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95 학교 : 민영휘 (하정ㆍ1852)ㆍ휘문고ㆍ풍문여고ㆍ남이섬ㆍ친일파 대표 "민영휘 (閔泳徽ㆍ1852~1935ㆍ83세)"는 "명성황후"와 촌수는 상대적으로 먼 편이었지만, "여흥 민씨"의 대표급으로서, 백성들의 원성이 많이 집중되었다. 그는 경제에 밝아, 쉽게 갑부가 되었다. 관직에 있을 때, 수탈한 재물을 잘 불려서,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 최고의 갑부 중 한 사람으로 꼽혔다. 귀족 출신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대자본가"로 변신에 성공한 경우로, "권력형 부정축재"로 분류된다. 1. 민영휘 (閔泳徽ㆍ1852~1935ㆍ향년 83세) 조선말 정치인ㆍ고위관료(예조판서ㆍ공조판서ㆍ병조판서ㆍ이조판서)ㆍ천일은행(상업은행 전신) 설립ㆍ일제강점기, 최고 갑부 중 한 사람 (권력형 부정축재자)ㆍ명성황후 친척 조카(척족 세력의 중심인물)ㆍ"청ㆍ일 전쟁"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 인물ㆍ광성의숙(190.. 2022. 11. 3. 항일민족 변호사 : 이인 (애산ㆍ1896)ㆍ반민특위 해산ㆍ법무부장관 "이인 (李仁ㆍ1896~1979ㆍ83세)"은 1949.07.07일,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이 되어, "반민특위"를 와해ㆍ해체시켰다. "반민특위 특경대"를 해산시키고, 신변보호를 담당하던 경찰마저도 모두 철수시켜, "더 이상 반민족 행위자의 체포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반민특위 해체"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반민법 개정안"을 제출하였고, 그나마 기소된 친일파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시켰다. 1. 이인 (李仁ㆍ1896~1979ㆍ향년 83세) 법조인(인권변호사 : 김병로ㆍ허헌)ㆍ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 말기, 창씨개명 거절)ㆍ군정청 검찰청 검찰총장ㆍ법무부장관 (초대)ㆍ반민특위 위원장(반민특위 강제해산)ㆍ법전편찬위원회 부위원장 • 출 생 : 대구 중구 사일동 • .. 2022. 11. 3. 항일민족 변호사 : 김병로 (가인ㆍ1887)ㆍ대법원장 (초대)ㆍ김종인 조부 "김병로 (金炳魯ㆍ1887~1964ㆍ77세)"는 "남조선과도정부 사법부 부장ㆍ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특별재판부 재판장ㆍ대법원장 (초대)"을 지냈다. 후배 법관들에게 청렴ㆍ강직을 강조했고, 소신있는 법관ㆍ강직한 공인으로서의 자세를 철저히 지켰으며, 해박한 법률지식의 소유자였다. 1. 김병로 (金炳魯ㆍ1887~1964ㆍ향년 77세) 독립운동가ㆍ통일운동가ㆍ법조인 (인권변호사 : 이인ㆍ허헌)ㆍ정치가ㆍ최익현(崔益鉉)의 의병에 가담 • 출 생 : 전북 순창군 복흥면 하리 • 사 망 : 서울 중구 인현동 자택 (강북구 수유동 선열묘역) • 호 : 가인 (街人) • 사 인 : 간장염ㆍ지병으로 한쪽 다리를 절단 (이승만과의 반목)• 학 력 : 니혼 대학 전문부 법학과ㆍ메이지 대학 야간부 법학.. 2022. 11. 3. 항일민족 변호사 : 허헌 (긍인ㆍ1885)ㆍ변호사 (1호)ㆍ중도좌파 "허헌 (許憲ㆍ1885~1951ㆍ66세)"은 일제강점기 "노동자ㆍ빈민층" 등을 위한 재판에 변호사로 활동한 법조인이다. 일본에 유학하여 "메이지대학(明治大學)법과를 졸업하여,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ㆍ변호사(1호)가 되었다. 귀국 후, 사회운동가로서, 민간 독립운동단체와 연관을 맺었고, 사상적으로 "좌익 경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우파"와 교분이 깊어, "중도좌파"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1. 허헌 (許憲ㆍ1885~1951ㆍ향년 66세) 대표적 항일변호사 (1호 변호사)ㆍ독립운동가ㆍ변호사 출신의 북조선 정치인ㆍ김일성대학 총장ㆍ일제시기, 독립 운동가들을 변호하던 "3대 민족인권 변호사" (이인ㆍ김병로)ㆍ통일운동가ㆍ일제시기, 일본 유학 중 사회주의를 공부하고, 조선에서 "박헌영-주세죽 부부ㆍ조봉암-김조이.. 2022. 11. 3. 사건- 38.12 : 간도특설대 (백선엽ㆍ김백일ㆍ송석하) "간도 특설대 (間島特設隊ㆍ간도특설부대ㆍ간토 토쿠세스부타이)"는 "일본 제국"의 괴뢰국 "만주국" 북부에 있던 "사회주의" 계열, 민족 해방세력인 "팔로군ㆍ동북항일연군ㆍ조선의용대ㆍ대한독립군단(만주 북서부"에 잔존)"을 토벌하기 위한 특수 목적을 띈 "독립군 토벌부대"로, 독립운동ㆍ항일 항만주운동의 탄압에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다. 1938년, "조선인 중심"으로 조직, 1939년부터 본격적인 작전을 수행하였으며,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존속했다. "만주국" 내에서 항일운동을 하는 "독립군(1939~1943)"과 "열하성ㆍ하북성"에서 "팔로군"과의 전투(1944~1945)를 수행했다. 1. 간도 특설대 (間島特設隊ㆍ간도특설부대ㆍ간토 토쿠세스부타이) • 창립 취지 : "만주사변(1931)ㆍ중일전쟁(1937)" .. 2022. 11. 2. 파- 빨치산 : 강건 (1918)ㆍ인민군 초대 총참모장ㆍ공화국 영웅 "강건 (姜健ㆍ강신태(姜信泰ㆍ1945년 개명)ㆍ1918~1950.09.08ㆍ32세)"은 "김일성"의 핵심 측근으로, 조선인민군의 초대 총참모장이다. "제1군관학교"를 개명한 평양의 "강건 종합군관학교"는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강건"이 전사한 후, "김일성ㆍ박헌영"이 장례식에서 직접 관을 운구했다. 1. 강 건 (姜健ㆍ강신태 (姜信泰ㆍ1945년 개명)ㆍ1918~1950.09.08ㆍ향년 32세)공산주의 항일 운동가ㆍ북조선 군인ㆍ정치인ㆍ인민군 전선사령부 사령관ㆍ중국 공산당 예하의 동북항인연군 "주보중(周保中)"의 비서로 활동) • 출 생 : 일제강점기 경북 상주군 • 사 망 : 경북 안동 • 사 인 : 전사 (지뢰 폭발 사고로 전사)• 본 명 : 강신태 (姜信泰) 1945년 "강건.. 2022. 11. 2. 파- 빨치산 : 김일 (1910)ㆍ김일성의 오른팔ㆍ국가 부주석 "김일 (金一 ㆍ박덕산(朴德山)ㆍ1910~1984ㆍ74세)"은 일제강점기, "동만주 일대"에서 "김일성"과 항일무장투쟁에 참여하였다. "북조선 내각 총리(2대)ㆍ국가 부주석"으로, "김일성"의 오른팔이었으며, "오른팔"이란 표현은 "김일성"이 직접 언급한 말이다. 1. 김 일 (金一 ㆍ박덕산(朴德山)ㆍ1910~1984ㆍ향년 74세)일제강점기 항일 독립 운동가(만주 빨치산)ㆍ소비에트 연방 군인ㆍ사회주의운동가ㆍ북조선 군인ㆍ정치인ㆍ"내각 제1부수상(1959.01~1972.12월)"으로 "김일성(내각 수상)"을 보좌하였고, 시종일관 "김일성ㆍ최용건"에 이어, 권력서열 3위의 자리를 지켰다.• 출 생 : 함북 경성군 어랑 • 사 망 : 평양 • 사 인 : 병사 (대성산 혁명열사릉)• 별.. 2022. 11. 2. 파- 빨치산 : 최현 (1907)ㆍ김정일 옹립ㆍ최룡해 (인민무력부장) 부친 "최현 (崔賢ㆍ최득권 (崔得權)ㆍ1907~1982ㆍ75세)"은 빨치산 출신으로, 인민무력부장ㆍ부총리를 역임했다. "홍범도 부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최화심 (崔化心)"이 아버지이고, 인민무력부장 "최룡해 (崔龍海ㆍ1950~ )"는 아들이다. 1. 최현 (崔賢ㆍ최득권 (崔得權)ㆍ1907~1982ㆍ향년 75세)일제 강점기 공산주의 항일운동가ㆍ군인ㆍ정치인ㆍ"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제88국제여단"에서 "제1군"의 "김일성"이나 "최현 (제1로군 제4사의 단장으로, 후의 북한 인민무력부장)"의 이름은 "조선일보"와 같은 신문 등을 통해 조선에 알려져 있었다. "일본"은 "김일성ㆍ최현"에 현상금을 걸었다.국무위원회 부위원장ㆍ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ㆍ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ㆍ조선인민군 대.. 2022. 11. 2. 파- 빨치산 : 성시백 (1905)ㆍ원조 남파 간첩ㆍ북조선 영웅 1호 "성시백 (成始伯ㆍ1905~1950ㆍ45세)"은 원조격인 남파 간첩으로, 북조선공화국 영웅 1호이다. "김일성"이 회고하기로, 스파이 능력이 얼마나 출충했는지, 노인 변장을 해서 "성시백"인 줄 모를 정도였다고 한다. 심지어 조선인인 것조차 주변 중국인들에게 완벽하게 기만, 숨겼다고 전한다. "조선중앙일보ㆍ광명일보"를 비롯한 10여 종이나 되는 신문들을 경영하여, 선전공작에 이용하였다. 1. 성시백 (成始伯ㆍ1905~1950ㆍ향년 45세) 대표적인 남파 간첩ㆍ대남 공작원ㆍ공산주의 운동가ㆍ정치가 (중국공산당ㆍ조선공산당)ㆍ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화국 영웅 1호ㆍ북로당 남반부정치위원회 최고 책임자ㆍ22세 때, "상해"로 건너가, "중국 공산당" 가입ㆍ공산주의 운동 (20년 동안) "김일성"은 경쟁자인 ".. 2022. 11. 2. 파- 빨치산 : 김책 (1903)ㆍ김일성이 존경하는 인물ㆍ김일성 최측근 "김책 (金策ㆍ1903~1951.01.30ㆍ48세)"은 공화국 수립 후, "김일성"의 최측근으로 활동했으며, 북조선 정권의 핵심으로 활동하였다. "김일성"은 "빨치산" 시절부터 자신을 지지해 준 "김책을 존경하였다"고 한다. 1. 김책 (金策ㆍ1903~1951.01.30ㆍ향년 48세) 독립운동가ㆍ군인ㆍ정치인ㆍ"최고인민회의"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고향인 "학성군"은 "김책군"으로, "성진시"를 개명하여 "김책시"로, "청진 제철소"를 개명하여 "김책 제철소"로, "유자녀 군사학원"은 "유자녀 김책 군사학원"으로, "인민군 제2정치군관학교"는 "김책 군관학교"로, "서울근위 제4사단"은 "김책 서울근위 제4단"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평양의 김책 공업종합대학" 등 시설물은 그의 이름을 명명한 것이.. 2022. 11. 2. 파- 빨치산 : 최용건 (1900)ㆍ서열 2위ㆍ인민군 총사령관(초대) "최용건 (崔庸健ㆍ1900~1976ㆍ76세)"은 "김일성"에게 반말을 할 수 있는 예외적인 인물이었다. 존칭을 쓸 경우에도, "일성 동지ㆍ김 장군"이라고 부르곤 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에서 "연합군"에 패배한 장군이다. 1. 최용건 (崔庸健ㆍ1900~1976ㆍ향년 76세)독립운동가ㆍ"김일성"에 이어, 권력서열 2위ㆍ조선인민군의 총사령관(초대)ㆍ북조선 제2대 국가수반ㆍ"김일성"에게 반말을 할 수 있었던 몇 안 되는 군인ㆍ애국자로도 평가된다. • 출 생 : 평북 태천군 • 사 망 : 평양 묘향산 • 사 인 : 병사 • 학 력 : 중국 운남군관학교 졸업 • 호 : 석천 (石泉) • 별 칭 : 최석천(崔石泉)ㆍ최추해(崔秋海)ㆍ김지강(金.. 2022. 11. 2. 파- 빨치산 : 김정일 여자ㆍ홍일천ㆍ성혜림ㆍ김영숙ㆍ고용희ㆍ김옥 "김정일 (金正日ㆍ1941~2011ㆍ향년 70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지도자ㆍ국방위원회 위원장이다. 아버지 "김일성 (金日成ㆍ김성주(金成柱)ㆍ1912~1994ㆍ82세)"과 어머니 "김정숙 (金正淑ㆍ1917~1949ㆍ32세)" 사이에서 태어난 1째 아들이다. 1. 홍일천 (洪一茜ㆍ1942~ ㆍ혁명가 유자녀ㆍ기간 : 1966~1969)• 김일성종합대학 러시아문학부ㆍ김정일과 대학동기 • 자 녀 : 딸(1) : 김혜경"김정일"과 1966년 결혼하여, 1번째 아내가 된 인물이다. "김혜경"이라는 딸을 낳았으나, "김정일"이 "성혜림"과 가까워지면서, 3년 후 이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1.09월 "김형직 사범대학 학장"에 임명된 이후, 지금까지 그 직함을 유지하고 있다. 1980년에 "최.. 2022. 11. 1. 이전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1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