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37 수사학 (修辭學)ㆍ말 잘하기ㆍ좋은 글 쓰는 비결 "수사학 (修辭學)"은 대중 연설의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담론의 예술로서, "수사학"으로 작가ㆍ연사는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청중에게 정보를 주고, 청중을 설득하며, 청중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1. 수사학의 3요소 (남을 설득하는 3가지)• "아리스토텔레스"는 "성공적인 설득"을 위해서는, "로고스(Logos) → 파토스(Pathos) → 에토스(Ethos) 순서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ㆍB.C 384~ B.C 322ㆍ61세) 수사학의 대가(말로 설득하는 기술) • 소피스트 : 말하는 법ㆍ설득하는 방법ㆍ법정에서 이기기ㆍ변호 방법 등을 알려주고 돈 벌던 사람① 로고스 (Logos) : 논리 원래 "log"는 "통나무"를 의미하는데, 종이가 발명되기 전 .. 2022. 8. 30. 삼재 (三災) : 들삼재 (入三災)ㆍ눌삼재 (枕三災)ㆍ날삼재 (出三災) "삼재 (三災)"는 인간에게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3가지 재난"을 의미한다. 동양철학에서 유래된 것으로 "십이지(十二支)"에 따라, 삼재 1년 차인 "들삼재 (입삼재ㆍ入三災) "로 시작하여, 2년 차 "눌삼재 (침삼재ㆍ枕三災)", 3년 차 "날삼재 (출삼재ㆍ出三災)"로 진행된다. 1. 삼재 (三災) •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3가지 재난"을 의미한다. • 동양철학에서 유래된 "재앙 명(災殃 名)"으로 "십이지(十二支)"에 따른다. • 현실적으로 "삼재" 때, "운이 나쁜 사람" 또는 그 반대인 사람도 있다. • 이는 단순히 전자는 "복 삼재" 후자는 "악 삼재"로 정의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 띠의 묶음• 쥐ㆍ용ㆍ원숭 • 소ㆍ뱀ㆍ닭 • 범ㆍ말ㆍ개 • 토끼ㆍ양ㆍ돼지3. 들삼재 (입삼재ㆍ.. 2022. 8. 30. 2022 FIFA 월드컵 : 쥘 리메 컵 (1930~1970)ㆍFIFA 컵 (1974~ ) 2022 FIFA월드컵은 "카타르"에서 개최되는데, 한국은 "9회 연속"으로 본선진출했으며,2026년 월드컵부터는 본선진출국이 현재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확대된다. (32개국이 출전하는 마지막 월드컵이 "카타르 월드컵"이다) 1. 쥘 리메 컵 (Jules Rimet Trophy): 1930~ 1970년까지 수여된 컵"쥘 리메 컵(Jules Rimet Trophy)"은 FIFA 월드컵 대회를 우승한 팀에게 수여하던 최초의 트로피이다.트로피는 원래 "Victory(승리)"라고 불렸으나, 일반적으로 "월드컵(World Cup)"이나 "쿠프 뒤 몽드(Coupe du Monde)"로 잘 알려져 있다.1929년, FIFA 월드컵 대회를 시작하는 결의를 통과시켰던 "쥘 리메(FIFA 회장ㆍJules Rimet.. 2022. 8. 29. 마약 (痲藥ㆍDrug) "마약 (痲藥ㆍDrug)"은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출시된 제품으로, 대부분의 향정신성 약품 및 중독성이 있는 "알칼로이드(아편)" 모두를 말한다. 1. 마약 (痲藥ㆍDrug)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환각과 중독"을 일으키는 "알칼로이드만"을, 즉 "아편만이 진정한 의미에서 마약이다."라고 말한다. 일반인들은 거의 대부분의 "향정신성 약품" 및 중독성이 있는 "알칼로이드" 모두를 일컫는 말로 사용한다. 한국 : 환자의 고통을 줄이는 등 의학적인 목적으로도 사용한다. 일반인이 마약을 복용할 경우 신체에 손상을 주고 중독 증세와 함께 심하면 사망을 유발할 수 있어서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2. 종 류① 중추 신경계 (CNS) 흥분제 흥분제로 "중추 신경계 (CNS)"를 흥분시켜, 감각ㆍ운동기능을 항.. 2022. 8. 29. 주의 ⑧ 사회주의 (社會主義ㆍSocialism) "사회주의 (社會主義ㆍSocialism)"는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 생산양식이 야기한 부정ㆍ불평등ㆍ피해ㆍ자유방임적 시장경제 체제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다. 1. 사회주의 (社會主義ㆍSocialism)① 기 원정치적으로 강력하게 등장한 근대적 사회주의는 1826년, "영국"의 사회개혁가 "로버트 오웬 (Robert Owenㆍ1771~1858ㆍ협동조합의 아버지)"이 자신의 사상을 일컬어 최초로 "사회주의(socialism)"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1927년 "런던"의 어떤 조합 기관지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1862년 독일의 사회주의자 및 혁명사상가 "페르디난트 라살 (Ferdinand Lassalleㆍ1825~1864ㆍ독일 사회민주당의 전신인 전 독일 노동자협회의 창설자)"의 저서 "노동.. 2022. 8. 29. 주의 ⑦ 공산주의 (Communism)ㆍ사회주의 (Socialism) "공산주의 (共産主義ㆍCommunism)"는 사유 재산의 철폐와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경제ㆍ사회ㆍ정치 공동체 형성에 관한 사상이나 이러한 사회 형성을 목표로 삼는 정치 운동에 관한 사상이다. 1. 공산주의의 전제 조건 : 사유재산의 불인정ㆍ모든 산업 국유화ㆍ1당 독재만약, 일꾼 4명이 쌀 4가마를 생산했다고 한다면, "사회주의"는 4가마를 1명에게 1가마씩 나눠줘야 한다고 보지만, "공산주의"에서는 4가마를 모두 국가에서 가져간 후, 필요한 만큼만 배급을 하는 것이다.2.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 공산당 선언 (共産黨 宣言) : 1848.02.21일 첫 출판ㆍ 공산주의 사상가인 "마르크스(1818~1883ㆍ65세)ㆍ엥겔스(1820~1895ㆍ65세)"에 의하여 집필된 공산주의자들의 최초의 강.. 2022. 8. 29. 주의 ⑥ 민주주의ㆍ자본주의ㆍ사회주의ㆍ공산주의 "민주주의 (民主主義ㆍDemocracy)"는 국가의 주권이 국민ㆍ민중에게 있고, 민중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며,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나 그런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이다. 1. "정치" 체제에 관한 것① 민주주의 (Democracy) ⇌ 독재주의 (獨裁主義)ㆍ군주제 (君主制)ㆍ귀족정치 (貴族政治)ㆍ과두정치 (寡頭政治)ㆍ전체주의 (全體主義)• 민(民)이 주인이(主) 되는 정치체제ㆍ보통, 선거를 통해서 국가권력이 정당성을 가지게 되는 체제를 말한다.•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국가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정치체제 : 국민이 주권을 직접 행사하거나, 국민이 선출한 대표자를 통해 행사하는 정치제도(또는 체제)• 반대어로 "공산주의"라 말하는 사람이 많은데, "공산주의"는 .. 2022. 8. 29. 주의 ⑤ 민주주의 반대말은?ㆍ극우 (極右ㆍFar-right politics) "극우 (極右ㆍFar-right politics)" 극단적으로 우익적인 개인(사람)ㆍ생각ㆍ단체ㆍ당파 세력을 가리킨다. 보통 국가주의ㆍ국수주의ㆍ권위주의ㆍ반평등주의ㆍ순혈주의ㆍ인종주의ㆍ전체주의ㆍ극단 민족주의의 혼합 형태로 나타난다. 반대말인 "극좌 (極左ㆍFar-left politics)"는 극단적으로 평등을 추구하고, 사회계급ㆍ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려 하는 경향이 있다. 1. "자본주의ㆍ사회주의ㆍ공산주의"는 "경제 체제" 이므로, "민주주의"의 반대어가 아니다. • 정치체제에 관한 것 : 민주주의 (Democracy)ㆍ독재주의ㆍ군주제ㆍ과두정치ㆍ전체주의• 경제체제에 관한 것 : 자본주의 (Capitalism)ㆍ사회주의 (Socialism)ㆍ공산주의 (Communism) • 자본주의 : "사유재산제"를 바탕으로.. 2022. 8. 29. 작위 (爵位)ㆍ식민지 "대한제국"의 작위 "작위 (爵位)"는 왕족이나 공적이 뛰어난 귀족에게 수여하던 명예의 칭호 또는 그 계급을 말한다. "작위"는 "관작(관직)"과 "위계(작위)"를 함께 이르는 말이었다. 또한 "작위"를 봉해주는 일을 "봉작"이라 하였고, 장남에게만 계승되었고, "공작ㆍ후작"의 2남까지는 이름 앞에 "Lord(경ㆍ우두머리)"를, "백작ㆍ자작ㆍ남작"의 2남부터는 이름 앞에 "Honorable (훌륭한ㆍ명예로운)"라는 말을 붙였다. 1. 용어 설명• 작위 (爵位) : 왕족이나, 공적이 뛰어난 귀족에게 수여하던 명예의 칭호ㆍ계급 / 작위는 장남에게만 계승ㆍ관작(관직)과 위계(작위)를 함께 이르는 말 • 봉작 (奉爵) : 작위를 봉해주는 일황제 (여제)ㆍ황후 → 차르 (tsarㆍ차리나)ㆍ국왕 (왕비)ㆍ차르 = 카이사르 (Cae.. 2022. 8. 29. 국보 (National Treasure)ㆍ 보물 (Treasure) "국보 (國寶ㆍNational Treasure)"는 나라에서 지정하여 법률로 보호하는 "문화유산"을 말하며, "보물 (寶物ㆍTreasure)"은 귀중한 물건을 뜻하며, 국가적 의미로는 "국보 다음으로 귀중 가치가 높은 문화재"를 뜻한다. 1. 국보 (國寶ㆍNational Treasure)"보물"로 지정될 가치가 있는 것 중, 제작연대가 오래 되고 시대를 대표하거나, 유례가 드물고 우수하며 특이하거나, 역사적 인물과 관련이 있는 것을 지정한다. 목조건축ㆍ석조건축ㆍ전적(典籍)ㆍ서적ㆍ고문서(古文書)ㆍ회화ㆍ조각ㆍ공예품ㆍ고고자료(考古資料)ㆍ무구(武具)등이 있다. "국보"는 관보(官報)에 고시(告示)한 날로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국보"로 지정되면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국보의 지정번호"는 .. 2022. 8. 29. 국보와 보물의 차이는?ㆍ세계 문화유산 국보 제1호는 "남대문 (숭례문ㆍ崇禮門)"이고, 보물 제1호는 "동대문 (흥인지문ㆍ興仁之門)"이다. 똑같은 성문이고, 얼핏보아 규모나 구조가 별다르지 않는데, 왜 "남대문"은 "국보"이고 "동대문"은 "보물"로 지정된 걸까? 그 차이점은? 1. 국보ㆍ보물의 차이① "국보ㆍ보물"은 모두 문화재에 속한다. "문화재"란 말은 독일어 "Kulturger (쿨투어귀터)"의 번역어로써, "민족문화의 유산으로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재 보호법"에 따르면 "문화재"란, "인위적ㆍ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ㆍ민족적ㆍ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ㆍ예술적ㆍ학술적ㆍ경관적" 가치가 큰 "유형문화재ㆍ무형문화재ㆍ기념물ㆍ민속자료"를 말한다. ② 사실 "국보ㆍ보물"은 특별한 기준에 의해 엄격하게 구분되어지는 것.. 2022. 8. 29. 국민ㆍ민족ㆍ종족ㆍ인종의 구분 "국민 (國民ㆍNation 네이션)"은 국가에 소속하는 개개의 자연인으로, 소속원으로서 가지는 권력을 위임함으로써, 발생하는 국가의 통치권에 복종할 의무를 가진 개개인의 전체 집합을 의미한다. 1. 국민ㆍ민족ㆍ종족ㆍ인종의 구분 ① 국민 (Nation) : 한 정부에 통일된 정치적인 단일체 ② 민족 (People) : 공통의 문화 이상의 이해관계를 가진 문화적ㆍ사회적 집단③ 종족 (Race) : 공통의 조상ㆍ생물학적 단일집단④ 인종 (Ethnic Group): 생물학적 혈통적 구분2. 세계의 5대 인종 (Ethnic Group) ① 코카시안 (Caucasian) : 백인 (Caucasoid race) : 유럽 인종 (백색 인종ㆍ인도 유럽 인종) → 원래 코카사스 지방(남부 러시아)에서 백인종이 유래 • 분.. 2022. 8. 29. 이전 1 ···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