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71

파- 빨치산 : 김일성 ⑤ 팽덕회 (펑더화이)ㆍ한국전쟁 중공군 총사령관 "팽덕회 (펑더화이ㆍ彭德怀ㆍ1898~1974ㆍ76세)"는 중국 10대 원수 중의 한 사람ㆍ한국 전쟁 때 중공군 총사령관이었다. 1966.05월,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자, "마오쩌둥"에게 반기를 들었던 그는 "마오쩌둥"을 종교적으로 숭배하는 "홍위병"의 공격대상이 되어 박해를 받았고, 폭행ㆍ조리돌림을 당하기도 했다. 1. 팽덕회 (펑더화이ㆍ彭德怀ㆍ1898~1974ㆍ향년 76세)중화인민공화국 군인ㆍ정치가ㆍ중국 10대 원수 중의 한 사람ㆍ한국 전쟁 때 중공군 총사령관ㆍ1976년, "4인방"을 몰아내고 집권한 "덩샤오핑"은, 1978년, "마오쩌둥" 사후, "중국 공산당 제11차 중앙군사위원회"에서 그의 사건이 재조사되어, 사면이 이루어졌고, 모든 명예가 회복되었다. • 출 생 : 청나라 후난 성 샹탄 (호남.. 2022. 11. 1.
파- 빨치산 : 김일성 ④ 진짜 김일성 장군은 "김경천" ? "김경천 (金擎天ㆍ김광서(金光瑞)ㆍ1888~1942ㆍ54세)"은 "일본 육사"를 졸업한 장교로서, 보장된 앞길을 버리고, 홀연히 망명한 뒤, "만주ㆍ연해주" 일대에서 "백마 탄 김 장군"으로 불리며, 유명했던 그는 백마를 타고, "만주ㆍ시베리아"를 누비는 전설적인 "항일 영웅"으로서의 이미지로 기억되고 있다. 특히 "김경천"은 여러 가명을 사용했고, 일찍부터 "장군"으로 불린 인물이기에, "김일성"이 그의 이러한 "명성ㆍ항일 투쟁 경력ㆍ전설적인 이미지" 등을 도용했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1. 김경천 (金擎天ㆍ김광서(金光瑞)ㆍ1888~1942ㆍ향년 54세) "일본 천황ㆍ조선 총독"이 존경한 독립운동가ㆍ일본군 장교 출신의 무장 독립 운동가ㆍ1911년, 일본 육사(23기) 최우등 졸업ㆍ "북한 김.. 2022. 11. 1.
파- 빨치산 : 김일성 ③ 극동군 제88국제여단ㆍ동북항일연군교도려 "제88국제여단 (제8641 보병 특별여단)ㆍ동북항일연군교도려 (東北抗日聯軍教導旅)"의 "88여단" 명칭은 "김정일"이 태어난 집 주소 "라즈돌노예 88번지"에서 따 왔다는 설이 있다. "88여단"을 중국인 대원들은 "동북항일연군교도려 (東北抗日聯軍教導旅)"라 불렀다. 1. 제88국제여단 (제8641 보병 특별여단)ㆍ동북항일연군교도려 (東北抗日聯軍教導旅)"김일성"을 비롯한, "혁명 1세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모태로, "남야영"에서 "김정일"이 태어났다. "88여단" 명칭은 "김정일"이 태어난 집 주소 "라즈돌노예 88번지"에서 따 왔다는 설이 있다. "88여단"을 중국인 대원들은 "동북항일연군교도려 (東北抗日聯軍教導旅)"라 불렀다.1930년대, "만주"에서 활동하다가 "일본군의 대토벌"에 쫓겨,.. 2022. 11. 1.
파- 빨치산 : 김일성 ② 논란ㆍ의혹ㆍ평가ㆍ비판ㆍ연보 "김일성 (金日成ㆍ김성주(金成柱)ㆍ1912~1994ㆍ82세)"의 "공식 사망 장소"는 "평양 주석 집무실"이지만, "묘향산 향산 초대소"에서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이 제기된 배경에는, "김일성"이 요양을 하려고, "향산 초대소"에 머물다가 갑자기 사망했기 때문에, 그 이후로는 "김정일이 향산 초대소를 가지 않는다"는 소문이 있기 때문이었다. 아직도 그의 죽음은 여러 가지 이야기와 함께,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1. 논란ㆍ의혹① 사망 장소ㆍ암살ㆍ사망방관 설 논란그는 오전 6시~ 저녁 10시까지 (16시간 이상) "정무"를 주관하였는데, 타고난 체력ㆍ정신력으로 장시간 "정무"를 강행하였으나, 70대 이후부터는 체력의 한계를 불러, "목 뒤의 물 혹ㆍ당뇨ㆍ감기ㆍ피부병" 등의 스트레스에 시달려야 했고.. 2022. 11. 1.
파- 빨치산 : 김일성 ① (1912)ㆍ박헌영 12살 아래ㆍ반일인민유격대 "김일성 (金日成ㆍ김성주(金成柱)ㆍ1912~1994ㆍ82세)"는 1930년대부터, "만주"에서 "반일인민유격대"를 결성하며, 본격적으로 항일무장투쟁에 뛰어들었다. "항일연군"을 이끌며 일본군과의 여러 차례의 대규모 전투에서 승리했다. 광복 후 반제국ㆍ봉건주의 개혁을 추진했고, 북한 권력을 장악하며, 자신을 중심으로 한 "유일지도체계"를 확립했다. 1950년 내각수상ㆍ군사위원회 위원장ㆍ인민군 총사령관으로 "6ㆍ25전쟁"을 일으켜 남북분단을 고착화시켰다. 1. 김일성 (金日成ㆍ김성주(金成柱)ㆍ1912~1994ㆍ향년 82세ㆍ박헌영과 12살 차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자ㆍ조선로동당의 위원장ㆍ외가 : 3대째 개신교 장로교 목사집안ㆍ반일 인민유격대원(보천보전투)ㆍ군인(소련군 소좌(소령)ㆍ소비에트연방 붉은 군.. 2022. 11. 1.
사건- 50.03 : 김삼룡 (남로당 총책)ㆍ이주하 사건 (김삼룡 고문) 1948.08.15일 해방이후, "대한민국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여, 남한정부 전복을 기도하던 "남로당"의 핵심간부 "김삼룡 (金三龍ㆍ1908~1950.06.28ㆍ42세ㆍ가난한 소작인의 아들)ㆍ이주하 (李舟河ㆍ1905~1950.06.28ㆍ45세ㆍ가난한 화전민 가정 출신ㆍ김삼룡의 고문 격)"이 1950.03.27~28일 체포되기까지의 사건이다. 1. 김삼룡ㆍ이주하 사건 (金三龍ㆍ李舟河 事件) "북한"은 북쪽에 억류된 "조만식"과 "김삼룡ㆍ이주하"의 교환을 위한 "남북협상" 일정을 06.23일로 정하는 등 교환을 요구한 바도 있으나 성사되지 않았고, 06.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수감되어 있던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06.28일 즉결 처형되었다. 1947년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도 실패로 끝나.. 2022. 10. 31.
파- 남로당 : 김삼룡 (1908ㆍ총책)ㆍ이주하 (1905ㆍ김삼룡 고문) "김삼룡ㆍ이주하"는 "남로당 핵심당원"으로서, "공산당"이 불법단체로 그 활동이 인정되지 않자, "지하당"으로 비합법적으로 활동하였다. "김삼룡"은 체포되기 전까지, 3년 동안 서울에 잔류하며, "남조선노동당 남한총책"으로 "북한"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남한"에서의 "남로당 지하활동"을 지휘하였다. "이주하"는 "남로당 정치국원"으로서 "1급 정치참모"로 활약하던 중, "북로당ㆍ남로당"의 합당에 즈음 월북하였다가, "김삼룡의 고문" 격으로 다시 남하하였다. 이들은 남한에서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전후하여, "남한 단독총선거 저지" 활동을 수행하였다. 1. 김삼룡 (金三龍ㆍ1908~1950.06.28ㆍ향년 42세ㆍ가난한 소작인의 아들)일제강점기 공산주의 계열 독립 운동가ㆍ미군정기 남로당 주요.. 2022. 10. 31.
파- 남로당 : 이강국 (이촌ㆍ1906)ㆍ김수임 간첩사건ㆍ보성고교 수석 "이강국 (李康國ㆍ1906~1955?ㆍ49세)"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수석 졸업한 소문난 수재ㆍ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재학 중, 공산주의 이론에 입문하였다. "김수임 (金壽任ㆍ1911~1950.06.28ㆍ39세)" 간첩사건"으로 공소기록에 등장한 "이강국"은 당시 "북한의 상업성 국장"으로, "남로당"의 주요 인물이었다. 1. 이강국 (李康國ㆍ1906~1955?ㆍ향년 49세)김수임의 정인ㆍ독일 베를린 대학교에 유학한 엘리트ㆍ이론가ㆍ북조선 정치인• 출 생 : 경기도 양주 • 사 망 : 평양 • 사 인 : 사형 • 호 : 이촌 (耳村) • 학 력 :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ㆍ독일 베를린 대학교 • 가 족 : 본처 (유부남) • 연 인 : 김수임 • 경 력 : 1945.. 2022. 10. 31.
파- 남로당 : 이현상 (1905)ㆍ남부군 총사령관 (빨치산) "이현상 (李鉉相ㆍ1905~ 1953.09.17ㆍ48세)"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ㆍ노동운동에 참여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박헌영"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ㆍ남조선로동당 활동"을 하였다.(1925년, "6ㆍ10 만세운동"에 앞장섰다가, 첫 감옥살이)ㆍ해방 후에는 남조선로동당의 간부ㆍ지리산 일대를 중심으로 파르티잔 활동을 주도했다. 1. 이현상 (李鉉相ㆍ1905~ 1953.09.17ㆍ향년 48세)공산주의 계열 독립운동가ㆍ사회주의자ㆍ노동운동가ㆍ혁명가ㆍ정치가ㆍ시인ㆍ군인 • 출 생 : 충남 금산군 군북면 외부리 • 사 망 : 지리산에서 사살 • 사 인 : 처형 (사살) • 묘 소 : 화장ㆍ북한 애국열사릉(1968년 조성된 이현상의 가묘가 있음) 북한의 제1호 "열사증"을 추서 받.. 2022. 10. 31.
파- 남로당 : 리승엽 (1905)ㆍ인민검열위원장ㆍ서울시장 ( 625 전쟁시) "리승엽 (李承燁ㆍ1905~1954ㆍ49세)"은 1950년, "6ㆍ25 한국전쟁" 중, "서울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겸 서울시장"으로 재직했다. 당시 서울에 남아있던 미처 피하지 못한 민족진영 인사인 "김규식ㆍ안재홍ㆍ정인보ㆍ방응모ㆍ김용무" 등의 납치를 지도했다. 1940년, "대화숙"에 가입하고, "식량배급조합 이사"를 지낸 적이 있었기에, 친일 활동을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1. 리승엽 (李承燁ㆍ1905~1954.07.30ㆍ향년 49세) 박헌영의 최측근ㆍ일제 강점기 친일 사회주의 운동가ㆍ북조선 정치인(최고인민회의대의원ㆍ인민검열위원장)ㆍ조선공산당 창설에 관여ㆍ조선로동당 초대 정치위원ㆍ노동운동가ㆍ언론인(기자) • 출 생 : 경기도 부평군 (원적지는 부천군) • 사 망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22. 10. 31.
파- 남로당 : 김단야 (1901)ㆍ박헌영 동지ㆍ주세죽/ 고명자 남편 "김단야 (金丹冶ㆍ김태연(金泰淵)ㆍ1901~1938ㆍ37세)"는 동지인 "박헌영"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박헌영"이 죽은 줄로만 알던 "주세죽(박현영 부인)"에게 박헌영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숨긴 채, "주세죽"과 3번째로 결혼했다. 1. 김단야 (金丹冶ㆍ김태연(金泰淵)ㆍ1901~1938ㆍ향년 37세) 독립운동가(사회주의 계열)ㆍ언론인ㆍ고려공산당 당무위원ㆍ1920년대, "삼인당(三人黨 : 박헌영ㆍ임원근)"이라고 불리며, "공산주의 활동" ㆍ1925.10.15일, "조선일보"는 "총독부"의 압력에 의해 17명의 기자를 해직시켰는데, "김단야ㆍ 박헌영ㆍ임원근"도 해직당했다. 큰 키에 가는 몸매ㆍ성격도 사교성이 풍부해 외향적인 성격이었다고 한다. "조선일보" 기자 재직하면서, 글 쓰는 솜씨는 뛰어난데다.. 2022. 10. 31.
파- 남로당 : 박헌영 ③ (1900)ㆍ625 전쟁 남한봉기설ㆍ평가ㆍ생애 1950.05.17일, "박헌영 (朴憲永ㆍ1900~1956ㆍ54세ㆍ김일성과 12살 차이ㆍ서자 출신)"은 "평양 모란봉 극장"에서 열린 북한 당(黨)ㆍ정(政) 간부와 인민군 주요 지휘관 연석회의에서 "인민군이 서울만 점령하면, 남로당원이 들고 일어나, 남조선 전 지역을 해방시킬 것이다. 인민군의 진격은 해방된 지역을 향한 승리의 행진이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그러나 "김일성"이 "박헌영의 남로당 20만 봉기 설"을 믿고 전쟁을 일으킨 것은 아니다. "구 소련 문서"에 나타나듯, "김일성"은 "스탈린ㆍ모택동"의 지원을 믿었을 뿐이다. 1. 평가 (긍정적ㆍ부정적)① 남북의 외면ㆍ평가 절하북한에서는 "김일성의 경쟁자"로서 제대로 된 평가를 내리지 않고 있고, 남한에서는 "월북인사이며, 사회주의자"라는 이유로 .. 2022.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