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 (金一 ㆍ박덕산(朴德山)ㆍ1910~1984ㆍ74세)"은 일제강점기, "동만주 일대"에서 "김일성"과 항일무장투쟁에 참여하였다. "북조선 내각 총리(2대)ㆍ국가 부주석"으로, "김일성"의 오른팔이었으며, "오른팔"이란 표현은 "김일성"이 직접 언급한 말이다.
1. 김 일 (金一 ㆍ박덕산(朴德山)ㆍ1910~1984ㆍ향년 74세)
일제강점기 항일 독립 운동가(만주 빨치산)ㆍ소비에트 연방 군인ㆍ사회주의운동가ㆍ북조선 군인ㆍ정치인ㆍ"내각 제1부수상(1959.01~1972.12월)"으로 "김일성(내각 수상)"을 보좌하였고, 시종일관 "김일성ㆍ최용건"에 이어, 권력서열 3위의 자리를 지켰다.
• 출 생 : 함북 경성군 어랑 • 사 망 : 평양 • 사 인 : 병사 (대성산 혁명열사릉)
• 별 칭 : 김덕산 • 본 명 : 박덕산(朴德山) "김일"의 본명은 "박덕산"으로, "김일성"이 해방 직후, 그에게 지어준 이름이다. 해방 직후, "김일성"은 "본명을 나밖에 모른다."는 뜻으로, 하사한 이름이 "김일(金一)"이다.
"함북"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1932년, "지하당 및 대중단체사업"을 벌였으며, 1935.10월 "항일무장 대오"에 들어선 후, 주요 군사 정치 간부로 많은 활동을 했다. 광복 후, 북한에서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북조선공산당 평북 당비서(1945.11)ㆍ북조선노동당중앙위원회 상무위원 겸 정치위원(1946.04) 등을 지냈으며, 1946.09월, "제1사단 문화부사단장ㆍ인민군사령부 문화부사령관ㆍ민족보위성 부상"으로 "인민군 강화"에 노력했다.
1950년 "한국전쟁" 중, "민족보위성 부상ㆍ내무성 정치국장ㆍ전선사령부 군사위원"으로서 "군의 정치 사상분야"를 담당하였으나, 1950.12월에 열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3차 전원회의"에서 군의 정치공작사업 실패를 이유로 비판을 받고, 파면 당하였다.
그러나 "김일성"의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던 그는 곧 재기하여, 전후에는 줄곧 정권기관에서 "김일성"을 보필하였고, 1953.06월, "박헌영" 등 남로당계 지도인사들이 당에서 축출되는 과정에서, "당 중앙위원회 비서"가 되었다. 특히 동구의 사회주의 국가를 방문할 때는 대부분 참석했던 것으로 보아 북한에서의 그의 외교적 위치를 짐작할 수 있으며, 1979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직을 맡으면서 대남 관계에도 앞장섰다.
2. 항일유격대 출신
1931년, "동 만주"에서 "반제동맹"에 참가하였고, 1935.01월, "공산청년동맹"을 지냈다. 1935.10월, "항일유격대"에 참가하였다. 1938.11월, "항일연군 제1로군"의 조직재편이 단행되어, "김일성"이 이끄는 "제6사"가 "제2 방면군"으로 개편될 당시, "제2 방면군 제8단 정치위원"이 되었다. 1940년 이후, "일제의 대토벌"을 피해, "소련" 영내로 이동해 간 후, 1941년 "블라디보스토크" 근처에 있던 "항일유격대의 남야영(南野營)" 당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소련"으로 이동해 간 뒤에도, 소부대를 이끌고, "만주"로 돌아가 "왕청현(汪淸縣)" 일대에서 지하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42.07월, 결성된 "동북항일연군 교도려(敎導旅)"에서 "김일성"이 영장이었던 "제1영의 당서기"가 되었고, "항일유격대" 출신인 "허창숙"과 결혼하였다.
광복 직후, 북한으로 돌아온 뒤, 초기에는 당과 군사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1945.11월,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평북도당 위원장"이 되었다. 1946.04월, "북조선공산당 중앙 집행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46.08월, 신설된 "보안간부훈련대대부 문화부사령관"에 취임하는 한편, "북조선노동당"이 창립되면서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48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당선된 이래, 사망 시까지 계속 당선되었다. 1948.02월, "조선인민군" 창군 시, "문화부사령관"에 취임하였다.
1953.08월, "전원회의"에서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에 뽑혔다. 1954.03월, "내각 부수상"에 기용되었다. 1954.03월, "내각 부수상 겸 농업상"의 직책에 있으면서, 전후 복구시설과 사회주의 기초건설에 관한 당의 노선과 정책을 진행시켰다. 1959.01월, 북한의 "내각 제1부수상"으로 승격되었으며, 1966.10월에는 "조선노동당 정치위원회 상무위원 겸 비서"가 되었다. 1972.12월, 새로이 제정된 "헌법"에 따라 만들어진 "정무원의 총리"가 되었다. 1976.04월, "국가 부주석"으로 선임되었다.
'한국 (근 • 현대사) > 공산주의 (남로당 • 빨치산 • 연안파 • 소련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 남로당 : 박헌영 ② (이정ㆍ1900)ㆍ김일성과의 갈등ㆍ처형 (1) | 2025.04.22 |
---|---|
파- 빨치산 : 강건 (1918)ㆍ인민군 초대 총참모장ㆍ공화국 영웅 (2) | 2022.11.02 |
파- 빨치산 : 최현 (1907)ㆍ김정일 옹립ㆍ최룡해 (인민무력부장) 부친 (2) | 2022.11.02 |
파- 빨치산 : 성시백 (1905)ㆍ원조 남파 간첩ㆍ북조선 영웅 1호 (2) | 2022.11.02 |
파- 빨치산 : 김책 (1903)ㆍ김일성이 존경하는 인물ㆍ김일성 최측근 (0) | 2022.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