 만들어낸 또 하나의 독보적인 세계입니다. 발레 팬은 물론, 연극이나 뮤지컬을 좋아하는 관객들에게도 추천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초연: 2005년, 런던 새들러스 웰즈 극장원작 .. 2025. 4. 12.
발레 : 잠자는 숲속의 미녀 (Matthew Bourne) >고전 발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고딕 스타일의 다크 판타지’입니다. 2012년에 초연된 이 작품은 차이콥스키의 음악을 바탕으로 하되, 기존 디즈니식 동화의 밝고 사랑스러운 분위기와는 전혀 다른, 섬뜩하면서도 아름다운 세계관을 창조해냈습니다. "낭만적인 동화가 아니라, 사랑과 시간, 죽음과 환생을 넘나드는 고딕 판타지 발레극 !" 1. 작품 소개 이 작품은 기존의 서사에 도전하고 싶거나, 색다른 감성의 무용극을 보고 싶은 사람에게 더없이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독창적인 무대미술, 파격적 설정, 감정의 깊이가 어우러진 이 작품은, 발레가 고전만을 고집하지 않는 예술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초연: 2012년원작: 차이콥스키의 발레 《잠자는 숲속의 미녀》(1890)음악: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연출·.. 2025. 4. 12.
발레 : 호두까기 인형 (Matthew Bourne) >고전 발레 《호두까기 인형》을 기발하고 독창적으로 재해석한 현대 발레입니다. 1992년 초연 이후, 여러 차례 재공연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매튜 본 특유의 연극적 감각과 사회적 메시지, 그리고 유머가 담겨 있어 기존의 전통 발레와는 전혀 다른, 파격적인 상상력의 세계를 선보입니다. 1. 작품 소개 : 어떤 작품인가?이 작품은 전통적인 동화 같은 무대 대신, 사회적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장면 구성으로 진행되며, 기존의 "크리스마스 마법 이야기"보다는 아이의 성장, 고립, 욕망과 해방을 주제로 합니다.초연 : 1992년, 런던원작 기반 : 차이콥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1892)음악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연출·안무 : 매튜 본2. 줄거리① 1막  : 고아원에서의 현실원작의 주.. 2025. 4. 11.
발레 : 백조의 호수 (Matthew Bourne) >매튜 본(Matthew Bourne)의 ‘백조의 호수(Swan Lake)’는 고전 발레의 전통을 깨고 새로운 해석을 선보인 혁신적인 현대 발레입니다. 1995년 런던에서 초연된 이 작품은 전통적인 ‘백조의 호수’와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어, 발레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재해석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1. 작품 소개 :  무엇이 다른가?전통적인 ‘백조의 호수’에서는 오데트(백조 공주)와 오딜(흑조)를 발레리나가 연기하며, 백조 군무도 모두 여성 무용수들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매튜 본의 버전에서는 백조 역을 남성 무용수들이 연기합니다. 특히, 백조와 흑조 모두 남성 무용수가 1인 2역으로 맡으며, 강인하면서도 동물적인 에너지로 백조를 표현합니다.이러한 설정 변화는 단순한 성별 반전이 아니라, 작품.. 2025. 4. 11.
발레 : 지젤 (Giselleㆍ사랑과 용서의 발레) 1. 작품 소개‘지젤(Giselle)’은 19세기 낭만주의 발레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1841년 프랑스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아돌프 아당의 음악과 쥘 페로, 장 코랄리의 안무가 어우러져 감성적이고 극적인 무대를 완성했다. 사랑, 배신, 죽음, 그리고 용서라는 깊이 있는 주제를 다룬 이 작품은 발레 역사상 가장 감동적인 이야기로 손꼽히며, 발레리나에게 있어 기술적, 감정적 표현 모두를 요구하는 명작이다.‘지젤’은 고전 발레에서 보기 드문 서정성과 극적인 전개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두 막 구조를 통해 극명하게 대비되는 분위기를 연출한다. 1막에서는 현실의 농촌 마을을, 2막에서는 윌리(Wilis)라는 요정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 인간의 감정과 초현실적인 세계를 동시에 표현한다.초연 : 1.. 2025. 4. 10.
발레 : 잠자는 숲속의 미녀 (고전 발레의 극치 ) 1. 작품 소개‘잠자는 숲속의 미녀(The Sleeping Beauty)’는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고전 발레의 대표작으로,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과 함께 그의 3대 발레로 꼽힌다. 1890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마린스키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안무는 마리우스 프티파가 맡았다. 이 작품은 발레 테크닉의 정수를 보여주는 구조와 동화적인 스토리, 그리고 화려한 음악과 의상, 무대가 절묘하게 어우러지며 고전 발레의 진수를 보여준다.‘잠자는 숲속의 미녀’는 샤를 페로의 동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로, 마법과 운명, 사랑이 중심 주제다. 특히 주인공 오로라 공주의 성장과 함께 펼쳐지는 아름다운 군무와 파드되는 발레리나에게 있어 기술적으로 매우 도전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2. 줄거리이야기는 오로라 공주.. 2025. 4. 10.
발레 : 호두까기 인형 (크리스마스의 마법) 1. 작품 소개‘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은 러시아 작곡가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3대 발레 중 하나로,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세계 각국에서 가장 많이 공연되는 작품이다. 1892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에서 초연된 이후, 가족 단위 관객을 대상으로 한 따뜻하고 환상적인 이야기로 큰 인기를 끌어왔다. 어린이의 시선으로 펼쳐지는 판타지 세계와 아름다운 음악, 다채로운 무대 연출이 조화를 이루며 고전 발레임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공연이다.2. 줄거리이야기는 크리스마스 이브, 슈탈바움 가의 크리스마스 파티에서 시작된다. 주인공 소녀 클라라는 신비한 마법사 드로셀마이어로부터 호두까기 인형을 선물로 받는다. 클라라는 인형에 깊은 애정을 느끼며 잠이 드는데, .. 2025. 4. 9.
발레 : 백조의 호수 (고전의 정수) 1. 작품 소개발레를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백조의 호수’입니다. 이 작품은 러시아 작곡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대표작 중 하나로, 음악과 안무, 무대미술이 완벽하게 어우러진 고전 발레의 정수입니다. 1877년 모스크바 볼쇼이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재구성되며 오늘날까지도 전 세계 무대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2. 줄거리백조의 호수는 지크프리트 왕자와 저주에 걸려 백조로 변한 오데트 공주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펼쳐집니다. 호수의 백조들은 사실 악마 로트바르트의 마법에 걸린 소녀들이며, 오직 진실한 사랑만이 그들의 저주를 풀 수 있다. 지크프리트 왕자는 숲 속 호수에서 오데트를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악마의 계략으로 인해 .. 2025. 4. 9.
발레 (Ballet)는 이탈리아에서 부터 시작되었다~ 유럽의 전통 춤 중 하나로 기원은 이탈리아입니다. 나중에 프랑스가 이탈리아에서 들여와서 프랑스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으며, 유명세 때문에 러시아 춤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원은 라틴어의 '춤추다(ballare)'. 여기서 이탈리아어 '춤(ballo, 발로)'에서 또 변형되어 오늘날의 발레가 되었습니다.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는데, 기존의 전통 춤을 발전시킨 춤이며, 현대의 우아한 발레와 달리 남자의 전유물이었다고 합니다. 여성은 발레리나, 남성은 발레리노라고 합니다.1. 세계적으로 유명한 발레 공연고전 발레(Classical Ballet)와 현대 발레(Contemporary Ballet) 모두에서 널리 알려진 공연들이 있어요. 아래는 대표적인 고전 발레 작품들입니다:① 백조의 호수 (S.. 2025. 4. 9.
뮤지컬 : 긴긴 밤 한국 창작 뮤지컬 ‘긴긴밤’은 화려한 무대나 스펙터클한 연출보다는, 조용하고 깊이 있는 이야기로 관객의 마음을 두드리는 작품입니다. 루리 작가의 동명 소설 『긴긴밤』을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동물들의 시선을 통해 삶과 죽음, 상처와 회복, 연결과 공존의 메시지를 감동적으로 그려내며 2023년 9월 한예종에서 리딩공연이 있었고, 2024년 정식 초연 이후 꾸준히 주목받고 있는 창작 뮤지컬입니다.1. 어른을 위한 동화, 혹은 아이를 위한 철학‘긴긴밤’은 겉으로 보기엔 동화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주인공은 코뿔소 ‘노든’과 '펭귄'입니다. 서로 너무도 다른 생김새와 배경을 가진 이 두 동물이 절망의 시대를 함께 건너며 서로에게 위로와 희망이 되어가는 여정이 작품의 중심입니다. 그러나 이들의 대화와 행동, 선.. 2025. 4. 8.
뮤지컬 : 지킬 앤 하이드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는 단순한 스릴러를 넘어, 인간 내면의 선과 악이라는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작품입니다.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고전 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이상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된 이 뮤지컬은, 1997년 미국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으며 한국에서도 오랫동안 흥행을 이어오고 있습니다.특히 한국에서는 2004년 초연된 이후 수차례의 재연과 캐스트 변경을 통해 뮤지컬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창작이 아님에도 한국 뮤지컬 시장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1.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한가, 악한가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는 인간의 이중성이라는 주제를 핵심으로 삼고 있습니다. 주인공 헨리 지킬 박사는 순수한 선의 본성과 악의 본성을 분리할 수 있다면 .. 2025. 4. 8.
뮤지컬 : 더 데빌 (The Devilㆍ파우스트) 뮤지컬 ‘더 데빌’은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작품입니다. 단순한 선악 구도가 아닌, 인간 내면의 욕망과 선택의 갈림길에서 벌어지는 심리적 전쟁을 무대로 올린 이 작품은 2014년 초연 이후 독특한 구조와 강렬한 음악, 실험적인 무대로 많은 관객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며 한국 창작 뮤지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1.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영감을 받은 현대적 해석‘더 데빌’은 독일 문호 괴테의 고전 ‘파우스트’를 모티브로 하되, 배경을 현대의 뉴욕으로 옮기고 인물과 구도를 과감히 재구성했습니다. 주인공 존 파우스트는 뉴욕의 유능한 변호사로, 승소율 100%의 명성을 자랑하지만 내면적으로는 공허함과 불안을 안고 살아갑니다. 그의 아내 그레첸은 헌신적이지만, 남편과 점점 멀어지는 관계 속에서 갈등을 느낍니.. 2025.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