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149

유학 ⑤ (인물) 이황ㆍ기대승ㆍ이이ㆍ성혼 "이황 (李滉ㆍ이이와 35살차)"은 "훈구파(윤원형 등)"에게 실망하여, 27번 관직제수가 들어왔음에도 관직을 맡지 않고, 1568년에 "성학십도(聖學十圖ㆍ성리학에 이룰 수 있는 10가지 그림ㆍ왕이 주체적으로 수양하라)"를 "선조"에게 바치고, 후학을 양성하였고, "이이 (李珥)"는 과거를 통해 관직생활 진출 후, 죽을 때까지 관직생활을 한다. 1. 이 황 (李滉ㆍ이이와 35살차)ㆍ이 이 (李珥) 의 차이 2. 이황 (李滉ㆍ1502~1571ㆍ68세ㆍ이이와 35살차)ㆍ도산서원(경북 안동)ㆍ예안 향약주리론ㆍ이기이원론ㆍ"이발(理發)" 주장 / 사상 : 이기이원론 (理氣二元論 : 이가 기보다 우위에 있다)ㆍ이존기비 (理尊氣卑 : 이는 존귀하고, 기는 비천하다)ㆍ이기호발 (理氣互發 : 이와 기, 모두 각자 발할 .. 2022. 9. 20.
유학 ④ 사단 칠정론ㆍ이기 이원론ㆍ이기 일원론 "사단 (四端)"은 선한 본성ㆍ선천적인 도덕적 능력ㆍ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선함을 말하며, "칠정 (七情)"은 다양한 감정ㆍ인간의 자연적인 감정ㆍ인간의 본성이 사물을 접하면서 표현되는 것이다. "이기 이원론"은 "이황"을 거쳐 "성혼"에게 이어지고, "이기 일원론"은 "기대승"을 거쳐,"이이"에게로 이어진다.1. 요약 : 성리학(性理學)의 철학적 개념 중 하나 • 사단 (四端) : 선한 본성ㆍ선천적인 도덕적 능력ㆍ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선함 • 칠정 (七情) : 다양한 감정ㆍ인간의 자연적인 감정ㆍ인간의 본성이 사물을 접하면서 표현되는 것 • 이기 이원론 (이황→ 성혼)ㆍ주리론 (二元論ㆍ主理論) : 사단(선한 본성)이 칠정(다양한 감정)으로 표출, 이(理)와 기(氣)는 서로 다르게 존재한다는.. 2022. 9. 20.
유학 ③ 이기론ㆍ주리파ㆍ주기파 (성리학) "주희 (朱熹ㆍ1130~1200ㆍ호- 염계(濂溪): 위대한 성리학자ㆍ합리주의자ㆍ후에 주자란 극존칭)"에 의해 확립된 "이기론(理氣論)"은 "성리학"의 토대가 되는 "존재론"이다. 1. 이기론 (理氣論) : 이황 : 이(理)= 이상세계ㆍ기(氣)= 현실세계• 이 (理) : 이황(영남)→ 관념ㆍ이상 / 만물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절대적인 법칙ㆍ원리 / 이학 (理學)ㆍ체 (體)ㆍ성 (性)ㆍ형이상 (形而上)ㆍ절대적인 선• 기 (氣) : 서경덕ㆍ기대승ㆍ이이 (기호 호남)→ 경험ㆍ현실 / "선ㆍ악"이 섞여 있음ㆍ모종의 에너지 / 기학 (氣學)ㆍ용 (用)ㆍ정 (情)ㆍ본체- 형이상 (形而上), 발현- 형이하 (形而下)"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성리학"의 이론이다. "이기론"은 "이학(理學)ㆍ기학(氣.. 2022. 9. 20.
유학 ② 실학ㆍ양명학ㆍ고증학ㆍ훈고학ㆍ예학 "공자"는 "질서란, "일군만민(하나의 왕과 그 아래 모든 백성)" 즉, "성군"이라 불리는 사람이 "왕"이 되고, "충성ㆍ의리"로 무장된 "사대부"가 "왕"을 보필하면서 "정치"를 행하며, "효성ㆍ어진마음"으로 단련된 "백성들"이, 이들을 믿고 따른다면, "전쟁이 일어날 이유도 없고, 정말 평화롭게 살 수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따르던 "제자들"에 의해, 발전된 것이 바로 "유학"이다. 5. 실학 (實學ㆍ기존 유학- 성명의리지학): 조선후기 (17C 중엽~ 19C 초반)• 나라를 부강하게 하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학문으로, 현실 개혁적 유학의 학풍 /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다. 중국에서 실학 학풍이 세워진 것은 "명나라" 말기 서구과학의 전래와 ".. 2022. 9. 20.
유학 ① 유학ㆍ성리학ㆍ예학 "공자"는 "질서란, "일군만민(하나의 왕과 그 아래 모든 백성)" 즉, "성군"이라 불리는 사람이 "왕"이 되고, "충성ㆍ의리"로 무장된 "사대부"가 "왕"을 보필하면서 "정치"를 행하며, "효성ㆍ어진마음"으로 단련된 "백성들"이, 이들을 믿고 따른다면, "전쟁이 일어날 이유도 없고, 정말 평화롭게 살 수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따르던 "제자들"에 의해, 발전된 것이 바로 "유학"이다. 1. 16C : "성리학"이 심화되는 시기로, "예학"이 형성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 17C : "예학"의 시기 • 18C : "실학"의 시기 - 실학자 (노론 북학파) : 박지원→ 박제가→ 김정희→ 흥선대원군ㆍ박규수ㆍ효명세자 (헌종 친부, 고종 양부) • 전국시대 : "맹자"로 대표되는 "내성파" 학문ㆍ"순자.. 2022. 9. 20.
선비 ③ 사화 (士禍)ㆍ사화 (史禍) "사화 (士禍)"는 선비가 화를 입었다는 뜻ㆍ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말하는 것이고, "사화 (史禍)"는 "무오사화 (戊午史禍)" 처럼 "사관(史官)"들이 화를 입었다는 말이다. 1. 개요 • 사화 (士禍): 선비가 화를 입었다는 뜻ㆍ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 • 사화 (史禍): "무오사화"는 "사관(史官)"들이 화를 입었다는 뜻 • 4대 사화 (士禍): "사림"이 화를 당한 1498년(연산군4)~1545년(명종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 옥사 • 성종 (1469~1495)→ 연산군 (1494~1506ㆍ폐비윤씨 (1455~1482))→ 중종 (1506~1544)→ 인종 (1544~1545)→ 명종2. 배경"성종" 때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사림 세.. 2022. 9. 19.
선비 ② 훈구파ㆍ사림파 비교 "훈구파 (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하며, "사림파 (士林派)"는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ㆍ학자로서 15C 이후에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다. 1. 훈구파 (勳舊派)"관학파ㆍ권문세족"의 자손들이 "조선 훈구파"로 가기도 했다. 이들은 대개 "세조의 찬위"를 도운 "공신ㆍ총신(寵臣)ㆍ어용학자들"로서 높은 관직에 등용되었으며, "공신전"의 지급을 받아 막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능란한 문필로 여러 가지 "관찬사업(官撰事業)"에 참여하여, 많은 업적을 남기기도 했다."성종" 즉위 이후, "사림파"의 등장으로 안전에 위협을 느꼈으나, "연산군" 대에 들어 "무.. 2022. 9. 19.
선비 ① 훈구파ㆍ사림파ㆍ생육신ㆍ사육신 "선비"라는 말은 "용비어천가 (1447, 80장)"에 처음 나타나며, 조선 사회에서 "학문을 닦는 사람"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로, "어질고 학식과 인품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1. 유림 (선비 사회) 4파벌 : 훈구파 (勳舊派)ㆍ사림파 (士林派)ㆍ청담파 (淸談派)ㆍ절의파 (節義派)① 훈구파ㆍ기호파 (畿湖派) : "세조"의 찬역 (簒逆)을 도와, 높은 지위ㆍ많은 녹전을 차지한 부귀가 겸전한 일파 → 정인지ㆍ최항ㆍ이석정ㆍ양성지ㆍ권람ㆍ신숙주ㆍ강희맹ㆍ서거정ㆍ이극돈 ② 사림파ㆍ영남파 (嶺南派) : "김종직 (밀양 출신ㆍ동방성리학의 정통을 이어받은 대학자)"를 중심으로 한 일파 → 김종직의 제자 : 김굉필ㆍ정여창ㆍ조위ㆍ김일손ㆍ유호인 ③ 청담파 : "중국의 죽림칠현"을 본떠, 서울 동대문 밖 "죽림"에 모여,.. 2022. 9. 19.
당파 싸움ㆍ붕당 (朋黨)ㆍ계보 (1575년 (선조8)) 현대의 정당 (政黨)처럼 "정치적인 견해"를 중심으로 구분된 집단이 아니라, "지연, 학연, 이해관계"에 따라 무리가 니뉘고 구성되었으므로, "붕당 (朋黨)"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최초의 "붕당" 대립구도 성립은 1575년(선조8), "이황"을 추종하는 무리가 "서인"이 되고, "이이"를 추종하는 무리가 "동인"이 되었다. 서로 의견대립을 보이고, 이것이 다시 "노론ㆍ소론" 다시 "남인ㆍ북인" 등으로 갈라지는데, 이것이 "조선의 당파"의 효시인 것이다. 1. 붕당 (朋黨) 사림의 정권 장악→ 붕당의 형성 (뜻이나 이익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 결합체)"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지역적ㆍ학문적ㆍ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다. "붕당 정치"는 학문적 유대를 바탕으로 .. 2022. 9. 19.
상인 : 김만덕 (조선 최초CEOㆍ1739~ 1812ㆍ정조 때) "김만덕 (金萬德ㆍ1739~1812ㆍ향년 73세ㆍ기녀ㆍ제주 출생)"은 조선의 여자 상인이며, 조선 최초의 여자 CEO이다. 1793년 "제주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전 재산을 풀어, 육지에서 사온 쌀을 모두 "진휼미"로 기부하여, 빈사 상태의 "제주도 백성"들을 구제하여,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였다. 1. 김만덕 (金萬德ㆍ1739~1812ㆍ향년 73세ㆍ기녀ㆍ제주 출생)조선의 여자 상인ㆍ조선 최초의 여자 CEOㆍ제주에서는 "의녀(義女) 김만덕"으로 불린다. "김응열(중개상인)"의 딸로 태어났으며, 어려서 부모를 잃고, 12세 고아가 되었다. 1793년 "제주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전 재산을 풀어, 육지에서 사온 쌀을 모두 "진휼미"로 기부하여, 빈사 상태의 "제주도 백성"들을 구제하여, ".. 2022. 9. 19.
부덕 ⑥ 허난설헌 (허균의 누나ㆍ1563~1589ㆍ선조 때) "허난설헌 (許蘭雪軒ㆍ1563~ 1589ㆍ25세)"은 "허균 (許筠ㆍ1569~1618ㆍ홍길동전 저자)"의 누이로, "신동"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글재주"가 뛰어났으며, 아름다운 용모와 천품이 뛰어났다.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여성 문인(한시ㆍ시조ㆍ서화ㆍ산문ㆍ수필- 213수ㆍ시인ㆍ작가ㆍ화가)이다. 1. 허 난설헌 (許蘭雪軒ㆍ1563~ 1589ㆍ향년 25세)"허균 (許筠ㆍ1569~1618ㆍ홍길동전 저자)"의 누이ㆍ"재취 부인"의 소생으로 "서자"와 비슷한 처지ㆍ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여성 문인(한시ㆍ시조ㆍ서화ㆍ산문ㆍ수필- 213수)ㆍ시인ㆍ작가ㆍ화가시ㆍ산문ㆍ수필- 300여 수를 "213수" 정도가 현재 전한다. 서예ㆍ그림에도 능했다. 봉건사회의 모순과 잇따른 가정의 참화로, 시 213수 가운데 속세를 떠나고 .. 2022. 9. 19.
부덕 ⑤ 황진이 ② 일화 : 지족선사ㆍ벽계수ㆍ서경덕 "황진이 (黃眞伊ㆍ진랑(眞娘)ㆍ1506~1567ㆍ61세)"는 중종 때 기생으로, 뛰어난 "시 재주ㆍ학식ㆍ민감한 예술적 재능"과 함께 출중한 용모로 더욱 유명하였다. 당시 "생불"이라 불리던 "지족선사"를 10년 동안의 "면벽 수도"에서 파계시키는가 하면, "호기"로 이름을 떨치던 "벽계수"라는 왕족의 콧대를 꺾어놓기도 하고, 당대 최고의 은둔학자 "서경덕"을 유혹하기도 했다. 1. 지족선사 (知足禪師) : 10년 면벽 수도ㆍ생불 (살아있는 부처)ㆍ천마산에서 수도"중종"시절, 개성에 "황진이"라는 기생이 있었다. "시조"와 "가무"에 능한 "절색(絶色)"으로, 천하의 남자들이 그녀를 품지 못해 안달이었다. "생불(生佛)"로 소문난 개성의 "지족선사(知足禪師)"가 황진이 소식을 듣고 탄식했다. "우매한 중.. 2022.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