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인물 • 악녀 (10인) • 부덕 (6인)

허련 (고종ㆍ1808~1893)ㆍ남종화의 거두ㆍ초의 선사의 제자

by 당대 제일 2022. 11. 21.
반응형

"허련 (許鍊ㆍ1808~1893ㆍ85세)"은 "남종화"의 거두로, 초의 선사 (草衣ㆍ법명 : 의순 (意恂)ㆍ1786~1866ㆍ80세)의 제자ㆍ"허균(許筠)"의 후예ㆍ추사 "김정희" 화파이며, "추사"의 제자가 되고 싶어서, 삼고초려한 일화로 유명하기도 하다. 그의 "남종화풍"은 아들인 "허형(미산)ㆍ손자인 허건(남농)ㆍ방계인 허백련(의제)"로 이어진다.

1. 허련 (許鍊1808~1893향년 85)

조선 말기(고종)의 선비화가"남종화"의 거두초의 선사 (草衣법명 : 의순 (意恂)1786~186680)의 제자"허균(許筠)"의 후예추사 "김정희" 화파"추사"의 제자가 되고 싶어서, 삼고초려한 일화로 유명하기도 하다. 그의 "남종화풍"은 아들인 "허형(미산)손자인 허건(남농)방계인 허백련(의제)"로 이어진다.

"산수모란사군자괴석연꽃노송파초" 다방면의 소재를 능숙하고도 대담한 농묵을 구사하여 표현했는데, 특히 "산수화"에 뛰어났다.

: 소치 (小痴)노치 (老痴)석치 (石痴)        저 서 : 소치실록 (小癡實錄ㆍ1867)

그 림 : 산수도첩(山水圖帖)방예찬죽수계정도(倣倪瓚竹樹溪亭圖)방석도산수도(倣石濤山水圖)선면산수도(扇面山水圖)누각산수도(樓閣山水圖)김정희 초상 등

2. 조선 말, "남종화풍"을 토착화하는데 기여

"진도"에 정착한 "허대(許垈)"의 후손으로, 어려서부터 "전통 화풍"을 익혔는데, 어려서 "해남""윤선도 고택"에서 "윤두서"의 작품을 방작하면서, 전통화풍을 익혔다"김정희 화파"의 한사람으로, 조선 말기 화단에 "남종화풍"을 토착화하는데 기여했다.

1839, "대흥사 초의선사"의 소개로 "김정희" 문하에서 본격적으로 그림수업을 받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서권기문기"의 높은 화격을 터득하게 되었으며, "김정희"로부터 "소치 그림이 나보다 낫다"라는 찬을 받았으며, "김정희" 죽은 1856, "고향 진도" "운림산방(전남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을 짓고 은거하면서, 그림에 몰두했다.

그의 "산수화""김정희"로부터 배운 "중국 북송의 미불(米芾)원말의 황공망/예찬(倪瓚)청나라 석도(石濤)"등의 화풍과 "남종 문인화"의 정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회화세계를 이룩했다특히 ""가 조화된 화면 구성이라든지, "피마준"을 사용하면서도 중간 중간에 가한 거칠면서도 짧은 터치는 그의 개성을 보여주는데, "김정희"는 이러한 그의 그림에 대해 "화법이 심히 아름다우며, 우리 고유의 습성을 타파하여, 압록강 이동에 그를 따를 자가 없다"라고 칭찬했다.

그의 화풍은 아들인 "미산 허형(許瀅)"과 손자인 "남농 허건(許楗)", 방계인 "의재 허백련(許百鍊)" 으로 계승되어, 호남지방의 "서화전통"을 이루었고, 가전되어 현재 "호남화단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가 지향했던 회화세계가 "사의의 표출"에 중점을 둔 "남종문인화"였음은 "원말4"가 중의 한 사람인 "황공망(黃公望)"의 호인 "대치"를 따라, 자신의 호를 "소치"라 한 것과, "중국 남종화"의 시조인 "왕유(王維)"의 자를 본떠, 이름을 ""라고 고친 것에서도 단적으로 알 수 있다.

그는 "신관호정학연민승호김흥근정원용이하응민영익" 등과 같은 명사들과 폭넓은 교유를 가졌으며, 1846"권돈인"의 집에 머물면서, "헌종"에게 그림을 바친 것이 계기가 되어, 궁궐과 인연을 맺게 되었고, 1848"헌종"의 배려로 "고부감시"를 거쳐, "친임회시 무과"에 급제해 벼슬이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