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인물 • 악녀 (10인) • 부덕 (6인)99

정도전 ③ 관계 : 정몽주ㆍ이방원ㆍ이성계 "정도전 (鄭道傳ㆍ1342~ 398ㆍ56세)"은 "정몽주 (鄭夢周)"와 함께, "조선 주자학 (朱子學)"의 첫머리에 놓이는데, 그는조선 건국을 설계한 기획자이자, "역성혁명 (易姓革命)"을 주도한 혁명가였고, "주자학 (朱子學)"을 통치 원리로 세운 "유학 (儒學)"의 대가였다. 그러나 그는 "조선왕조" 500년 내내, "간신 (奸臣)"으로 낙인찍혀 배척당했고, 조선 건국세력과 대립한 "정몽주"는 뒷날 "조선 주자학 (朱子學)"의 우두머리로 등극한다. 1. 정도전의 개혁ㆍ이방원의 개혁① 정도전의 개혁정도전은 "정치의 근본이 민(民)"이라고 했다. "유교정치"의 원리인 셈이다. 권력이 이곳에서 출발하고, 통치자가 민심(民心)을 잃으면 덕(德)이 있는 다른 사람에게 권력을 넘긴다. 그래야만 "이성계"가 국왕.. 2022. 10. 7.
정도전 ② 평가ㆍ경복궁 (근정전ㆍ강녕전) 뜻 "정도전 (鄭道傳ㆍ1342~ 398ㆍ56세)"은 조선 건국 직후부터, "참모" 역할을 버리고, 실질적 "주상의 길"을 걸은 것, "주원장"과의 대결에 집중하느라, "이방원"의 야심을 확실히 견제하지 못한 것들이 건국 6년 만에 그가 허무하게 무너지게 만든 핵심 요인들이었다. 1. 평 가① 역사에서 보기 드문 "참모"였다."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를 창업했을 뿐만 아니라, 새 왕조의 "건국이념ㆍ대외관계ㆍ경제체제ㆍ정치체제ㆍ사회체제ㆍ종교철학ㆍ도시구조" 등을 거의 혼자 힘으로 설계했다. 그는 중국의 전설적 참모인 "주공단ㆍ장량(장자방)ㆍ주은래(저우언라이)"등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다. 어쩌면 이들보다 더 나았는지도 모른다. 이들은 "정도전"처럼 국가의 구도를 전면적으로 설계하지는 못했다. 이들이 더 나은 .. 2022. 10. 7.
정도전 ① 조선의 설계자ㆍ밀본 (密本)ㆍ육룡이 나르샤 "정도전 (鄭道傳ㆍ1342~ 398ㆍ56세)"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되는 격동의 시기에 역사의 중심에서, 새 왕조를 설계한 인물로, "조선의 설계자ㆍ최고의 혁명가"이다. 그러나 자신이 꿈꾸던 "성리학적 이상세계"의 실현을 보지 못하고, 끝내는 정적인 "태종(이방원)"의 칼에 단죄되어, 조선 왕조의 끝자락에 가서야, 겨우 신원(伸寃)되는 극단적인 삶을 살았다. 1. 정도전 (鄭道傳ㆍ1342~ 1398ㆍ향년 56세ㆍ호 : 삼봉 (三峰)) 이성계 (1335~1408ㆍ73세)ㆍ정몽주(1337~1392ㆍ55세)ㆍ이방원 (태종ㆍ1367~1422ㆍ55세)조선개국(1392)시, 50세ㆍ고려 말~조선 초 문신ㆍ유학자ㆍ외교관ㆍ정치가ㆍ사상가ㆍ혁명가ㆍ조선 초기 성리학자(性理學者)의 한사람ㆍ유학(儒學)의 대가(大家)ㆍ지방 향.. 2022. 10. 7.
흥선대원군 ③ 진채선 (애첩)ㆍ신재효 (스승)ㆍ도리화가 "흥선대원군"과 22살 차이가 나는 애첩으로 알려진, "진채선 (陳彩仙ㆍ1847~ ? )"은 최초의 판소리 여류 명창으로, 그녀의 생애는 객관적인 사실보다는 불확실한 구전이나 상상력의 산물이 대부분이며, 스승 "신재효"가 연정을 듬뿍 담은 "도리화가"를 지어 보냈다. 1. 진채선 (陳彩仙ㆍ1847~ ? ) : 최초의 판소리 여성 명창ㆍ대원군의 애첩 (22살 차)최초의 "여류명창"으로 알려진 그녀의 생애는 객관적인 사실보다는 불확실한 구전이나 상상력의 산물이 대부분이며, 스승 "신재효"가 연정을 듬뿍 담은 "도리화가"를 지어 보냈다. 1867년, "경복궁" 중건 축하 "경회루 낙성연"에서 출중한 기예를 발휘하여 청중을 놀라게 했고, "흥선대원군"을 처음 만나 "애첩"이 되어(진채선 20살ㆍ대원군 47살.. 2022. 9. 27.
흥선대원군 ② 척화비ㆍ강화도 조약ㆍ동학운동 사주 "흥선대원군 (興宣大院君ㆍ1820~1898ㆍ77세)"은 "이호준 (이완용의 양아버지)"과도 교분을 쌓게 되는데, "이호준"은 첩에게서만 아들 (이윤용)이 있었고, 정실부인에게는 아들이 없어, "이완용"을 양자로 맞이하였다. 대원군은 "이완용ㆍ이윤용(이완용의 이복 서형)" 형제를 신임하여, "이윤용"에게 자신의 첩이 낳은 서녀를 시집보내 사위로 삼았다. 훗날 "이완용ㆍ이윤용" 형제는 "친일파"가 되는데, 그 빌미를 대원군이 만들어준 셈이었다. 1. 척화비 : 병인양요 (1866.10/ 프랑스와 전쟁)ㆍ신미양요 (1871.06월/ 미국과 전쟁)① 병인양요 (1866.10~12월)1866년 (고종3), 대원군의 "병인박해 (천주교 탄압)"을 구실 삼아, "외교적 보호"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 2022. 9. 27.
흥선대원군 ① 이하응 (1820~1898)ㆍ석파(石坡) "흥선대원군 (興宣大院君ㆍ1820~1898ㆍ77세)"은 "고종 (高宗ㆍ1852~1919ㆍ66세ㆍ조선 26대 왕ㆍ대한제국 초대 황제)"의 아버지ㆍ대한제국 황족ㆍ추존왕ㆍ정치가ㆍ화가이며, "쇄국정책ㆍ천주교도 대량 학살ㆍ무리한 경복궁 중건 과정ㆍ일본에게 명성황후의 제거를 청탁한 점" 등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1. 흥선대원군 석파 이하응 (興宣大院君ㆍ石坡 李昰應ㆍ1820~1898ㆍ향년 77세) "영조"의 "5대손"ㆍ스승- 박제가ㆍ김정희 ("남연군(4남-흥선대원군)"과 이종사촌 간)ㆍ학풍 : 박지원→ 박제가→ 김정희→ 박규수ㆍ흥선대원군 생계가 궁했던 대원군은 "매난국죽" 등을 그려, "양반사대부가문ㆍ중인가문ㆍ역관" 등에게 팔았는데, "중인ㆍ역관"들을 통해 "석파 란"의 명성이 "청나라ㆍ일본"에도 알려졌다.•.. 2022. 9. 27.
악녀 ⑩ 명성황후ㆍ민비 ③ 무당 신령군ㆍ진령군 고종과 "명성황후 (明成皇后ㆍ민자영ㆍ민비ㆍ1851~1895.10.08ㆍ44세)"는 "북묘 (北廟)ㆍ북관왕묘"의 주인 박 씨(무당)을 "신령군 (神靈君)ㆍ진령군 (鎭靈君)"이라 불렀다. 자신들을 보호하는 "수호신령ㆍ수호진령"이라는 뜻이다. 1. 벼슬명 (군호) : 신령군 (神靈君ㆍ진령군 (鎭靈君)ㆍ ? ~ ?ㆍ박창렬 ( 朴昌烈)?ㆍ충주 출신?) "고종ㆍ명성황후"는 "신령군 (神靈君)ㆍ진령군 (鎭靈君)"의 말을 듣고, "순종"의 병을 고치기 위해, "금강산" 12,000봉에 "굿"을 하도록 하여, 각 봉우리마다, "쌀 1섬ㆍ돈 천냥ㆍ무명 1필" 씩을 바쳐, 나라는 비정상적으로 운영됐고, 국고는 고갈됐다. • 아들 : 김창렬 : 당상관의 관복을 입고 다니며 실세 노릇을 하자, 조정의 고위 관료들 중 몇.. 2022. 9. 27.
상인 : 김만덕 (조선 최초CEOㆍ1739~ 1812ㆍ정조 때) "김만덕 (金萬德ㆍ1739~1812ㆍ향년 73세ㆍ기녀ㆍ제주 출생)"은 조선의 여자 상인이며, 조선 최초의 여자 CEO이다. 1793년 "제주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전 재산을 풀어, 육지에서 사온 쌀을 모두 "진휼미"로 기부하여, 빈사 상태의 "제주도 백성"들을 구제하여,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였다. 1. 김만덕 (金萬德ㆍ1739~1812ㆍ향년 73세ㆍ기녀ㆍ제주 출생)조선의 여자 상인ㆍ조선 최초의 여자 CEOㆍ제주에서는 "의녀(義女) 김만덕"으로 불린다. "김응열(중개상인)"의 딸로 태어났으며, 어려서 부모를 잃고, 12세 고아가 되었다. 1793년 "제주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전 재산을 풀어, 육지에서 사온 쌀을 모두 "진휼미"로 기부하여, 빈사 상태의 "제주도 백성"들을 구제하여, ".. 2022. 9. 19.
부덕 ⑥ 허난설헌 (허균의 누나ㆍ1563~1589ㆍ선조 때) "허난설헌 (許蘭雪軒ㆍ1563~ 1589ㆍ25세)"은 "허균 (許筠ㆍ1569~1618ㆍ홍길동전 저자)"의 누이로, "신동"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글재주"가 뛰어났으며, 아름다운 용모와 천품이 뛰어났다.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여성 문인(한시ㆍ시조ㆍ서화ㆍ산문ㆍ수필- 213수ㆍ시인ㆍ작가ㆍ화가)이다. 1. 허 난설헌 (許蘭雪軒ㆍ1563~ 1589ㆍ향년 25세)"허균 (許筠ㆍ1569~1618ㆍ홍길동전 저자)"의 누이ㆍ"재취 부인"의 소생으로 "서자"와 비슷한 처지ㆍ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여성 문인(한시ㆍ시조ㆍ서화ㆍ산문ㆍ수필- 213수)ㆍ시인ㆍ작가ㆍ화가시ㆍ산문ㆍ수필- 300여 수를 "213수" 정도가 현재 전한다. 서예ㆍ그림에도 능했다. 봉건사회의 모순과 잇따른 가정의 참화로, 시 213수 가운데 속세를 떠나고 .. 2022. 9. 19.
부덕 ⑤ 황진이 ② 일화 : 지족선사ㆍ벽계수ㆍ서경덕 "황진이 (黃眞伊ㆍ진랑(眞娘)ㆍ1506~1567ㆍ61세)"는 중종 때 기생으로, 뛰어난 "시 재주ㆍ학식ㆍ민감한 예술적 재능"과 함께 출중한 용모로 더욱 유명하였다. 당시 "생불"이라 불리던 "지족선사"를 10년 동안의 "면벽 수도"에서 파계시키는가 하면, "호기"로 이름을 떨치던 "벽계수"라는 왕족의 콧대를 꺾어놓기도 하고, 당대 최고의 은둔학자 "서경덕"을 유혹하기도 했다. 1. 지족선사 (知足禪師ㆍ10년 면벽 수도ㆍ생불(살아있는 부처)ㆍ천마산에서 수도)"중종"시절, 개성에 "황진이"라는 기생이 있었다. "시조"와 "가무"에 능한 "절색(絶色)"으로, 천하의 남자들이 그녀를 품지 못해 안달이었다. "생불(生佛)"로 소문난 개성의 "지족선사(知足禪師)"가 황진이 소식을 듣고 탄식했다. "우매한 중생남자.. 2022. 9. 18.
부덕 ⑤ 황진이 ① 기생ㆍ1506~1567ㆍ61세ㆍ중종 때 "황진이 (黃眞伊ㆍ진랑(眞娘)ㆍ1506~1567ㆍ61세)"는 중종 때 기생으로, 다정다감하면서도 "기예"에 두루 능한 "명기(名技)"이기도 했다. "박연폭포 (朴淵瀑布)ㆍ서경덕 (화담ㆍ徐敬德ㆍ1489~1546ㆍ도학자ㆍ주기파(主氣派)의 대학자ㆍ 독학으로 사서육경 연마ㆍ평생을 은둔하며,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과 더불어, "송도 3절 (松都三絶)"로 불린다. 1. 황진이 (黃眞伊ㆍ진랑(眞娘)ㆍ1506~1567ㆍ향년 61세) 중종ㆍ명종 때(16C 초ㆍ중순) 활동했던 기생, 조선 중기의 시인ㆍ기녀ㆍ작가ㆍ서예가ㆍ음악가ㆍ무희ㆍ중종 때, "개성의 황씨 성"을 가진 진사(맹인?)의 서녀(庶女)로 출생ㆍ다정다감하면서도 "기예"에 두루 능한 "명기(名技)"이기도 했다. 뛰어난 "시 재주ㆍ학식ㆍ민감한 예술적 재능"을 갖추었.. 2022. 9. 18.
부덕 ④ 이구지 (현주 (서녀)ㆍ1455? ~ 1489ㆍ성종 때) "현주 이구지 (縣主 李仇之ㆍ1455?~1489ㆍ33세)"는 "양녕대군 (태종의 장남)"의 8번째 서녀로, 남편의 종 "천례 (天禮)"와의 연애는 불문율로 붙여졌으나, "구지(또는 천례)"가 "자신의 딸이 왕실의 후손"이라고 발설한 것이 알려지면서, 왕명으로 사형(사약형) 당했다. 1. 현주 이구지 (縣主 李仇之ㆍ1455경 ? ~ 1489.03.07ㆍ향년 33세) 왕족(서녀)ㆍ기생ㆍ양녕대군(태종의 장남)의 8번째 서녀 (세자의 서녀는 정3품 현주(縣主)이고, 적녀는 군주다) "별제 권덕영(權德榮)"에게 출가하였으나. 남편 사후, 남편의 종 "천례(天禮")와 간통하여 딸을 낳은 뒤, 그 딸을 시집보냈다. 남편의 종 "천례(天禮)"와의 연애는 불문율로 붙여졌으나, "구지(또는 천례)"가 "자신의 딸이 왕.. 2022.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