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인물 • 악녀 (10인) • 부덕 (6인)99 3대 정원 : 윤선도 원림ㆍ성락원ㆍ소쇄원 "정원 (庭園ㆍGarden)"은 미관이나 위락 또는 실용을 목적으로, 주로 주거 주위에 수목을 심거나 또는 특별히 조경이 된 공간이다. 초본ㆍ과수ㆍ화훼 등과 같은 식물을 기르기 위해 사용되는 정원을 설계ㆍ관리하는 일로 주변과 조화를 이루도록 식물을 배열하는 측면에서 볼 때는 "예술"로 간주할 수 있으며, 식물을 기르는 원리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일종의 "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1. 조선시대 3대 정원① 윤선도 원림 (甫吉島 尹善道 園林) : 전남 보길도② 성락원 (城樂園) : 서울 성북구③ 소쇄원 (潭陽 瀟灑園) : 전남 담양 2. 윤선도 원림 (尹善道 園林): 전남 보길도 (甫吉島 ) • 정원 구성 (3개 공간): 낙서재 (樂書齋)ㆍ동천석실 (同天石室)ㆍ세연정 (洗然亭) • 종 목 .. 2022. 10. 8. 3대 기생 ② 초요갱 (세종때 요부ㆍ막장기녀) "초요갱 (楚腰䡖) "은 조선 최고의 "기녀"로, 박연(朴堧ㆍ1378~1458ㆍ문신ㆍ음악가)의 유일한 "궁중악" 수제자ㆍ기녀(妓女) 출신ㆍ"경국지색"의 기생ㆍ조선 최고의 "요부"로 "한양" 최고 기생ㆍ"어우동ㆍ황진이"와 함께, 그녀들 보다 더욱 뛰어난 기예를 갖춰, "조선"을 뒤흔들었던 기생ㆍ천한 "기생" 신분으로 "세종"의 "아들 3명ㆍ고위 관료들"을 농락하였다 1. 초요갱 (楚腰䡖) : "세종"의 아들들을 홀린 전설의 기생허리가 잘록하고, 풍만한 엉덩이가 "초나라 미인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조선왕조실록"에 16번 거론된 "경국지색"의 기생ㆍ상대한 남자들이 대단한 인물들 : 단종실록(7번)ㆍ세조실록(5번)ㆍ예종실록(4번)"세종 때"의 "궁중 악무"를 유일하게 전승한 "초요갱"은 당시에도 ".. 2022. 10. 8. 3대 기생 ① 황진이(개성)ㆍ이매창(부안) + 1명 "황진이 (黃眞伊ㆍ진랑(眞娘)ㆍ1506~1567ㆍ61세)"는 중종 때 기생으로, 그녀를 짝사랑하던 한 남성이 혼자 연모하다가, 어머니 "진현금"을 찾아가 청혼을 하였으나, 어머니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남성은 "상사병"에 걸려 죽게 되었고, 뒤에 이 사실을 접하고 "기생"이 되었다 한다. 1. 황진이 (黃眞伊) : 진랑 (眞娘)ㆍ1506~1567ㆍ향년 61세중종ㆍ명종 때(16C 초ㆍ중순) 활동했던 기생, 조선 중기의 시인ㆍ기녀ㆍ작가ㆍ서예가ㆍ음악가ㆍ무희ㆍ중종 때, "개성의 황씨 성"을 가진 진사(맹인?)의 서녀(庶女)로 출생ㆍ다정다감하면서도 "기예"에 두루 능한 "명기(名技)"이기도 했다.뛰어난 "시 재주ㆍ학식ㆍ민감한 예술적 재능"을 갖추었다. 재주와 함께 출중한 용모로 더욱 유명하였다. 당시 "생불"이라.. 2022. 10. 8. 5대 개차반 (왕족): 사도세자ㆍ양녕대군ㆍ임해군ㆍ정원군ㆍ순화군 "양녕대군 (讓寧大君ㆍ1394~1462ㆍ68세)"은 왕세자ㆍ화가ㆍ시인ㆍ서예가ㆍ명필가로, "태종ㆍ원경왕후 민씨"의 장남이자, "세종"의 큰형이며, "숭례문(崇禮門)" 현판 작성자이다. 원래는 "태종 이방원 (太宗ㆍ1367~1422ㆍ재위 1400~1418(18년)ㆍ55세)"의 4남으로, "양녕대군" 위로 아들 3명을 더 두었지만 모두 어린 시절에 요절했기에 장남이 되었다. 1. 조선시대 5대 개차반 (왕족)① 양녕대군 (讓寧大君ㆍ1394~1462ㆍ68세) : 왕세자ㆍ화가ㆍ시인ㆍ서예가ㆍ명필가② 사도세자 (思悼世子ㆍ1735~1762ㆍ27세) : 궁녀ㆍ환관 100여 명 살해ㆍ정조 부친③ 임해군 (臨海君ㆍ1572~1609ㆍ37세) : 선조 1째 아들ㆍ광해군의 동복형④ 정원군 (定遠君ㆍ1580~1619ㆍ39세) :.. 2022. 10. 8. 3대 기인 : 김시습(매월당)ㆍ정염(북창)ㆍ이지함(토정) "기인(奇人)ㆍ이인(異人)"이라는 것은, 일반인과 함께 세상을 살지만, 말ㆍ행동ㆍ정신ㆍ사상이 보통사람과 다른 사람으로, 일반인보다 가진 재주가 신통하고, 비범한 사람이다. 1. 조선시대 3대 기인 (奇人)ㆍ이인 (異人)① 김시습 (매월당(梅月堂)ㆍ金時習ㆍ1435~1493ㆍ58세) : 세종17~성종24 : 생육신ㆍ학자ㆍ승려② 정렴 (북창(北窓)ㆍ鄭 磏ㆍ1506~1549ㆍ43세) : 중종 1~명종 4 : 문장가ㆍ산수화가ㆍ경기도 포천현감③ 이지함 (토정(土亭)ㆍ李之菡ㆍ1517~1578ㆍ61세) : 중종12~선조11 : 포천 현감ㆍ아산 현감 2. 김시습 (매월당(梅月堂)ㆍ金時習ㆍ1435~1493ㆍ58세): 생육신ㆍ학자ㆍ승려일설에는 그가 사육신의 시신을 몰래 수습하여 노량진(현 노량진 사육신 공원)에 암장했.. 2022. 10. 8. 3대 간신 : 류자광ㆍ임사홍(임숭재)ㆍ김자점 "간신 (奸臣)"은 군주의 눈ㆍ귀를 가리고, 온갖 아부ㆍ아첨ㆍ감언이설로 절대 권력자의 눈ㆍ귀만 즐겁게 해주는 자이며, 국가와 백성을 위한 공욕(公慾)보다는 개인의 영달을 위해, 절대 권력에 빌붙고, 권력을 이용하여 부정부패 등을 일삼아 사리사욕(私利私慾)을 채우는 자로, 자신의 욕망을 위해 권력을 탐하는 "간신"은 눈치도 빠르고, 때론 잔악한 면도 있으며, 임기응변에도 능한 "처세술의 달인"이다. 비열하고 배신을 일삼는 사람이지만, 그만큼 머리가 비상하게 잘 돌아간다. 1. 조선시대 3대 간신① 류자광 (柳子光ㆍ1439~1512ㆍ73세) : 세종21~중종 7 : 서자 출신ㆍ무오사화ㆍ갑자사화 장본인② 임사홍 (任士洪ㆍ1445~1506ㆍ61세) : 세종27~중종 1 : 임숭재 (4째 아들)ㆍ외척 (성종.. 2022. 10. 8. 3대 도적 : 홍길동ㆍ임꺽정ㆍ장길산 "도적(盜賊)"은 다른 사람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사람ㆍ그런 목적으로 결성된 범죄조직을 말한다. (비슷한 말로 비적ㆍ약탈자가 있다) "도둑"과 비슷한 단어이나, 보통 "무장한 강도 집단"을 "도적"이라 부른다.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재물을 훔치는 것을 "도(盜)", 목숨을 빼앗는 것을 "적(賊)"이라 불렀다. 1. 조선시대 3대 도적① 홍길동 (洪吉童ㆍ1440?~1510?ㆍ70세) : 연산군 (10대) 때ㆍ얼자 출신 도적② 임꺽정 (林巪正ㆍ1504~ 1562ㆍ58세) : 명종(13대) 때ㆍ백정 출신 도적③ 장길산 (張吉山ㆍ ? ~ ? ㆍ1650년대?) : 숙종(19대) 때ㆍ광대 출신 도적 2. 홍길동 (洪吉童ㆍ1440?~1510?ㆍ70세) : 연산군 (10대) 때ㆍ얼자 출신 도적연산군(10대).. 2022. 10. 8. 고려 삼은 (三隱) : 이색 ㆍ정몽주ㆍ길재 "고려 삼은 (高麗三隱)"은 목은 이색 (牧隱 李穡ㆍ1328~1396ㆍ68세)ㆍ포은 정몽주 (圃隱 鄭夢周ㆍ1337~1392ㆍ55세)ㆍ야은 길재 (冶隱 吉再ㆍ1353~1419ㆍ66세)를 말한다. 1. 목은 이색 (牧隱 李穡ㆍ1328~1396ㆍ68세)고려 말기 문신ㆍ정치가ㆍ유학자ㆍ시인ㆍ사대부의 아버지 (여말선초 거의 모든 사대부들을 키워 낸 인물ㆍ계보에서 거의 최상단)ㆍ성리학을 고려에 소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성리학을 새로운 사회의 개혁, 지향점으로 지목하였다.찬성사(贊成使) 이곡(李穀)의 아들ㆍ이제현의 제자ㆍ경주 이씨(慶州 李氏)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派祖) ※ 이제현(李齊賢ㆍ1288~1367ㆍ79세) : 고려 후기 문신ㆍ성리학자ㆍ역사학자ㆍ시인ㆍ화가 • 제자 (역성 혁명파): 정도전ㆍ남.. 2022. 10. 8. 무학대사 (無學)ㆍ이성계의 꿈 해몽 "무학대사 (無學)"는 1344년(17세)에 승려가 되었으며, 태조의 신임으로 "왕사 (임금의 스승으로 책봉된 승려)"가 되고, 한양 "천도"를 도왔다.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사이가 소원해진 "태조ㆍ태종" 부자의 화해를 위해 여러번 "함흥ㆍ한성"을 오갔으나, 그의 노력에도 태조의 마음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1. 무학대사 : 無學ㆍ계월헌 (溪月軒)ㆍ1327~1405 (78세)ㆍ경상 합천군 승려 (1344년(18세))에 승려가 됨ㆍ무척 신임한 태조에 의해 "왕사"가 되고, 한양 "천도"를 도왔다.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사이가 소원해진 "태조ㆍ태종" 부자의 화해를 위해 여러번 "함흥ㆍ한성"을 오갔으나, 그의 노력에도 태조의 마음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부모는 왜구에게 끌려갔다가 돌아온 하층민 출.. 2022. 10. 8. 이성계 (조선태조)ㆍ전어도 (이성계의 칼) "전어도 (傳御刀)"는 "태종 이방원 (太宗ㆍ1367~1422ㆍ55세)"이 "태조 이성계 (太祖ㆍ1335~1408ㆍ73세)"에게 선물한 검이라고 한다. 현재 전해지는 "전어도"는 "이성계"가 실제로 사용한 "진품"이 아니라, "이방원"이 아버지의 환심을 사기 위해 만든 "모조품"이라고 한다. 1. 태조 이성계 (太祖ㆍ1335~1408ㆍ재위 1392~1398 (6년)ㆍ73세)고려 말 장군ㆍ정치가ㆍ조선을 건국한 초대 국왕ㆍ본관 전주(全州)ㆍ송헌거사(松軒居士)1335년, "고려 동북면 화령(함남 금야군)"에서 "이자춘"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공민왕ㆍ우왕" 시대에 홍건적과 왜구 토벌에서 영웅적 공로를 쌓아 입지를 다졌다. 1388년(우왕 14) 철령 이북 영토 문제를 두고 "명나라"와 갈등이 빚어지자, .. 2022. 10. 8. 정도전 ⑤ 삼봉 (三峰)의 생애ㆍ죽음 "정도전 (鄭道傳ㆍ1342~ 398ㆍ56세)"의 집안은 본래 "봉화지역"의 "향리(鄕吏)"였다. "고려시대"까지의 "향리(鄕吏)"는 "조선시대"의 "향리"와는 그 격(格)이 달라, 지방의 토착세력을 말한다. 정도전 집안은 "경상도 봉화(奉化)지역"의 "토착세력"인 셈이다. 1. 생 애아버지가 "이곡(李穀)"과 나이를 잊은 두터운 친교가 있었기 때문에. "이곡"의 아들 "목은 이색(李穡)"과 가깝게 지낼 수 있었고, "성균관 진사"로서 "목은 이색"의 제자가 되었다. "이색"은 우리나라 초기 성리학자로 "안향(安珦)ㆍ백이정(白邇正)ㆍ이곡ㆍ이제현(李濟賢)"의 학맥을 계승한 인물이다. 그 후 성균관에서 "이색"과 스승과 제자로 다시 만나, 성리학에 대하여 한층 심도 있는 연구를 하였다."이색(李穡)"의 문하로.. 2022. 10. 7. 정도전 ④ 건국 : 주요 인물은 누구? (이성계ㆍ최영) "태조 이성계 (太祖ㆍ1335~1408ㆍ재위 1392~1398(6년)ㆍ73세)"는 당시 "신흥 무인"의 대표였고, 고려 말, "급진 사대부"의 수장이었고, 이에 비해 "최영 (崔瑩ㆍ1316년~1388ㆍ72세)"은 고려 정통 귀족가문의 후예였고, 권문세족과 깊이 연관된 "친원파"였다 1. 이성계 - 최영 관계 "이성계"는 당시 "신흥 무인"의 대표였고, 고려 말, "급진사대부"의 수장이었다. 이성계 조상은 본래 "전주"에서 살다가 "강원도"를 거쳐 "함경도 지방"으로 옮겨가 그 지역의 유력자로 성장했다. 그러나 "원나라"가 그 지역을 공격했을 때, "이안사(이성계 고조부)"는 이에 항복했고, 그 후 대대로 "원나라"의 관리를 지냈다. 그러나 "원" 쇠퇴기에 "공민왕"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할 때, 아버.. 2022. 10. 7.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