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 일반 • 명리학

연역법 (演繹法)ㆍ귀납법 (歸納法)의 차이

by 당대 제일 2022. 8. 26.
반응형

 

"연역법귀납법" "추리추론논증 방법"에 속하는데, 다른 말로 "연역 추론귀납적 추리"라고도 한다.

 

1. 연역법 (演繹法)귀납법 (歸納法)의 차이점

 

2. 연역법 (演繹法)

논리적으로 필연적인 원리에 따라 혹은 진리 보존적 추리 규칙에 따라 주어진 전제로부터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

"연역법"에서 말하는 "연역"이란, 이미 알고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제를 전제로 이를 규정된 논리적 형식에 근거해서 새로운 명제를 결론으로 이끌어내는 추리의 한 방법이다.

(ex)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삼단논법 과정"으로, 마지막에 "그러므로" 라는 문장의 시작을 사용한다.

      ​ 모든 사람은 죽는다   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3. 귀납법 (歸納法)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를 전제로 하여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로서의 결론을 이끌어 내는 연구 방법

귀납법은 연역법과는 달리, 개별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보편적인 명제를 이끌어 낸다개별적인 사례에서 발견되는 공통사항 혹은 일정한 규칙을 발견해서 보편적인 명제를 얻어내며, 보편적인 사례는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서 얻는다.

(ex) 주제를 먼저 선정한 후 부분적인 관찰을 통해, 유형을 발견하게 되고 임시결론인 이론을 도출해내는 방법으로, 부분적으로 관찰한 사실로 결론을 얻게 되며, 일반적인 진리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다. 모든 사례를 조사하거나 관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논리적인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소크라테스는 죽었다. 공자도 죽었다. 석가도 죽었다    소크라테스ㆍ공자ㆍ석가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죽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