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國民ㆍNation 네이션)"은 국가에 소속하는 개개의 자연인으로, 소속원으로서 가지는 권력을 위임함으로써, 발생하는 국가의 통치권에 복종할 의무를 가진 개개인의 전체 집합을 의미한다.
1. 국민ㆍ민족ㆍ종족ㆍ인종의 구분
① 국민 (Nation) : 한 정부에 통일된 정치적인 단일체
② 민족 (People) : 공통의 문화 이상의 이해관계를 가진 문화적ㆍ사회적 집단
③ 종족 (Race) : 공통의 조상ㆍ생물학적 단일집단
④ 인종 (Ethnic Group): 생물학적 혈통적 구분
2. 세계의 5대 인종 (Ethnic Group)
① 코카시안 (Caucasian) : 백인 (Caucasoid race) : 유럽 인종 (백색 인종ㆍ인도 유럽 인종) → 원래 코카사스 지방(남부 러시아)에서 백인종이 유래
• 분포 : 유럽 전역ㆍ북아프리카ㆍ아라비아반도ㆍ아프가니스탄ㆍ북부 인도ㆍ남ㆍ북아메리카 • 특징 : 피부는 흰색이나, 일부는 갈색이며, 넓은 이마ㆍ높은 코ㆍ장두(長頭)ㆍ파상모(波狀毛)ㆍ청갈색이나 검은 눈ㆍ많은 체모 등의 특징을 갖고, 신장은 장신 또는 중신
② 몽골리안 (Mongolian) : 황인종 (Mongoloid race) : 아시아 인종 (몽골 인종ㆍ황색 인종)
• 분포 : 동아시아ㆍ몽골ㆍ동 시베리아ㆍ인도차이나ㆍ남서아시아ㆍ소아시아ㆍ중앙아시아ㆍ헝가리ㆍ핀란드 • 특징 : 피부는 주로 황색이나, 일부는 담갈색이며, 넓은 이마ㆍ낮은 코ㆍ단두(短頭)ㆍ흑색 직상모(直上毛)ㆍ적은 체모 등의 특징을 갖고, 신장은 중신 또는 단신
③ 니그로 (Negro) : 흑인종 (Negroid) : 아프리카 인종 (니그로 인종ㆍ흑색 인종)
• 분포 : 아프리카 중부 이남ㆍ미국 • 특징 : 피부는 구릿빛이나 흑갈색으로, 입술이 두껍고ㆍ낮은 코ㆍ장두ㆍ고수머리ㆍ검은 눈ㆍ적은 체모를 갖고 있으며, 신장은 장신 또는 중신
• 흑인종은 다시 2종으로 분류된다 : Congoid race - 오스트렐리안 등 남태평양상 흑인 / Capoid race - 아프리카 남부지역 토종 흑인
④ 말레이 (Malay): 해안도서 인종 : 인도네시아ㆍ필리핀ㆍ뉴기니ㆍ멜라네시아 등
• 특징 : 피부는 갈색이며, 그 외에는 아시아 인종과 흡사하다.
⑤ 폴리네시안 (Polynesians): Australoid race
• 특징 : 피부는 다갈색으로, 두개골이 크며, 신체적 형태는 큰 편 • 하와이ㆍ뉴기니아ㆍ서사모아ㆍ쾀 등 태평양도서에 거주하는 인종으로 현재1500만 명 정도 분포
3. 세계의 5대 인종의 여러 민족으로의 분류
① 아시아 인종 : 북(北)몽골ㆍ중(中)몽골ㆍ남(南)몽골ㆍ터키 등
② 유럽 인종 : 튜턴ㆍ라틴ㆍ슬라브ㆍ함ㆍ셈ㆍ힌두 등
③ 아프리카 인종 : 수단니그로ㆍ반투니그로ㆍ피그미ㆍ부시먼ㆍ호텐토트 등
④ 아메리카 인종 : 인디언ㆍ에스키모ㆍ남미 인디오 (대부분 몽골로이드로 분류함)
⑤ 말레이 인종 : 말레이ㆍ니그리토ㆍ호주 원주민 (폴리네시안인 등)
※ 중국 : 56개 민족으로 구성
한족ㆍ만주족ㆍ몽고족ㆍ조선족ㆍ위구르족ㆍ묘족ㆍ좡족ㆍ후이족ㆍ이족ㆍ투지아족ㆍ짱족ㆍ몽고족ㆍ둥족ㆍ보웨이족ㆍ야오족ㆍ바이족ㆍ하니족ㆍ리족ㆍ카자크족ㆍ다이족ㆍ셰족ㆍ리수족ㆍ둥샹족ㆍ거라오족ㆍ라후족ㆍ바족ㆍ수이족ㆍ나시족ㆍ창족ㆍ투족ㆍ무라오족ㆍ시버족ㆍ키르기스족ㆍ징포족ㆍ다우르족ㆍ 살라르족ㆍ블랑족ㆍ마오난족ㆍ타지크족ㆍ푸미족ㆍ아창족ㆍ누족ㆍ에웬키족ㆍ징족ㆍ지노족ㆍ데앙족ㆍ 보난족ㆍ러시아족ㆍ유구르족ㆍ우즈벡족ㆍ몬바족ㆍ오로춴족ㆍ데룽족ㆍ헤젠족ㆍ가오샨족(고산족)ㆍ로바족ㆍ타타르족
4. 종족의 지역별 명칭
① 게르만 족 : 현재 "독일 민족"을 말하며, 실제로 유럽종족 전부를 "아리안 종족"이라 한다. 이를 세분하여 독일계는 "게르만족"이라 한다.
② 라틴 족 : "라틴 족"은 종족적 의미가 아니고, "언어적 분류"이다.
"아리안 종족"에서 남부유럽 "이태리"를 중심으로 프랑스ㆍ스페인ㆍ포르투갈ㆍ루마니아 등 "고대 라틴어 (고대 이태리어)"를 사용한 종족을 말한다. 그리하여 남미 "멕시코"등 스페인 식민지를 당한 나라를" 라틴 아메리카"라고 하는 이유가 이 언어를 같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③ 슬라브 족 : 러시아ㆍ불가리아ㆍ체코ㆍ폴란드 지역사람을 말한다.
즉 "아리안 족"에서 언어적으로 "Balto Slavic" 언어를 쓰는 민족을 말한다.
④ 핀 족 : 현재 "핀랜드"민족을 말하는데, 이는 원래 "흉노족(훈족)"일파가 4~ 5세기경 유럽을 점령하였을 때 이곳으로 이주하여, "헝가리ㆍ핀랜드"의 조상이 되었다.
⑤ 마자르 족 : "헝가리" 조상들을 말하는데, 헝가리 조상은 "훈 족"의 후예였다.
지금은 사라진 종족이지만 헝가리는 대부분 "마자르 족"이다. 설에 따르면, 이를 "동양계"라고 하는 이유는 유일하게 유럽에서 "인도유러피언 어족"이 아니고 "우랄알타이어안"의 "핀 우고르어족"이었기 때문에 "동양계"고 하는 것이다. "훈족"의 맹장 "아틸라"가 유럽을 쥐락펴락했다가 사라진 다음에, "마자르 족"이 등장했으므로 "훈족의 후예" 일부들이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⑥ 바이킹 족ㆍ게르만 족 : "바이킹 족ㆍ게르만 족"은 같은 언어 군이지만, 종족은 다르다.
"바이킹 족"은 "겔트 족"으로 나중에 영국을 점령한 "노르만 종족"이 된 것이다. 흔히 "노르웨이ㆍ스웨덴"에서 나온 것으로 아는데, 바이킹은 엄밀히 말해서 "덴마크 지역" 출신의 "해적 떼"들로, 이들이 10세기경에 "영국"으로 이주하여 "겔트 족"의 원조가 된다. 그 이후 어군도 틀려져서 "겔트 어"는 별도의 언어 군으로 자리 잡았다.
5. 민족의 분류
① 아시아 민족
• 예맥족 (濊貊族) : 우리 민족의 기원으로, "예족ㆍ맥족"의 연칭. 몽고북부 "러시아 바이칼 호" 주변에서 거주하던 종족. "고아시아족"으로써 일부가 남하하여, 현재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거주 정착한 "퉁그스 계"에서의 유일한 농경민족
• 말갈족 (靺鞨族) : "모해 족"이라고도 하며, 몽고지역ㆍ만주일대ㆍ발해만 지역의 유목민족
• 흉노족 (匈奴族) : 내몽고 감숙성ㆍ상시성 일대의 유목민족. 4~ 5C 서유럽으로 민족 이동하여, 서양에서 흉노를 "훈"이라 발음한다. "훈족"이라 하여, 현재 헝가리ㆍ핀란드의 조상이 된다.
• 선비족 (鮮卑族) : 요령ㆍ길림ㆍ흑룡강성 일대의 유목민족
• 돌궐족 (突厥族) : 몽고ㆍ내몽고 상시성 일대의 유목민족, 돌궐→ 투르크→ 터키로 변화. 중앙아시아로 이동하여, 카자크스탄ㆍ키르키스탄 일대ㆍ터키 족의 조상이 된다.
• 토번족 (吐蕃族) : 내몽고 감숙성ㆍ상시성 일대의 유목민족. 6C 중엽 티베트로 이동하여, 현재의 티벳 종족
• 거란족 (契丹族) : 몽고ㆍ내몽고ㆍ만주 요령성 일대의 유목민족. 5C경 일부는 신강ㆍ카차흐스탄으로 이동
• 여진족 (女真族) : 만주ㆍ내몽고 북부지역 일대의 유목민족.10C경 금나라ㆍ청나라를 건국한 중국 동북지역 최대 종족
② 유럽 민족 (슬라브 족ㆍ겔트 족ㆍ게르만 족)
• 슬라브 족 : (동 슬라브) 러시아ㆍ우크라이나ㆍ벨라루스 (서 슬라브) 폴란드ㆍ체코ㆍ슬로바키아 (남 슬라브) 유고ㆍ불가리아ㆍ루마니아ㆍ보스니아ㆍ세르비아ㆍ크로아티아ㆍ슬로베니아
• 겔트 족 : 프랑크족ㆍ스코트족ㆍ이베리아인ㆍ반달족ㆍ고트족ㆍ픽트족ㆍ앵글로족ㆍ주트족ㆍ색슨족ㆍ랑고바르드족ㆍ노르만족
• 게르만 족 : 고트족ㆍ바이킹족ㆍ수에비족ㆍ바바리아족ㆍ바타비아족ㆍ반달족ㆍ암브로네스족ㆍ알라마니족ㆍ부르군트족ㆍ앵글족ㆍ유트족ㆍ튜튼족ㆍ프랑크족ㆍ색슨족ㆍ프리센족
③ 아프리카 민족
간다인ㆍ마사이족ㆍ무어인ㆍ반투족ㆍ베르베르인ㆍ스와힐리족ㆍ아랍인ㆍ아샨티족ㆍ아프리카너ㆍ은데벨레족ㆍ츠와나인ㆍ코이산족ㆍ콩고인ㆍ투치족ㆍ트와족ㆍ피그미ㆍ함족ㆍ후투족
④ 중남미 대륙 민족
마야ㆍ믹스텍ㆍ사포텍ㆍ아즈텍ㆍ올멕ㆍ치치멕ㆍ카리브ㆍ타이노ㆍ아라와크ㆍ테우티우아칸ㆍ톨텍
⑤ 남미 대륙 민족
과라니ㆍ나스카ㆍ마푸체ㆍ셀크남ㆍ야노마미ㆍ와리ㆍ잉카ㆍ제ㆍ차빈ㆍ치무ㆍ테우엘체투피ㆍ피라항ㆍ티우아나코
⑥ 북미 원주 민족
아파치ㆍ모히칸ㆍ코만치ㆍ나바호ㆍ블랙풋ㆍ메이티ㆍ샤이엔ㆍ쇼쇼니ㆍ수우ㆍ라코타ㆍ오타와ㆍ모호크ㆍ이로쿼이 연맹ㆍ체로키ㆍ크리ㆍ클리마스ㆍ푸에블로
'상식 - 일반 •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National Treasure)ㆍ 보물 (Treasure) (2) | 2022.08.29 |
---|---|
국보와 보물의 차이는?ㆍ세계 문화유산 (0) | 2022.08.29 |
매파 (Hawks)ㆍ비둘기파 (Doves) (0) | 2022.08.29 |
대통령 (President)ㆍ총리 (Prime Minister)ㆍ수상ㆍ총독 (Viceroy) (0) | 2022.08.28 |
김일성 주체사상 (金日成 主體思想) : 북한의 통치 이념 (2) | 2022.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