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보수주의"의 시작을 1870년대에 태동한 "개화파"로 본다. 1896.07월 한성부에서 "서재필ㆍ이상재ㆍ이승만ㆍ윤치호" 등 개화파가 주도하고, "안경수ㆍ박정양" 등 정부 고위관료와 "남궁억ㆍ안창호" 등 지식인이 참여한 "독립협회"가 결성, 조직되었다. "이완용"도 몸 담았던 적 있으나 제명당하였다. "독립협회"의 결성을 주도한 "개화파"는 "청나라"가 종주권을 주장하던 시기에 "반청(反淸) 입장"에 섰으며, "미국ㆍ일본ㆍ러시아ㆍ프랑스" 등에 우호적이며, 서구의 문물을 적극 수용해야 된다는 견해를 제기하였다. 이들은 "정동파ㆍ외국인파"로도 불렸다.
1. 한국의 보수주의 정당 흐름
자유당 (이승만)→ 민주공화당ㆍ공화당 (박정희)→ 민주정의당 (전두환ㆍ노태우)→ 민주자유당 (민자당)→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2. 자유당 : 이승만 정부
1951.12월, 창당→ 1960.04.19일 "이승만 정부"의 경찰은 시위대를 향해 발포ㆍ사상자 발생→ "4ㆍ19혁명"의 후폭풍으로 자유당 정부는 무너졌다.
1961.05.23일,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 제6호에 따라, "자유당"은 공식적으로 해산됐다.
3. 민주공화당 (공화당) : 박정희 정부
1963.02월, 창당→ "자유당 세력 일부 + 군인 출신"이 참여해서 만든 정당
1980.10월, 해산될 때까지 17년 동안 여당 역할을 했다.

4. 민주정의당 (민정당)ㆍ민주자유당(민자당)ㆍ신한국당ㆍ한나라당ㆍ새누리당ㆍ자유한국당
"민정당"은 "민자당" 탄생의 주역이라는 점에서, "자유한국당"과 관련성이 있다. 1981.01월 창당→ 1990.02월, "3당 합당" 직전에 문을 닫았다.
1980년, "5ㆍ18 민주화운동" 당시, "민정당"은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전두환"이 1981~1987년까지, "민정당 총재를 지냈다"는 점에서 신군부 세력과 "민정당"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공화당ㆍ민정당"의 관계로, "동아일보"는 1980.12.18일 1면 기사에서 "민정당 권정달 사무총장은 지난 10일, 공화당 청산위원회 결정으로, 공화당의 재산을 양도받았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민정당"이 "공화당"의 재산을 무상으로 인수한 근거는, "유사 목적을 가진 정치단체에 재산을 양도할 수 있다"는 "정당법ㆍ민법"의 규정에 따른 것이었다.
1990.02월, "민자당"은 "3당 합당"으로 탄생한다. 당시 집권 여당인 "민주정의당 (노태우)ㆍ통일민주당 (김영삼)ㆍ신민주공화당 (김종필)"이 합당했다.
"민자당"은 이후,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으로 이름을 바뀌었다.
2020.02.17일, "자유한국당ㆍ새로운 보수당(하태경/오신환)ㆍ미래를 향한 전진4.0(이언주)"이 통합하여 "미래통합당"이라는 당명으로 창당되었으며, 09.02일, 당명을 "국민의힘"으로 변경하였다.(2022.04.18일, "국민의 당"을 흡수 합당하였다)
'한국 (근 • 현대사) > 이승만 • 김구 • 박정희 • 정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정보부 ② 박정희 용인술ㆍ박정희 직속기관 (0) | 2022.10.06 |
---|---|
중앙정보부 ① 정치공작사령부ㆍ KCIA (0) | 2022.10.06 |
1 공화국 ③ 민주당- 신파ㆍ구파 갈등 (진보정당) (0) | 2022.10.05 |
1 공화국 ② 주요 정치적 사건 (제1 공화국) (0) | 2022.10.05 |
1 공화국 ① 해방 직후, 정치세력들ㆍ주변 상황 (0) | 2022.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