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탄니 (Mitanni) 왕국"은 BC 1600년 경, "키르타"에 의해 건국되고, BC 1260년경 "히타이트ㆍ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한 국가이다.
◆ 미탄니 (Mitanni) : 얌하드→ 미탄니→ 아시리아
"히타이트 제국"의 서아시아 석권 이전, "시리아ㆍ아나톨리아 동남부ㆍ이라크 북부"를 지배한 세력
당시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진출을 노리던 "투트모세 3세"의 "이집트 신왕국" 군대와 자주 격돌하였다. 그렇지만 강력해진 "히타이트"를 견제하기 위해, 양국은 동맹을 맺기도 하였다. "다후크 주(이라크 북부 쿠르드족 자치구)"에 있는 저수지가 가뭄으로 마르자, "미탄니 시대"의 왕성 유적이 드러났다고 한다.
• 존속 : BC 1600~ 1260
• 수도 : 와슈칸니 (하부르 강 상류 근처)
• 주요 국왕 : 키르타ㆍ샤투아라 2세
• 언어 : 후르리어ㆍ아카드어
• 종교 : 후르리 종교ㆍ메소포타미아 종교
① 북부 "유프라테스 강~ 티그리스 강" 유역을 다스렸다.
근처에 위치한 "셈어파" 언어나 "인도-유럽어족"과 확연히 다른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의 "후르리어"를 사용했다는 게 주목할 점이다. 지배층 중, "필리스티아"처럼 "인도-유럽계"도 상당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집트ㆍ미탄니" 양측이 서로에 대한 견제로 지쳐있을 때, "아나톨리아 고원" 중부에서 힘을 기른 "히타이트의 왕 수필룰리우마 1세"가 공격하여, "미탄니"는 수도 "와슈칸니"가 약탈당했고, 이후 "아시리아의 왕 아다드-니라리 1세"가 수도를 침공, 약탈했다. 연이은 침략으로 인해, "미탄니"는 BC 1260년경 멸망하였다.
② 이후 그들의 영토는 "하니갈바트"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아시리아 제국"이 지배하였다.
"미탄니"를 구성하던 "후르리인"들이 남하하여, "아람인"과 융화되어 "고대 아시리아인"에 동화되었다.
반응형
'상식 - 서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문명 ③ 페니키아 (BC 1200~650)ㆍ알파벳 문자(22개) 창조 (0) | 2022.09.01 |
---|---|
고대 문명 ② 아틀란티스 (Atlantisㆍ아틀라스의 섬)ㆍ플라톤 (0) | 2022.09.01 |
고대 문명 (아메리카) ③ 잉카 문명 (Incaㆍ마추픽추) : 황금기 1438~1533 (0) | 2022.09.01 |
고대 문명 (아메리카) ② 아스텍 문명 (Aztecaㆍ신 마야문명) : 황금기 1248~1521 (0) | 2022.09.01 |
고대 문명 (아메리카) ① 마야 문명 (Mayaㆍ치첸이트사) : 황금기 300~900 (0) | 2022.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