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식 - 일반 • 명리학94

좌파 (진보)ㆍ우파 (보수) 유래 좌파는 일반적으로 "평등주의 및 정치ㆍ경제생활의 주요 기관에 대한 대중 또는 국가 통제"와 관련된 정치적 스펙트럼의 부분을 의미한다.  "프랑스 대혁명(1789년)" 당시, 좌측에 앉은 "사회주의 대표자들"로부터 유래하였다. 우파는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정치관"으로 설명되는 정치적 스펙트럼의 부분을 의미한다.  "프랑스 대혁명(1789년)" 당시 우측에 앉은 "보수파 대표자들"에게서 유래하였다. 1. 좌파 (좌익ㆍ진보)와 우파 (우익ㆍ보수)  ①  좌파ㆍ좌익(左翼)ㆍ왼쪽 날개 : 급진적ㆍ혁신적 정파를 뜻하는 말 → 자코뱅파ㆍ진보ㆍ혁신ㆍ사회주의적 사상이나 경향② 우파ㆍ우익(右翼)ㆍ오른쪽 날개 : 점진적ㆍ보수적 정파 → 지롱드파ㆍ보수ㆍ자본주의적 사상이나 경향③ 한국 :   •  좌파 - 공산주의 체제의 신봉.. 2022. 8. 27.
의사 (義士)ㆍ열사 (烈士)ㆍ지사 (志士) "현충일 (顯忠日)"은 매년 6월 6일로, 나라를 위해 희생한 순국선열(殉國先烈)ㆍ전몰(戰歿)한 장병들의 충렬을 기리고 얼을 위로하기 위한 기념일이고, "순국선열(殉國先烈)"의 날은 매녕 11.17일이고,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기리는 기념일이다. 1. "국가보훈처"의 기준      "의사ㆍ열사"의 구분 없이, "독립유공자"'로 표기하고, "순국선열ㆍ애국지사"로 구분 2.  순국선열ㆍ애국지사      "의사ㆍ열사"는 순국한 뒤에 붙이고, "지사"는 생전에도 쓸 수 있는 말 ①  의사 (義士) : 나라ㆍ민족을 위하여, 무력적인 행동을 통해, 항거하다가 의롭게 죽은 사람      •  안중근 (1879~ 1910, 31세) : "하얼빈 역"에서 초대 조선통감 "이토 히로.. 2022. 8. 26.
주의 ③ "사기"에 나오는 좋은 정치ㆍ유시민이 말하는 "법치주의" TV만 틀면 나오는 소리가 있다. "국민 여러분!  오로지 국민만 여러분만 바라보고 일하겠습니다"라고.  과연 그럴까? 그렇다면  "어떤 정치가 좋은 정치인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1. "사기"에 나오는 말 사마천 (B.C 145년경~ 86년경)ㆍ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역사가)의 저서 ①  1번째 좋은 정치 : 국민의 마음에 따라서, 다스리는 것②  2번째 좋은 정치 : 이익으로 유도하는 것 ③  3번째 좋은 정치 : 도덕으로 설교하는 것 ④  못난이  정치 : 형벌로 겁주는 것⑤  최악의  정치 : 국민하고 다투는 것2.  "법치주의" 란 무엇인가?유시민 (柳時敏ㆍ1959~ ) : 작가ㆍ언론인ㆍ국회의원 (2선)ㆍ보건복지부 장관 (44대) "국민이 법을 지켜라" 하는 게 법치주의가 아니다. 권력자.. 2022. 8. 26.
완벽(完璧)ㆍ화씨의 벽(和氏之璧) 완벽(完璧)이란, 본래는 "흠 없는 옥"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이에 대한 고사는 "화씨지벽"이다. 흠이 없고 완전함을 말하는데, "정도"로 따지면 최상급이기에  "더 완벽하다"거나 "가장 완벽하다"는 말은 동의미 반복으로 인해서, 잘못된 표현이다. 1.  완벽 (完璧) • 1점의 흠집도 없이 "훌륭한 옥"을 가리키는 말        • 고사처럼 "훌륭한 것을 그대로 무사히 보존한다"는 뜻 • 어떤 사물이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하거나, 또는 일 처리를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하게 한 것"벽(璧)"은 원래 동그랗게 갈고 닦은 "옥(玉)"을 가리키는 한자어인데, 이 벽(璧)자를 쓴 "완벽"이라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전해진다."중국 조나라(BC 403~228)"에 "화씨의 벽(和氏之璧)"이라는 유명한 보물 .. 2022. 8. 26.
주의 ② 염세주의ㆍ페시미즘 (Pessimism)ㆍ비관주의ㆍ쇼펜하우어 염세주의(Pessimism) 또는 비관주의는 세상이나  인생을 추악하고 괴로운 것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철학적 비관주의(philosophical pessimism)는 반(反)낙관적인 세계관 또는 윤리적 관점을 뜻한다. 1. 염세주의ㆍ페시미즘 (Pessimismㆍ厭世主義)ㆍ비관주의(悲觀主義)인생은 무가치하고, 혐오스럽다고 보는 태도.  라틴어로 "나쁘다"는 뜻의 "malus"의 최상급 "pessimum"에서 유래주로 "쇼펜하우어"의 철학사상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는 용어. 세계는 원래 불합리하여 비애로 가득찬 것으로서, 행복ㆍ희열도 덧없는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세계관이다. 자살ㆍ자해를 하는 사람들 거의 대부분이 이런 생각을 갖고 있다.선ㆍ악이나 빛ㆍ어둠이라는 2개의 실재를 극단적으로 대립시킨 B.. 2022. 8. 26.
연역법 (演繹法)ㆍ귀납법 (歸納法)의 차이 "연역법ㆍ귀납법"은 "추리ㆍ추론ㆍ논증 방법"에 속하는데, 다른 말로 "연역 추론ㆍ귀납적 추리"라고도 한다.  1. 연역법 (演繹法)ㆍ귀납법 (歸納法)의 차이점 2. 연역법 (演繹法)논리적으로 필연적인 원리에 따라 혹은 진리 보존적 추리 규칙에 따라 주어진 전제로부터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연역법"에서 말하는 "연역"이란, 이미 알고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제를 전제로 이를 규정된 논리적 형식에 근거해서 새로운 명제를 결론으로 이끌어내는 추리의 한 방법이다.(ex)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삼단논법 과정"으로, 마지막에 "그러므로" 라는 문장의 시작을 사용한다.      ​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3. 귀납법 (歸納法)개별적인 특수한 사실.. 2022. 8. 26.
맹자의 역성혁명 (易姓革命ㆍDynastic Revolution) "역성혁명 (易姓革命)"이란,  왕조가 바뀌는 일이고, 중국에서는 왕조교체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사상이다. 유교의 정치 사상 가운데서 완성되었는데,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다른 유덕자가 천명을 받아 부덕한 왕조를 넘어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1. 역성혁명 (易姓革命)을  체계화된 이론으로 제시한 것은 "맹자 (B.C 372?~ 289?)"였다."맹자의 역성혁명론"은 "무력혁명"을 긍정하지 않았으며, "군주가 덕을 베풀면, 적국은 자연스레 무너지게 되어, 천하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 이상론"에 불과했다."맹자"는 "군주가 그 지위를 유지하는 것은 천명(天命)에 따른 것이며, 천명은 인심(人心)에 의해 좌우된다"고 주장했다."인심"에 영향을 주는 것은 "군.. 2022. 8. 26.
주의 ① 아나키스트 (Anarchist)ㆍ무정부주의 개인을 지배하는 모든 권력ㆍ정치 조직ㆍ사회적 권위를 부정하고 개인의 자유ㆍ평등ㆍ정의ㆍ형제애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상을 가진 자,  "통치 권력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한자 문화권에서는 "아나키즘(Anarchism)"을 "무정부주의"로 번역한다. 1.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전해져, "민족해방 운동이념"의 하나로 기능했다.초기 아나키스트들은 "자본가에 의한 노동자 착취"에 저항하며, "국가 권력의 해체"를 주장했다.또한, "권력 해체"를 위해, 암살과 같은 폭력적인 혁명을 추구하기도 했으며, 그로 인해 과격하고 급진적인 사상으로 간주됐다. "아나키즘"은 "자유ㆍ평등"을 중시하며, 모든 종류의 지배 권력을 부정하므로, "마르크스ㆍ레닌"의 "권위주의적 공산주의"와도 대립하는 측면이 있다.• 아나키스트 : 이회.. 2022. 8. 26.
국민 (후쿠자와 유키치)ㆍ인민 (유진오)의 차이 국민과 인민이라는 말의 차이는 무엇일까? "민주주의 국가"에서 말하는 것이 "국민"이고, "공산주의 국가"에서 말하는 것이 "인민"이라는 것일까? 그 차이를 알아본다. 1. 국민  (國民)본래 "nation"의 번역어로, "국민"이라는 말은 "근대 일본"에서 만들어졌다. 원래 존재했던 한자어로, "한 나라(國)의 백성(民)"이라는 의미로서 "주례(周禮)ㆍ좌전(左傳)"등 고서에도 출현하고 있다.2. 인민  (人民)본래 "자연인"을 말하며, "중국 고전"에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국민"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뜻에 차이가 있다.이 단어의 사정이 복잡한 것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급격히 서구화하면서 외국어 단어들을 여러 가지 한자어로 번역했는데, 서구의 "백성" 개념을 들여.. 2022. 8. 26.
칠거지악 (七去之惡)ㆍ삼불거 (三不去)ㆍ오불취 (五不取) 여자에게는 "칠거지악 (七去之惡)ㆍ삼불거 (三不去)ㆍ오불취 (五不取)"가 있었다. 여성을 없이업신여긴 "남존여비" 풍조에서, 결혼은 인위적인 면이 강했고, 조상을 받들고 후사를 잇기 위한 명분이 앞섰으며, 이혼할 때는 근거가 필요했으니. 1. 칠거지악 (七去之惡) : 내쫓을 수 있는 7가지 허물: 당(唐)나라 "율령법(律令法)"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7가지의 조건① 대대례기 (大戴禮記)ㆍ본명 (本命) 여자에게 7가지 내칠 수 있는 것이 있으니,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으면 내치고, 아들이 없으면 내치며, 음행을 하면 내치고, 투기를 하면 내치며, 나쁜 질병이 있으면 내치고, 말이 많으면 내치며, 도둑질을 하면 내친다.② 당률소의 (唐律疏議)ㆍ영휘률소 (永徽律疏) 7가지 내칠 수 있는 영, 당 .. 2022.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