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19

모세 5경 : ⑤ 신명기 (申命記) 요약 성경의 "모세 5경"에는 ① 창세기 (創世記) ② 출애굽기 (脫出記ㆍExodus) ③ 레위기 (Levi지파) ④ 민수기 (民數記) ⑤ 신명기 (申命記)가 있다.① 창세기 (創世記ㆍBC 1800~): 천지창조ㆍ인간타락ㆍ바벨탑ㆍ대홍수ㆍ아브라함ㆍ이삭/ 야곱ㆍ요셉② 출애굽기 (脫出記ㆍExodus): 이집트에서 종살이ㆍ모세 탄생/ 성장③ 레위기 (Levi지파ㆍBC 1444~): 여호와(야훼)에게 제사ㆍ차례 올리는 법ㆍ여호와 이름 발음하는 법ㆍ칭송/ 예의 갖추는 법④ 민수기 (民數記): 인근 지역의 설명ㆍ인구조사ㆍ신/ 구세대 갈등⑤ 신명기 (申命記ㆍBC 1400~): "가나안 땅" 입구에서 "모세"가 과거를 회상ㆍ현재/ 미래에 대해 설교하는 "모세"의 문장들신명기 (BC 1400~) 핵심 메시지 >"모세"가 "가나.. 2025. 5. 18.
모세 5경 : ④ 민수기 (民數記) 요약 성경의 "모세 5경"에는 ① 창세기 (創世記) ② 출애굽기 (脫出記ㆍExodus) ③ 레위기 (Levi지파) ④ 민수기 (民數記) ⑤ 신명기 (申命記)가 있다.① 창세기 (創世記ㆍBC 1800~): 천지창조ㆍ인간타락ㆍ바벨탑ㆍ대홍수ㆍ아브라함ㆍ이삭/ 야곱ㆍ요셉② 출애굽기 (脫出記ㆍExodus): 이집트에서 종살이ㆍ모세 탄생/ 성장③ 레위기 (Levi지파ㆍBC 1444~): 여호와(야훼)에게 제사ㆍ차례 올리는 법ㆍ여호와 이름 발음하는 법ㆍ칭송/ 예의 갖추는 법④ 민수기 (民數記): 인근 지역의 설명ㆍ인구조사ㆍ신/ 구세대 갈등⑤ 신명기 (申命記ㆍBC 1400~): "가나안 땅" 입구에서 "모세"가 과거를 회상ㆍ현재/ 미래에 대해 설교하는 "모세"의 문장들민수기 핵심 메시지 >하나님에 대한 믿음ㆍ순종이 얼마나 중.. 2025. 5. 17.
모세 5경 : ③ 레위기 (Levi 지파) 요약 성경의 "모세 5경"에는 ① 창세기 (創世記) ② 출애굽기 (脫出記ㆍExodus) ③ 레위기 (Levi지파) ④ 민수기 (民數記) ⑤ 신명기 (申命記)가 있다.① 창세기 (創世記ㆍBC 1800~): 천지창조ㆍ인간타락ㆍ바벨탑ㆍ대홍수ㆍ아브라함ㆍ이삭/ 야곱ㆍ요셉② 출애굽기 (脫出記ㆍExodus): 이집트에서 종살이ㆍ모세 탄생/ 성장③ 레위기 (Levi지파ㆍBC 1444~): 여호와(야훼)에게 제사ㆍ차례 올리는 법ㆍ여호와 이름 발음하는 법ㆍ칭송/ 예의 갖추는 법④ 민수기 (民數記): 인근 지역의 설명ㆍ인구조사ㆍ신/ 구세대 갈등⑤ 신명기 (申命記ㆍBC 1400~): "가나안 땅" 입구에서 "모세"가 과거를 회상ㆍ현재/ 미래에 대해 설교하는 "모세"의 문장들레위기 (BC 1444~) 핵심 메시지 >"이스라엘 백성".. 2025. 5. 16.
모세 5경 : ① 창세기 (創世記) 요약 성경의 "모세 5경"에는 ① 창세기 (創世記) ② 출애굽기 (脫出記ㆍExodus) ③ 레위기 (Levi지파) ④ 민수기 (民數記) ⑤ 신명기 (申命記)가 있다.① 창세기 (創世記ㆍBC 1800~): 천지창조ㆍ인간타락ㆍ바벨탑ㆍ대홍수ㆍ아브라함ㆍ이삭/ 야곱ㆍ요셉② 출애굽기 (脫出記ㆍExodus): 이집트에서 종살이ㆍ모세 탄생/ 성장③ 레위기 (Levi지파ㆍBC 1444~): 여호와(야훼)에게 제사ㆍ차례 올리는 법ㆍ여호와 이름 발음하는 법ㆍ칭송/ 예의 갖추는 법④ 민수기 (民數記): 인근 지역의 설명ㆍ인구조사ㆍ신/ 구세대 갈등⑤ 신명기 (申命記ㆍBC 1400~): "가나안 땅" 입구에서 "모세"가 과거를 회상ㆍ현재/ 미래에 대해 설교하는 "모세"의 문장들창세기 (BC 1800~) 핵심 메시지 >"창세기"는 하나.. 2025. 5. 14.
사리 (신체ㆍ사리라 (Sarira)ㆍ舍利羅): 불교의 미스테리 "불교계의 미스터리"로 꼽히는 "사리"는 본래 "신체"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사리라 (Sarira)"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사리라 (舍利羅)"에서 더 줄여, 현재의 이름(사리)으로 불린다. "사리라"는 본래 "몸"을 뜻하는데 이것이 복수형으로 되면, "유골"이라는 뜻이다. "사리"는 몸 그 자체를 의미하므로, 넓은 의미에선 시신을 화장하고 난 뒤에 남겨진 뼈 전체, 가루가 된 뼛조각까지 포괄하기도 한다. 하지만 불교에서 "사리"는 단순히 죽은 자의 몸을 가리키거나, 뼈를 부순 것만 의미하지 않는다. "부처"를 향한 믿음이 충만한 불자는 "사리"의 의미를 좀 더 높은 차원으로 바라본다.1. 크기ㆍ종류고승 (高僧)이 입적하면, 몸에서 나온다는 "사리(舍利)"는 콩알 크기부터 쌀알 반쪽 크기에 이.. 2023. 12. 7.
사이비 종교 : 조선- 백도교ㆍ백백교ㆍ전용해 "백도교 (白道敎)ㆍ백백교(白白敎)"는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신흥 종교로 여러 차례에 걸쳐 신도 464명을 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자는 전 재산을 상납하고, 여자는 성을 상납하여야 한다."는 사이비 종교였다. 1. 백도교 (白道敎)ㆍ백백교(白白敎) : 백도교(白道敎)는 백백교(白白敎)의 전신 3명의 아들에 의해, "인천도(人天道, 1째 전용주)ㆍ백백교(2째 전용해)ㆍ도화교(3째 전용석)"로 분열.  교리는 주문을 외우며, 하늘과 땅에 예배하면, 무병장수하고, 신선이 된다는 것이다. 성인 남성은 "백백백의의의적적적감응감감응하시옵숭성 (白白白衣衣衣赤赤赤感應感感應하시옵崇誠)", 성인 여성은 "백의부인선선감감응 (白衣婦人善善感感應)"이라는 주문을 외우면, 무병장수한다고 믿었고, 교주는 "불로장수"하고.. 2022. 10. 11.
사이비 종교 : 정명석 (JMS)ㆍ기독교 복음선교회 "정명석 (鄭明析ㆍ1945~ )"은 1990년대부터, 여신도 성폭행 혐의ㆍ공금횡령 혐의로 수사를 받자, "대만"을 거쳐 2007년 "중국 베이징"에서 체포되어, 2008.02월에 강제 송환되었다. 이후 재판에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고, 2018.02.18일 10년형의 형기를 마치고, 만기 출소했다. "대전교도소"에서 전자발찌를 차고 비밀작전에 버금가는 쇼를 벌이며 출소하였다. 1. 정명석 (鄭明析ㆍ1945~ ㆍ168cmㆍ70kg)신흥종교단체 기독교 복음선교회(일명 JMSㆍ기독교 기반 종교) 창시자ㆍ총회장ㆍ시인ㆍ1980년, "애천교회 (현,기독교복음선교회)"설립•  출 생 : 충남 금산군 진산면 석막리 월명동                 •  호 : 천보(天寶) •  별 칭 : JMS의 내에선, 흔히 선.. 2022. 10. 4.
기독교 : 템플 기사단ㆍ시온 수도회 "템플 기사단 (Ordre des Templiers)"은 "시온 기사단ㆍ신전(神殿) 기사단ㆍ기사 수도회"으로도 불리며,  중세 십자군 시대의 "3대 종교기사단" 가운데 하나이다. 최초의 "기사수도회"로서, "십자군 전쟁"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1. 템플 기사단 (Ordre des Templiers)ㆍ시온 기사단ㆍ신전(神殿) 기사단ㆍ기사 수도회기부로 받은 토지가 많았으며, "금융업"으로 거액의 부를 축적하였다. 이런 그들의 부ㆍ권력의 질주는 대략 200년 후 몰락의 길을 걷게 되는데, 그들의 지나친 부ㆍ권력 확장에 "교황청ㆍ유럽 각국 영주ㆍ왕"들은 우려감을 품게 되고, 마침내 1307.10.13일 "프랑스 왕 필립 4세"는 "교황"과 밀약하여, 함께 전격적으로 "템플 기사단"을 습격ㆍ검거하였다.여담으로,.. 2022. 9. 4.
기독교 : 루시퍼 (Lucifer) ② 일루미나티 (Illuminati)ㆍ프로메테우스 "일루마니티"라는 용어는 "루시퍼(빛을 나르는 자)의 빛을 받아, 계몽된(illiminated) 자"라는 뜻으로, 궁극적인 신앙의 대상은 "루시퍼"이다. "루시퍼(사탄ㆍ마귀)"의 화신인 "적 그리스도(호루스)"가 다스리는 세상인 것이다 1. 바이에른 광명회 (Illuminatenorden Bayern)ㆍ광명회 (Der Illuminatenordenㆍ1776.05)18C, "바이에른 선제후국 (바이에른 공국ㆍ신성 로마 제국의 선제후국)"에서 설립된 비밀결사. 철학적 계몽주의 시대인 18C 후반,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급진적 성격의 자발적 결사체. 어원은 라틴어로 "계몽하다ㆍ계몽된 자ㆍ밝히다 / 깨달은"이라는 뜻의 "illuminatus"의 복수형이다."일루마니티"라는 용어는 "루시퍼(빛을 나르.. 2022. 9. 4.
기독교 : 루시퍼 (Lucifer) ① 미국 지폐 $1 뒷장의 비밀? "루시퍼 (Lucifer)"는 "사탄(마귀)"이 타락하기 전에 가졌던 이름이다. "히브리어 성경(타나크)" 이사야 14장 12절에 "헬렐"이 나오는데, 이를 영어성경은 "루시퍼"로 번역했고, 한글성경은 "계명성(계명성ㆍ아침별ㆍ새벽별ㆍ샛별ㆍ금성)"으로 번역했다.  원래 "샛별"은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단어였는데, "하나님 보좌의 근위병"이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상징을 사용할 수 있었던 "천사 루시퍼"가 교만해지자, 창조주가 계급장을 박탈하고, 천국에서 추방한 뒤, 더 이상 "루시퍼" 이름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1. 미국 돈의 뒷면 : 초록색이라 Green back이라 한다. • FRB (미연방 준비제도 이사회ㆍFederal Reserve Systemㆍ연준 (聯準)ㆍFed) : 미 정부에 속한.. 2022. 9. 4.
기독교 : 십자가 형 (Crucifixion)ㆍ나자렛 예수 "십자가 형 (Crucifixion)"은 로마 제국 시대에서 법정 최고형으로 "치욕ㆍ고통"의 상징이었다. 고대 "로마시대"에 자유를 얻기 위해 싸운 "검투사(Gladiator) 노예"였던 "스파르타쿠스 (SpartacusㆍBC 109~ 71ㆍ38세)"도 "십자가 형 "으로 죽었다. 1. 십자가 형 (Crucifixion)ㆍ나자렛 예수 "로마 제국 시대" 법정 최고형인 "십자가 형"은 "치욕ㆍ고통"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예수"의 죽음을 통해서 십자가는 "희망ㆍ신앙"의 상징이 되기에 이른다.바로 이것이 "십자가의 역설ㆍ십자가의 미학"이라 할 수 있다. 사실, 극도의 고통을 주면서도, 가능하면 서서히 죽게끔 만들어, 죽음에 이르는 공포의 과정을 극대화 시켜 느끼게 하는 무서운 형벌이 바로 "십자가형"이었다... 2022. 9. 4.
이슬람 ⑦ 인샬라ㆍ할렐루야ㆍ아멘ㆍ샬롬ㆍ메멘토 모리 아랍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인사 중에 "인샬라 (인샬라 : 알라의 뜻대로 하옵소서)"라는 표현이 있다. 아랍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사들은 흔히 "IBM"이라고 불린다. 영문자 "I"은 "인샬라 (알라)", "B"는 "부크라 (내일)", "M"은 "말리쉬(걱정 말아라)"의 머리글자이다. 1. 인샬라 : 알라의 뜻대로 하옵소서아랍인들은 미래의 일에 대해 언급할 때, "인샬라"를 규범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나는 내일 차를 사게 될 거야, 인샬라ㆍ내일 학교에서 만나자, 인샬라" 말은 "차를 사고 내일 만나는 일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하나님이 원한다면, 이뤄질 것이야"라는 의미를 전달한다. 무슬림들은 오직 "알라" 만이 미래의 일을 알고 주관한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이 .. 2022.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