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95

사저 ① 경교장(김구)ㆍ이화장(이승만)ㆍ삼청장(김규식) 1960.04.27일, 대통령의 자리에서 물러난 "이승만 (李承晩ㆍ1875~1965ㆍ90세)"은 "이화장 (梨花莊)"으로 이사했고, 05.29일 "하와이"로 망명하였다. 1965.07.19일 "하와이"에서 서거하자, 07.23일 "이화장"에 안치되었다가 07.27일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또한 영부인 "프란체스카(오스트리아)"는 1970년 한국으로 돌아와 "이화장"에서 여생을 보내다 1992년 사망했다. 1. 사 저• 이승만 : 돈암장 (敦巖莊)→ 마포장(馬浦莊)→ 이화장(梨花莊)→ 경무대(景武臺) • 김 구 : 경교장 (京橋莊)ㆍ죽첨장(竹添莊)ㆍ죽첨정(竹添町)• 김규식 : 삼청장 (三淸莊) • 신익희 : 낙산장 (駱山莊) .. 2022. 9. 24.
관저 : 경무대 (景武臺)ㆍ청와대 (靑瓦臺)ㆍ청와대 구조 임진왜란 때, "경복궁 ( 景福宮)"이 불에 탄 ,뒤 오랫동안 방치되었다가, 1868년(고종5), "흥선대원군" 주도 하에 "경복궁"을 재건하고, "신무문" 밖, 현재 "청와대 (靑瓦臺)" 자리에 후원인 "북원"을 만들었다. 이후 후원에 "융문당 (隆文堂)ㆍ융무당 (隆武堂)" 등의 건물을 지었는데, 이때 "경무대 (景武臺)"도 만들었다. "융문당"에선 "과거제"를 거행했고, "융무당"에선 군사훈련도 하는 등 "춘당대(창덕궁 비원)"과 같은 기능을 했다.1. 경무대 (景武臺) : 대통령 관저 (1948.08~ 1960.08)명칭 기원에는 여러 설이 있지만, "경복궁"의 "경 (景)"과 "신무문 (경복궁 북문)"의 "무 (武)"에서 따왔다는 설이 우세하며, 1892년(고종29) 경에 그려진 "수선전도"에는 .. 2022. 9. 24.
사건- 1897.11 : 독립문ㆍ매국노 "이완용"의 글씨? "독립문 (獨立門ㆍ1897.11.20)"은 사대외교(事大外交)의 상징인 "중국의 국사신 (國使臣)"을 영접하던 "모화관 (慕華館)"의 정문인 "영은문 (迎恩門)"을 허물고, 그 자리에 세운 것으로,  한국 근대사에서 하나의 분수령을 이룬 19C 말의 "자주민권ㆍ자강운동"의 한 기념물이다.  "이맛돌 상단", 앞뒤로 한글ㆍ한자 글씨(독립문)은 "이완용"이 썼다.1. 독립문 (獨立門ㆍ1897.11.20ㆍ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941ㆍ사적 제32호 (1963년 지정)"이맛돌 상단", 앞뒤로 한글ㆍ한자 글씨(독립문)은 "이완용"이 썼으며, 좌우에 태극기를 조각한 현판석을 달아놓았다."갑오개혁 (1894~1896ㆍ내정개혁,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던 개혁운동)" 이후, "자주독립의 결의"를 다짐하기 위해 세운 기념물이다.. 2022. 9. 24.
서재필 (송재ㆍ1864)ㆍ독립협회ㆍ독립문 (1897) 건립 "서재필 (徐載弼ㆍPhilip Jasonㆍ1864~1951ㆍ86세)"은 한국 최초의 신문인 "독립신문 (순한글과 영어로 발간)"을 창간(1896.04.07)하였고, 중국사신을 접대하던 "모화관(慕華館)"의 정문인 "영은문(迎恩門)"을 허물고, "독립문"을 건립한(1897.11.20)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1.  서재필 (徐載弼ㆍPhilip Jasonㆍ1864~1951ㆍ향년 86세) 조선의 무신ㆍ독립운동가(미 국적자)ㆍ개화파ㆍ언론인ㆍ군의관ㆍ의사(해부학자)ㆍ시인ㆍ소설가ㆍ최초의 한국인 미국시민권자(1890)ㆍ최초의 미국 의사ㆍ최초의 미국 병리학 전문의(1929)ㆍ유한양행 초대사장(1924)ㆍ한때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려는 운동이 있었으나, 사양하였다."배재학당(세계사 강사)" 제자는 "이승만ㆍ주시경ㆍ김규식.. 2022. 9. 24.
사건- 1896.07 : 독립협회 → 만민공동회 "독립협회 (獨立協會)"는 최초의 근대적인 "사회정치단체"로 "민권ㆍ참정권"을 주장하던 "서재필" 등의 "개화파"와 정부의 외세 의존 정책에 반대하는 "지식층" 등이 참여하여, "지주ㆍ자본가"의 입장에서 개화를 추진하여, "민중계몽단체ㆍ근대적인 정치단체 및 근대적인 정당"으로 발전하였다. 1. 독립협회 (獨立協會) → 만민공동회 (萬民共同會)ㆍ관민공동회 (官民共同會)초기에는 사교클럽 형식으로 출발하여, "고급 관료들"이 대거 가담하는 등 각 계파가 혼재되어 있었으며, "일반시민" 계층보다는 고급 관료들이 주도하는 "사교모임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후에 "집권 관료층"이 이탈해간 반면, "신지식인 계층"이 점차 전면에 떠오르기 시작하였다.1898.11월 정부의 외곽단체인 "황국협회" 등의 무고로 "이상.. 2022. 9. 24.
골프 (Golf) : 용어 정리 "골프 (Golf)"는 채로 공을 쳐서, 코스 상에 있는 구멍에 넣는 운동이다. 정식 경기는 18홀, 레크레이션의 경우 9홀로 구성된 코스에서 진행되며, 타수가 적은 순서대로 선수들의 순위가 결정된다. 1. 골프는 타수를 줄이는 게임이다. • 정식코스는 18홀 이상이고, 규정타수 70~ 73타라고 보면 보편적이다. 18홀 스코어를 종합해서 파 72타 기준으로 몇 개를 오버했는지에 따라, 몇 개 쳤다고 한다. • Par3 (4개) + Par4 (10개) + Par5 (4개) = 12 + 40 +20 = 72점 2. 골프용어• 필드 : 골프 코스 지칭. 골프하러 갈 때, "필드 나간다"고 한다. • 라운드 : 골프 코스의 18홀을 플레이하는 것을 1라운드라고 한다. • 딤플 : 공 표면에 동그랗게 패.. 2022. 9. 24.
암살 ⑧ 현준혁ㆍ백의사 암살 (1945.09) "현준혁 (玄俊赫ㆍ1906~1945.09.03ㆍ38세)"은 평남지역 공산주의자로, 건준 평남지부(평남 건준ㆍ조만식)과 대립관계였으며, "김일성"과의 대결 구도를 버텨내지 못한 채 사라졌다고 알려져 있다. 1. 현준혁 (玄俊赫ㆍ1906~1945.09.03ㆍ향년 38세) "박정희 (대구사범 출신)"에게 "공산주의 사상"의 영향을 준 인물이라고 한다. 해방 직후, 38도선 이북에서 가장 유력한 민족주의자는 "조만식"이고, 가장 유력한 공산주의자는 "현준혁"이었다. "현준혁"도 "김일성"과의 대결 구도를 버텨내지 못한 채 사라졌다고 알려져 있다.독립운동가ㆍ사회주의자ㆍ조선공산당 평남지구당위원장 (평남 조공ㆍ평남 지역의 대표적 공산주의자)ㆍ건준 평안남도지부(평남 건준ㆍ조만식)과 대립관계ㆍ해방 직후, 이북 최초의 .. 2022. 9. 23.
단체 ④ 염동진 (백의사의 맹인 장군ㆍ1902~1950) "백의사 (白衣社)"를 만든 "맹인 장군 염동진 (1902(9)~ 1950(?)ㆍ47세(40세))"은 "중국"에서 독립 운동에 종사하면서, "중국 국민당" 정권과 "장제스"의 친위 테러조직인 "남의사 (藍衣社)"를 본 떠서, 조직했다. "민족혁명당"의 당원으로도 활동하기도 했으나, 후에 "김구"의 측근이 되었다. 그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을 두는, "파시스트적인 국가 사회주의 건설"을 꿈꾸었다고 한다. 1. 맹인 장군 염동진 (廉東振ㆍ본명 : 염응택(廉應澤)ㆍ1902(9)~ 1950(?)ㆍ47세 (40세))독립운동가 (김구와는 애증이 교차하는 관계)ㆍ군인ㆍ정치인ㆍ사회운동가ㆍ청년운동가ㆍ"백의사(白衣社)"(해방정국의 비밀테러 결사단체)조직ㆍ총사령관중국군으로 복무했고, 중국 공산당군 또는 해방 후 북한 공산당.. 2022. 9. 23.
단체 ③ 백의사 (白衣社)ㆍ남의사 (藍衣社) "백의사 (白衣社)"는 "맹인 장군 염동진 (1902(9)~ 1950(?)ㆍ47세(40세))"이 "중국 국민당 장제스" 휘하의 반공 결사단체 "남의사 (藍衣社)"를 본떠서 만든 단체로, "김구ㆍ여운형 암살사건" 등에 개입하였다. 1. 백의사 (白衣社ㆍWhite Clothes PartyㆍWhite Clothes Society) 명칭은 "중국 국민당 장제스(蔣介石)" 휘하의 반공 결사단체 "남의사(藍衣社)"를 본뜬 것으로, "백의민족(白衣民族)"을 상징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광복 직후인 1945.11월경 조직된 극우 테러단체로, "염동진 (廉東振)"이 월남한 반공 청년ㆍ학생들을 중심으로 조직, "김구ㆍ여운형 암살사건" 등에 개입하였다. "요인 암살"뿐 아니라, 1946.09월 철도노조 파업ㆍ1946.10.. 2022. 9. 23.
단체 ② 서북청년단 (서청) → 대한청년단 (한청) "서북청년회 (西北靑年會)"는 "서북청년회"는 1946.11.30일부터 가장 규모가 큰 "극열 우익단체"로 활동하였고, 1948.12. 19일에 조직된 "대한청년단"으로 통합되었으며, 남은 일부는 1949.10.18일에 단체등록이 취소되어 소멸되었다. 해방 이후, 이북에서 주도권을 잡은 "공산주의 세력"에 의해, "정치ㆍ사회ㆍ경제적 기득권"을 상실한 "상류층 세력ㆍ이북에 존재했던 조직폭력배들"이 남하하여, 만든 "반공 단체"였다. 해방 정국에서 "우익 청년단체"로 활동했고, "정부 수립" 이후에도 "한국 전쟁" 무렵까지 존속했다. 1. 서북청년회 (서북청년단ㆍ서청) → 대동청년단 → 대한청년단 (한청)• 결 성 : 1946.11.30일 - 이름처럼 "한반도 서북 지역"에서 월남한 이북 출신ㆍ청년단체 (대.. 2022. 9. 23.
단체 ① 독립촉성국민회ㆍ족청ㆍ한청ㆍ대동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1946.02.08일에 설립되었으며, "신탁통치 반대"라는 공통의 목적으로, "이승만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김구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가 통합하여, 출범한 사회운동단체ㆍ정치단체로, "촉성은 빨리 이룬다."는 뜻이다. 1. 국민회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마산지역) → 한민회 → 국민회 • 결 성 : 1945.09 • 목 적 : "경남 창원시 마산 창동 공락관"에서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탈퇴하고, 결성된 우익단체로, 이 단체는 "미군정"에 적극 협조하였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건준): "여운형"이 일제강점기 말에 조직한 지하조직인 "조선건국동맹"을 중심으로, "8ㆍ15광복" 이후에 출범시킨 정치조직) 초기 이들은 1945.08.17일에 결성된 "마산지역 조선.. 2022. 9. 23.
암살 ⑦ 최능진ㆍ혁명의용군사건 (1951.02) "최능진 (崔能鎭ㆍ1899~1951ㆍ향년 51세)"은 해방 후, 친일파가 다수였던 경찰 중에서 이례적으로 "친일 청산"을 부르짖었으며, "이승만"에 정면으로 대항하다가 끝내는 "혁명의용군사건"의 혐의를 쓰고, 친일헌병 출신으로 당시 최고의 권력 실세로 군림하고 있던 "김창룡(1920~1956ㆍ군ㆍ경ㆍ검 합동수사본부장)"의 손에 총살형을 당한다. ㆍ 명언 : 한국 경찰의 8할 이상이 친일파라면, 한국 백성의 8할 이상은 좌익이 된다. 1. 혁명의용군사건 (革命義勇軍事件)1948.10.01일 "최능진ㆍ서세충ㆍ김진섭" 등이 "혁명의용군"을 조직하고, 기회가 도래하면 한국 정부를 전복시킴으로써, 정권을 차지하려는 일종의 쿠데타를 음모한 사건이다. 1948.08.15일 "이승만 정부"가 출범하고, 10.01일.. 2022.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