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43 좌파 (진보)ㆍ우파 (보수) 유래 좌파는 일반적으로 "평등주의 및 정치ㆍ경제생활의 주요 기관에 대한 대중 또는 국가 통제"와 관련된 정치적 스펙트럼의 부분을 의미한다. "프랑스 대혁명(1789년)" 당시, 좌측에 앉은 "사회주의 대표자들"로부터 유래하였다. 우파는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정치관"으로 설명되는 정치적 스펙트럼의 부분을 의미한다. "프랑스 대혁명(1789년)" 당시 우측에 앉은 "보수파 대표자들"에게서 유래하였다. 1. 좌파 (좌익ㆍ진보)와 우파 (우익ㆍ보수) ① 좌파ㆍ좌익(左翼)ㆍ왼쪽 날개 : 급진적ㆍ혁신적 정파를 뜻하는 말 → 자코뱅파ㆍ진보ㆍ혁신ㆍ사회주의적 사상이나 경향② 우파ㆍ우익(右翼)ㆍ오른쪽 날개 : 점진적ㆍ보수적 정파 → 지롱드파ㆍ보수ㆍ자본주의적 사상이나 경향③ 한국 : • 좌파 - 공산주의 체제의 신봉.. 2022. 8. 27. 의사 (義士)ㆍ열사 (烈士)ㆍ지사 (志士) "현충일 (顯忠日)"은 매년 6월 6일로, 나라를 위해 희생한 순국선열(殉國先烈)ㆍ전몰(戰歿)한 장병들의 충렬을 기리고 얼을 위로하기 위한 기념일이고, "순국선열(殉國先烈)"의 날은 매녕 11.17일이고,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기리는 기념일이다. 1. "국가보훈처"의 기준 "의사ㆍ열사"의 구분 없이, "독립유공자"'로 표기하고, "순국선열ㆍ애국지사"로 구분 2. 순국선열ㆍ애국지사 "의사ㆍ열사"는 순국한 뒤에 붙이고, "지사"는 생전에도 쓸 수 있는 말 ① 의사 (義士) : 나라ㆍ민족을 위하여, 무력적인 행동을 통해, 항거하다가 의롭게 죽은 사람 • 안중근 (1879~ 1910, 31세) : "하얼빈 역"에서 초대 조선통감 "이토 히로.. 2022. 8. 26. 주의 ③ "사기"에 나오는 좋은 정치ㆍ유시민이 말하는 "법치주의" TV만 틀면 나오는 소리가 있다. "국민 여러분! 오로지 국민만 여러분만 바라보고 일하겠습니다"라고. 과연 그럴까? 그렇다면 "어떤 정치가 좋은 정치인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1. "사기"에 나오는 말 사마천 (B.C 145년경~ 86년경)ㆍ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역사가)의 저서 ① 1번째 좋은 정치 : 국민의 마음에 따라서, 다스리는 것② 2번째 좋은 정치 : 이익으로 유도하는 것 ③ 3번째 좋은 정치 : 도덕으로 설교하는 것 ④ 못난이 정치 : 형벌로 겁주는 것⑤ 최악의 정치 : 국민하고 다투는 것2. "법치주의" 란 무엇인가?유시민 (柳時敏ㆍ1959~ ) : 작가ㆍ언론인ㆍ국회의원 (2선)ㆍ보건복지부 장관 (44대) "국민이 법을 지켜라" 하는 게 법치주의가 아니다. 권력자.. 2022. 8. 26. 완벽(完璧)ㆍ화씨의 벽(和氏之璧) 완벽(完璧)이란, 본래는 "흠 없는 옥"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이에 대한 고사는 "화씨지벽"이다. 흠이 없고 완전함을 말하는데, "정도"로 따지면 최상급이기에 "더 완벽하다"거나 "가장 완벽하다"는 말은 동의미 반복으로 인해서, 잘못된 표현이다. 1. 완벽 (完璧) • 1점의 흠집도 없이 "훌륭한 옥"을 가리키는 말 • 고사처럼 "훌륭한 것을 그대로 무사히 보존한다"는 뜻 • 어떤 사물이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하거나, 또는 일 처리를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하게 한 것"벽(璧)"은 원래 동그랗게 갈고 닦은 "옥(玉)"을 가리키는 한자어인데, 이 벽(璧)자를 쓴 "완벽"이라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전해진다."중국 조나라(BC 403~228)"에 "화씨의 벽(和氏之璧)"이라는 유명한 보물 .. 2022. 8. 26. 주의 ② 염세주의ㆍ페시미즘 (Pessimism)ㆍ비관주의ㆍ쇼펜하우어 염세주의(Pessimism) 또는 비관주의는 세상이나 인생을 추악하고 괴로운 것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철학적 비관주의(philosophical pessimism)는 반(反)낙관적인 세계관 또는 윤리적 관점을 뜻한다. 1. 염세주의ㆍ페시미즘 (Pessimismㆍ厭世主義)ㆍ비관주의(悲觀主義)인생은 무가치하고, 혐오스럽다고 보는 태도. 라틴어로 "나쁘다"는 뜻의 "malus"의 최상급 "pessimum"에서 유래주로 "쇼펜하우어"의 철학사상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는 용어. 세계는 원래 불합리하여 비애로 가득찬 것으로서, 행복ㆍ희열도 덧없는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세계관이다. 자살ㆍ자해를 하는 사람들 거의 대부분이 이런 생각을 갖고 있다.선ㆍ악이나 빛ㆍ어둠이라는 2개의 실재를 극단적으로 대립시킨 B.. 2022. 8. 26. 연역법 (演繹法)ㆍ귀납법 (歸納法)의 차이 "연역법ㆍ귀납법"은 "추리ㆍ추론ㆍ논증 방법"에 속하는데, 다른 말로 "연역 추론ㆍ귀납적 추리"라고도 한다. 1. 연역법 (演繹法)ㆍ귀납법 (歸納法)의 차이점 2. 연역법 (演繹法)논리적으로 필연적인 원리에 따라 혹은 진리 보존적 추리 규칙에 따라 주어진 전제로부터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연역법"에서 말하는 "연역"이란, 이미 알고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제를 전제로 이를 규정된 논리적 형식에 근거해서 새로운 명제를 결론으로 이끌어내는 추리의 한 방법이다.(ex)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삼단논법 과정"으로, 마지막에 "그러므로" 라는 문장의 시작을 사용한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3. 귀납법 (歸納法)개별적인 특수한 사실.. 2022. 8. 26. 맹자의 역성혁명 (易姓革命) : Dynastic Revolution "역성혁명 (易姓革命)"이란, 왕조가 바뀌는 일이고, 중국에서는 왕조교체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사상이다. "유교의 정치 사상" 가운데서 완성되었는데,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다른 유덕자가 천명을 받아, 부덕한 왕조를 넘어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 "는 사상이다. 1. 역성혁명 (易姓革命)을 체계화된 이론으로 제시한 것은 "맹자 (B.C 372?~ 289?ㆍ83세)""맹자의 역성혁명론"은 "무력혁명"을 긍정하지 않았으며, "군주가 덕을 베풀면, 적국은 자연스레 무너지게 되어, 천하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 이상론"에 불과했다."맹자"는 "군주가 그 지위를 유지하는 것은 천명(天命)에 따른 것이며, 천명은 인심(人心)에 의해 좌우된다"고 주장했다. "인심"에 영향을 주는 .. 2022. 8. 26. 파라독스 (Paradox)ㆍ역설ㆍ이율배반 (二律背反ㆍAntinomy) "칸트(Immanuel Kant)"는 "순수이성이 무제약자를 파악하려 함으로써 모순을 낳는다"는 주장을 하여, "이율배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는 이를 통해 "순수이성이 형이상학의 영역에서는 부적절하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다. ◆ 파라독스 (Paradox)ㆍ역설ㆍ이율배반 (二律背反ㆍAntinomy) • 서로 모순되는 명제(命題), 즉 정립(定立)ㆍ반립(反立)이 동등의 권리를 가지고 주장되는 일 • 서로 모순되는 두 명제가 동등한 타당성을 가지고 주장되는 일"칸트"는 "우주가 시간적으로 시초를 가지며, 공간적으로 한계를 가진다"는 "명제(정립)"와 "반대 명제" 모두에 대한 논증을 제시했다. 같은 방식으로 "칸트"는 3개의 명제에 대해서도 "지지 논증ㆍ반대 논증"을 제시했다.① 모든 복합 실체는 단.. 2022. 8. 26. 아방가르드 (Avant-garde)ㆍ전위 예술 (前衛藝術) 기존의 전통과 인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향과 운동을 선보이는 "전위예술". 프랑스어로 "선발대(Vanguard)"를 가리키는 말이다. 문화적으로는 기존에 당연시 되던 것에서 벗어나 경계를 허무는 "초현실주의" 표현이나 예술운동을 말한다. 1. 의미 • 기존 세대의 예술과는 다른, 보다 혁신적이고 독창적인 방식을 추구하는 예술• 주로 예술에 있어서 새로운 것, 혁신을 추구하는 경향, 혹은 그런 인물을 지칭하는 개념. • 20C 초 유럽에서 일어난 "다다이즘ㆍ초현실주의" 따위의, 기성 예술의 관념이나 형식을 부정한 혁신적인 예술 운동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어원 • 아방가르드 (avant-gardeㆍ프랑스어) = avant (앞 전) + garde (보호하다ㆍ지키다) = 선두에 선 사람들 • 가장 앞 .. 2022. 8. 26. 주의 ① 아나키스트 (Anarchist)ㆍ무정부주의 개인을 지배하는 모든 권력ㆍ정치 조직ㆍ사회적 권위를 부정하고 개인의 자유ㆍ평등ㆍ정의ㆍ형제애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상을 가진 자, "통치 권력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한자 문화권에서는 "아나키즘(Anarchism)"을 "무정부주의"로 번역한다. 1.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전해져, "민족해방 운동이념"의 하나로 기능했다.초기 아나키스트들은 "자본가에 의한 노동자 착취"에 저항하며, "국가 권력의 해체"를 주장했다.또한, "권력 해체"를 위해, 암살과 같은 폭력적인 혁명을 추구하기도 했으며, 그로 인해 과격하고 급진적인 사상으로 간주됐다. "아나키즘"은 "자유ㆍ평등"을 중시하며, 모든 종류의 지배 권력을 부정하므로, "마르크스ㆍ레닌"의 "권위주의적 공산주의"와도 대립하는 측면이 있다.• 아나키스트 : 이회.. 2022. 8. 26. 수사학 (修辭學ㆍRhetoric)ㆍ아리스토텔레스ㆍ소피스트 "설득"이란, 화자의 주장을 청자에게 이해시키고, 그 과정에서 청자의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끼쳐, 화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청자를 변화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화법이다. 1.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수사학은 곧 "남을 설득하는 기술"이었다. "소피스트들"이 말하고 다닌 것이 "수사학"이다. 많은 수사학자들이 남긴 것을 "아리스토텔레스"가 정리했다. 말을 조리 있게 하고, 효과적으로 설득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수사학"을 연구해서 책으로 냈고, "수사학"은 "그리스 시대"부터 중요하게 여겨졌고, "중세 유럽"에서도 대학의 중요 과목으로 인정받았다. ※ 소피스트 = 수사학자 = 궤변학자 = 변호사 = 웅변학원 강사 (말하는 법ㆍ설득하는 법ㆍ법정에서 이기는 법ㆍ변호하는 법 등을 알려주고 돈을 벌던 사람) .. 2022. 8. 26. 노블리스 오블리제 (Noblesse Oblige (프랑스어)) 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로, 초기 로마시대에 왕과 귀족들이 보여 준 투철한 도덕의식과 솔선수범하는 공공정신에서 비롯되었다. 근현대에 이르러 이러한 도덕의식은 계층간 대립을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으로 여겨진다. 1. 노블레스 오블리제 (Noblesse oblige) 란?프랑스어로 "귀족의 의무"를 의미한다. 보통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고귀한 신분에 따르는 도덕적 의무와 책임을 뜻한다.즉, 노블레스 오블리제는 사회지도층에게 사회에 대한 책임이나 국민의 의무를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단어이다. 이는 지배층의 도덕적 의무를 뜻하는 프랑스 격언으로 정당하게 대접받기 위해서는 "명예(노블리스)" 만큼 "의무(오블리제)"를.. 2022. 8. 26. 이전 1 ··· 167 168 169 170 17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