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좌파는 일반적으로 "평등주의 및 정치ㆍ경제생활의 주요 기관에 대한 대중 또는 국가 통제"와 관련된 정치적 스펙트럼의 부분을 의미한다. "프랑스 대혁명(1789년)" 당시, 좌측에 앉은 "사회주의 대표자들"로부터 유래하였다. 우파는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정치관"으로 설명되는 정치적 스펙트럼의 부분을 의미한다. "프랑스 대혁명(1789년)" 당시 우측에 앉은 "보수파 대표자들"에게서 유래하였다.
1. 좌파 (좌익ㆍ진보)와 우파 (우익ㆍ보수)
① 좌파ㆍ좌익(左翼)ㆍ왼쪽 날개 : 급진적ㆍ혁신적 정파를 뜻하는 말 → 자코뱅파ㆍ진보ㆍ혁신ㆍ사회주의적 사상이나 경향
② 우파ㆍ우익(右翼)ㆍ오른쪽 날개 : 점진적ㆍ보수적 정파 → 지롱드파ㆍ보수ㆍ자본주의적 사상이나 경향
③ 한국 : • 좌파 - 공산주의 체제의 신봉자 • 우파 -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신봉자
2. 좌ㆍ우익이라는 말이 정치적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프랑스 혁명기" 때부터다.
1789년, "프랑스 혁명" 직후 소집된 "국민의회"에서 의장석에서 볼 때, 오른쪽에 "왕당파"가 앉고, 왼쪽에 "공화파"가 앉은 것이 그 기원이다.
"공화파"가 장악한 1792년의 "국민공회"에서도 왼쪽에 급진적인 "자코뱅파" 의원들이 앉고, 오른쪽에 보수적인 "지롱드파" 의원들이 앉았다. 가운데에는 중간파인 "마레당"이 앉았다.
"유럽의회"에서도 "공산당ㆍ녹색당ㆍ사회민주주의 정당" 출신의 의원들은 의장석에서 볼 때, 왼쪽에 앉고, "보수 정당"의 의원들은 오른쪽에 앉는다.
구 분 | 좌 파 | 우 파 |
국가 운영 | 국가 역할 증대(큰 정부 지향) | 국가 개입 최소화(작은 정부 지향) |
경제 정책 | 시장에 대한 국가의 통제 및 개입 | 시장원리에 따라 경제정책 운영 |
기업 정책 | 기간산업의 국유화 추진 | 국유기업과 공기업의 민영화 추진 |
사회 정책 | 평등ㆍ분배ㆍ복지 중시 | 경쟁원리에 따른 성과 배분 중시 |
반응형
'상식 - 일반 •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지리 (風水地理) ② 집 (House)의 배치 (0) | 2022.08.27 |
---|---|
풍수지리 (風水地理) ① 지모사상 (地母思想)ㆍ대지가 곧 어머니 (0) | 2022.08.27 |
의사 (義士)ㆍ열사 (烈士)ㆍ지사 (志士) (0) | 2022.08.26 |
주의 ③ "사기"에 나오는 좋은 정치ㆍ유시민이 말하는 "법치주의" (0) | 2022.08.26 |
완벽(完璧)ㆍ화씨의 벽(和氏之璧) (0) | 2022.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