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슬람 ① 수니파ㆍ시아파ㆍ 5대 의무ㆍ의상 (히잡ㆍ차도르)

by 당대 제일 2022. 9. 4.
반응형

 

"이슬람교 (Islam)회교(回敎)""무함마드 (Muhammad마호메트570~63262)"가 유일신 알라의 사도예언자라고 가르치는 "아브라함 계 유일신교", 불교기독교유대교힌두교와 함께 세계 5대 종교의 하나이다. 남자일 경우에는 "무슬림"이라고 하고, 여자는 "무슬리마"라고 한다.

 

1. 기본 상식

알리 : "무함마드(마호메트)"의 사촌동생큰 사위처음으로 이슬람교로 개종

"무함마드"적통 후계자바로 칼리파가 못되고, 4대 칼리파가 된다.얼마 안돼서, 암살됨.

칼리파(칼리프): "교황(가톨릭의 최고 지위)"과 유사하다.

"뒤따르는 자"라는 뜻의 아랍어로, "무함마드(마호메트모하메드570~ 632)"가 죽은 후, 움마(이슬람 공동체이슬람 국가의 지도자·최고 종교 권위자의 칭호이다.

"칼리파"의 역사는 632"무함마드"가 죽은 후, 이슬람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제1대 칼리파로 "아부 바크르"가 선출되어, "알라의 사도의 대리인"을 칭했던 것에서 시작되며, 2대 칼리파가 된 "우마르 1""신도들의 우두머리"라고 하는 칭호를 채용하였다 "우마위야 왕조·압바스 왕조"에 세습되어 가는 과정에서, "시아파""칼리파"의 권위를 부정하고 분파하여, "수니파"만이 칼리파를 따르게 되었다.

이 맘  신부님(목사님)

아미르 (amir) : "이슬람교"를 믿는 중동 지방의 "군사령관"속주의 "총독"(또는 고위 장교)

 

2.  종파 (마드하브)

 수니파 (Sunni순니파) : "무함마드의 모범(순나)을 따르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전 세계 무슬림의 90%가 소속된 이슬람 종파로, 13~14억 가량으로 추산 / 기독교 종파 중 가장 큰 "가톨릭"과 비슷한 정도의 신자수로서, "수니파 이슬람" "가톨릭" 더불어 지구상에서 가장 규모가 큰 종교종파라 할 수 있다.

 하나피파  샤피이파  말리키파  자히리파

 한발리파  한발리파와하브파 와하브파/ 살라프파

 시아파 (Shi'ite시아 이슬람(Shia Islam)쉬아파) :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예언자 무함마드의 사촌)" 예언자의 자리를 잇는 자로 받든다.

이 란 : 국민의 90% 정도  사실상 현재 영향력으로는 전 세계 시아파의 구심점

이라크 : 국민의 60% 정도  역사적으로 시아파의 본산두 종파간 종교 갈등 극심

레바논(13% 정도)시리아(10% 정도)  소수지만, 주요 정치무장 세력으로 집권

 자이드파 

 이스마일파  니자리파 (어쌔신)무스탈리파드루즈파

 12이맘파  자파리파알레비파알라위파

 하리지파  이바디파

 기타 : 수피즘·아마디야 등

 

3. 일반적으로 "수니파"는 착한 나라, "시아파"가 나쁜 나라로 보이나, 그것은 "미국"에 의해 만들어진 선입견이다.

이슬람 : 무함마드가 창시한 종교 이름 (기독교천주교불교)

무슬림 : 이슬람을 믿는 사람들 (기독교인크리스천천주교인불교도)

수니파 (Sunni순니파): 종주국 - 사우디 (친미국가)

수니 : 수가 많다 13~14(90%) 대부분의 나라 한국 이슬람도 "수니파"

다른 사람도 괜찮아 "다른 사람" "무함마드"의 적통 후계자로 인정 이후 칼리파는 "수니파"가 독점

사제 계급간의 분위기 : 평등, 수평적 (개신교적 분위기) 분위기가 수평적이라 극단주의 테러단체가 많다.

극단주의 테러단체 : IS알카에다탈레반보코하람유일신과 성전

장례 : "이슬람식 장례"에선 사망한 지, 24시간 안에 안장하는 것이 전통이다. 유해는 평소 입던 차림 그대로 천에 쌌으며, 관은 따로 없으며, 왕족도 한 뼘 무덤이다.

석유부국 쿠웨이트 군주도, 일반인도 매장되는 공동묘지에 검소한 장례식으로 치른다. 무덤에는 망자의 이름 표시만 있을 뿐, 높은 봉분이나 다른 장식 또는 표식은 없고, 비석도 없이 얕은 흙(지상에서 높이 30cm 정도)에 덮인 작은 무덤으로 만든다.

시아파 (Shia): 종주국 - 이란 (반미국가)

 시아  페르시아 (이란)이라크

"알리"만 인정한다 "알리"만이 "무함마드"의 적통 후계자로 인정

사제 계급간의 분위기 : 권위적, 수직적 (카톨릭적 분위기) 분위기가 수직적이라 신정독재(神政)의 위험 (종교적인 독재)    /   극단주의 테러단체 : 헤즈볼라(레바논)

장례 : 종교적 성인이나 지도자의 무덤을 거대하게 짓고 화려하게 장식한다. 시아파의 특징이다.

"시아파"의 화려한 무덤 전통은 "수니파 세력"과 전쟁을 유발하기도 했다.  

1979"이란"의 이슬람 혁명을 주도하고, 1989년 세상을 떠난 "루홀라 호메이니 (1902~1989871979년 샤 팔레비를 몰아낸 이란 이슬람 혁명 지도자)""테헤란"에 건설된 장엄한 "영묘"에 잠들어 있다. "부인아들그를 따르던 정치인" 함께 묻혀 이란 이슬람 혁명의 종교적정치적 "성지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영묘"3년에 걸쳐 건설됐으며, 참배객이 그치지 않는다.

 

4. 무슬림 5대 의무 : 신앙고백메카를 향한 1 5차례의 기도구제라마단 금식성지순례 (하즈)

"이슬람"은 5가지의 기본적인 의무가 있다. 이것들은 정규적으로, 정확하게, 진지하게 시행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의무는 "무슬림"의 삶이며, 창조자의 뜻에 따르는 것이다. 이 의무에 대한 성실한 실천은 사회에서의 정의, 평등, 의로움의 실현을 격려하며, 불법과 거짓 그리고 학대를 시정하는데 고무된다.

 신앙고백 (Shahada) : 매일 기도할때만 한다.

하나님 외에는 다른 신이 없으며 무하메드는 하나님의 사도이시다 (There is no God but God, and Muhammed is the Apostle of God)를 반복하여 암송한다.

 기도의식 (Salat) :  하루에 메카를 향해 다섯번씩 기도를 한다.

FAIR (동틀녁부터 해 뜨기 전)ㆍZUHR (12시부터 오후)ㆍASR  (늦은 오후부터 해 지기 바로 전)ㆍMAGHIB  (해 진후부터 어두워질 때까지)ㆍISHA (어두워진 후부터 자정까지)

③ 구제 :  자선의 의무 (Zakat)

"무슬림"은 자신들보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매년 수입의 1%를 구제에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이것은 불행을 만난 사람들을 돕는 일에 사용해야 한다.

 라마단의 금식 (Sawm)

"이슬람" 음력 9(Ramadan) 한달동안, 해 뜰때부터 해 질때까지 음식음료담배성관계욕설화내는 것을 금지한다. 이러한 행동은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며, 영적으로 보다 강하게 만든다고 한다.

 성지 순례 (Hajj)

모든 "무슬림"은 병들어 있지 않는 한, 반듯이 평생에 한번은 성지인 "메카"를 방문해야 한다. 이것은 사회적인 신분이나 빈부에 상관없이 하나님 앞에서는 동일한 사람임을 깨닫게 한다이것은 거룩을 향한 이슬람의 종교활동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한다. 슬람력의 성스러운 마지막 12번째 달"두알히자""메카(사우디아라비아 성지)"를 순례하는 "하즈"1년 중 원하는 때에 성지순례를 하는 "움라"를 한다.

그 중, "시아파""카르발라나자프"를 비롯한 "시아파 성지"도 별도로 순례한다. "시아파 성지""이라크" 외에 "이란"에도 여러 곳이 있다

순례는 보통 5~6일간 진행된다. "흰 옷차림(이흐람)"의 순례자들은 알라신을 향해 함께 5일간 기도를 드리고, "하즈"가 끝날 때까지 머리나 손톱을 깎지 않는다. "카바(사격형 검은색 건물로 신의 공간이자, 기도하는 방향)" 주위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7번 도는 것으로 시작해, 기도와 명상, 알라신에게 소와 닭 등 가축을 바치는 희생제를 지낸다. 순례자들은 "하즈" 첫날과 마지막 날에 "카바" 주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7번 돌며 기도한다 "하지"를 마치면, 남성은 "하지(Haji)", 여성은 "하자(Hajjah)" 칭호를 받는다.

 

5. 무슬림  의무 (기타)

 "하나님"이 금지한 모든 것은 "무슬림"에게 금지된 것이며, "하람"이라고 한다.

"이슬람"에서 금하는 음식 (술ㆍ돼지고기ㆍ비늘이 없는 어류 등)을 멀리할 의무

선을 베풀 의무 (물론 도움을 받는 사람이 부끄럽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창조주 "하나님" 이외에 그 어떤 존재도 (무함마드ㆍ예수ㆍ모세ㆍ성인ㆍ학자ㆍ성직자 등) 숭배하지 않는다.

• "하나님"은 아버지도, 어머니도 ,아들도, 딸도 없는 이로, 홀로 있으며, 전지전능한 창조주이다.

"구약ㆍ신약"을 믿지만, 현재의 "구약ㆍ신약"은 원본이 아니며, 조작된 것이라고 믿는다.

 

6. 이슬람 여자의 의상 : 히잡ㆍ차도르ㆍ니캅ㆍ부르카

히잡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