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95

공산당 ⑨- 2 : 남부군ㆍ남조선혁명전쟁 (1948.04~1950.03) 1946년부터 이미 "야산대 (조선인민유격대의 전신)"이 탄생하여, 한국전쟁 발발 전까지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는 점은 한국전쟁의 내전적 성격을 잘 보여준다. 1948~ 1953년까지(5년)는 혁명ㆍ전쟁의 시기였다. 1. 남부군ㆍ빨치산 (파르티잔 부대)남조선 인민유격대ㆍ조선 인민유격대ㆍ공비ㆍ공산 게릴라"미군정기"에 "대구 폭동(1946.10)"으로 유혈 사태가 일어나면서, "남조선로동당(남로당)의 폭력노선으로, 불법화되는 과정에서 산으로 들어간 좌파 인사들이 "조선인민유격대"의 효시이다. 이들 가운데 일부가 "2·7사건(1948.02)ㆍ제주4·3사건(1947.04~ 54.09)"이후, "전남 곡성군ㆍ구례군" 일대에서 "야산대"로 불리던 "무장 유격대"로 전환했고, "야산대" 일부는 "여수·순천 사건(19.. 2022. 10. 28.
공산당 ⑨- 1 : 남부군ㆍ이현상 부대 (1950.12~1953.09) 1950.12~1953.09까지 존재한, "남부군 (南部軍ㆍ이현상 부대ㆍ조선인민유격대 독립 제4지대ㆍ남부군단ㆍ나팔부대)"은 남한 최초의 조직적인 좌익 "빨치산 부대"였고, 특히 "남한 빨치산"의 전설적인 총수 "이현상"의 직속부대였다. "빨치산(파르티잔 부대)ㆍ남조선 인민유격대ㆍ조선 인민유격대ㆍ공비ㆍ공산 게릴라"으로도 불린다. 1. 남부군 (南部軍ㆍ이현상 부대ㆍ조선인민유격대 독립 제4지대ㆍ남부군단ㆍ나팔부대)남한 최초의 조직적인 좌익 "빨치산 부대"였고, 특히 "남한 빨치산"의 전설적인 총수 "이현상"의 직속부대 (North Korean Partisan in South Korea)6ㆍ25전쟁 전후, "지리산"을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한 "이현상"이 지휘하던 "좌익 빨치산 부대"로, 한국 전쟁을 전후하여, .. 2022. 10. 28.
공산당 ⑧ 남로당ㆍ남조선노동당 "남로당 (남조선노동당)"은 1946.11월, "박헌영" 계열이 중심이 되어, 남한 지역 좌익진영의 통합을 강화할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민주주의 자주독립국가 건설ㆍ무상몰수ㆍ무상분배의 토지개혁ㆍ8시간 노동제와 사회보장제 실시ㆍ주요 산업의 국유화ㆍ언론/출판/집회/결사/시위/신앙의 자유ㆍ20세 이상의 국민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 부여ㆍ남녀동등권ㆍ초등의무교육제 실시ㆍ진보적 세금제 실시ㆍ민족군대 조직과 의무병제 실시" 등을 주장했다. 1. 남로당ㆍ남조선노동당 (南朝鮮勞動黨) 해방 정국에 결성되었던 "좌익 계열" 정당ㆍ3당이 합당 = 조선공산당 (박헌영 주도) + 조선인민당 (여운형 주도) + 남조선신민당 (백남운 주도) 1945.11.23~24일, "박헌영" 계열이 주도로 남한 좌익진영의 통합을 강화할 목적으로 .. 2022. 10. 28.
공산당 ⑦ 동북항일연군ㆍ제88 특별여단(교도여단) "동북항일연군ㆍ제88 특별여단 (교도여단)"은 당시 "만주"에 있던 수많은 항일계열 군사조직 중에 제일 큰 세력을 형성하였으며, 독립운동사에서도 비중이 상당하다. "북조선"의 주요 인사(김일성ㆍ김책ㆍ최현ㆍ최용건 등)도 이 항일연군에 참여했다. 1936년, "만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조선인ㆍ중국인"의 "유격부대"를 "중국 공산당"의 주도로 통합한 "민족통일전선(조선인ㆍ중국인)" 성격을 띤 군사조직이다. 1. 동북항일연군 (東北抗日聯軍) → 이후 (일부) 제88 특별여단 (교도 여단)1939년, "일본 관동군"의 대대적인 공세에 의해 1942년 소멸되고, 잔존 세력은 "소련"으로 도피하였다. "소련"으로 도피했던 조선인들은 국내에 아무 정치적 기반이 없었지만, 1945.08월 한반도 이북 지역을 점령한 ".. 2022. 10. 28.
공산당 ⑥ 4대 파벌 : 빨치산파ㆍ국내파ㆍ소련파ㆍ연안파 1945년 직후, 초기 "공산당 4대 파벌"은 "빨치산파(김일성)ㆍ국내파(박헌영)ㆍ소련파(허가이)ㆍ연안파(김두봉)"였다. "8월 종파사건"은 "연안파"가 권력에서 축출되고, "빨치산파(김일성 등)"의 권력을 공고화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1. 빨치산 파 (항일유격대 파ㆍ김일성 파)동북항일연군→ 소련 제88특별여단 (교도여단)→ 입국 (갑산파 : 보천보 싸움 등에서 동북항일연군과 함께 싸우다가, 조선으로 잠복한 사람)• 1930년대, "북만주 지역(만주나 중국 국경지대)"에서 "김일성"을 중심으로 항일 빨치산 활동ㆍ무장 항일운동을 했던 세력으로, 소련군과 입북한 후 소련의 지지를 받고, 정권을 장악한 파벌• 주요 인물 : 김일성ㆍ임춘추ㆍ최현ㆍ김책ㆍ안길 (서열순) / 김일성ㆍ최용건ㆍ김일ㆍ박금철ㆍ김광협ㆍ최.. 2022. 10. 27.
공산당 ⑤ 고려공산당ㆍ조선공산당ㆍ공산당 사건 "고려공산당 한인지부"에는 조선인이 조직한 "공산주의" 정당 2개가 존재하는데, "상하이 고려공산당 (1921년)ㆍ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 (1919년)"으로 나뉜다. 2개 정당은 서로 대립하면서, "소련 정부ㆍ코민테른"으로부터 정통성을 인정받고 지원을 얻고자 경쟁ㆍ반목하며, "한인투쟁부대의 통수권"을 둘러싸고 대립을 벌여, 1921.06.27일 "자유시 참변"이라는 비극을 낳기도 했다. 1. 고려 공산당 (高麗 共産黨ㆍ1919년 이전)① 고려공산당 (조선공산당 상해지부)상하이에서 "여운형ㆍ이동휘"등이 결성한 조선인들의 공산당. 국제공산당은 "1국 1당 원칙"을 내세워, "고려공산당"은 "중국공산당"에 흡수되었다. 그래서 "중국공산당 강소성위원회 법남구 한인지부"에 소속하게 되었다. "한인지부"를 "여운형.. 2022. 10. 27.
공산당 ④ N L계 (주사파)ㆍP D 계 (진보좌파) "N L (National Liberation) 계"는 "민족 해방 노선ㆍ자주파ㆍ주사파 (주체사상을 따르는 정파ㆍ반미/ 주체사상)"이고, "P D (People's Democratic) 계"는 "민중 민주 노선ㆍ평등파ㆍ진보좌파ㆍ마르크스주의자들"이다. 1. N L계 (주사파)ㆍP D 계 (진보좌파)① N L계 (주사파ㆍNational Liberation)"한국ㆍ북한이 외세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 통일을 해야 한다"는 것. 대안으로 "고려 연방(1국가 2정부)"을 만들고, 점진적으로 통일을 하자는 것. 내부에 소위 말하는 "주사파(주체사상을 따르는 정파ㆍ자주파)"가 있다.N L계열의 총학생회는 "민족ㆍ통일" 문제 해결을 내세우는 "총학"을 말한다. 당연히 N L에서는 북한의 주류사상인 "주체사상"이 .. 2022. 10. 27.
공산당 ③ 코민테른ㆍ테제ㆍ제2인터내셔널ㆍ노동절 "공산당 선언"은 공산주의 사상가인 "카를 마르크스ㆍ프리드리히 엥겔스"에 의하여 집필된 공산주의자들의 최초의 강령적 문헌으로, 1848.02.21일 첫 출판되었다. 19C 중엽, 독자적인 정치 세력으로 무대에 등장한 "프롤레타리아"에게 역사적 사명과 해방의 앞길을 밝혀 주고, "국제공산주의운동의 지도적 지침을 확립한다"는 목적의식 하에, 1847년 "마르크스ㆍ엥겔스"에 의해 초안이 작성되었다. 1847년, "마르크스ㆍ엥겔스"가 가입한 "의인동맹(義人同盟ㆍBund der Gerechten)"은 "공산당 선언"을 동맹의 정책문서로 채택하였다. 1. 용 어① 코민테른 (Communist international): 국제공산당ㆍ제3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노동조합이나 사회주의 정당 간의 연합)"이 와해된 .. 2022. 10. 27.
공산당 ② 생성ㆍ변화 (1944~1953) 1917.11.07일, "러시아 10월 혁명(볼셰비키 혁명)"으로 "소비에트 정부"가 수립되고, "레닌"이 수상이 되었다.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난 것을 계기로, 세계 각국에서 "공산당"이 조직되었고, 이들을 통일적으로 지도하고 연계하기 위한 국제적 조직인 "코민테른(국제공산당)"이 창립되었다. ※ 코민테른 (Communist international): 국제공산당ㆍ제3인터내셔널 : "제2인터내셔널(노동조합이나 사회주의 정당 간의 연합)"이 와해된 후, 1919.03월 "레닌" 주도로 "모스크바"에서 창립된 국제적인 "공산주의 조직 (마르크스-레닌주의 당)" ㆍ"독일- 소련" 전쟁 발발로, 1943.05월에 "스탈린"에 의해 해산• 18.05.11 : "이동휘" 등이 중심이 되어, "한인사회당"을 .. 2022. 10. 27.
공산당 ① 계보ㆍ고려공산당 (~1919)ㆍ조선공산당 (1925~) "공산당 (共産黨ㆍCommunist party)"은 "벨기에"의 청년 헤겔파 사회주의 조직인 "브뤼셀 공산주의자 연락위원회"와 영국의 기독교 사회주의 단체인 "정의자 동맹"이 1847.06월에 합당하여 만들어진 "공산주의자동맹 (Communist League)"이 그 시초이다. "공산주의자동맹" 창당 시기에 씌여진 선언문이 바로 "공산당 선언 (독일어: 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이다. 1. 공산당 계보"공산당 선언"은 공산주의 사상가인 "카를 마르크스ㆍ프리드리히 엥겔스"에 의하여 집필된 공산주의자들의 최초의 강령적 문헌으로, 1848.02.21일 첫 출판되었다. 19C 중엽, 독자적인 정치 세력으로 무대에 등장한 "프롤레타리아"에게 역사적 사명과 해방의 앞길을 .. 2022. 10. 27.
조선일보 ② 방응모 (계초ㆍ1883)ㆍ친일신문 전환ㆍ전쟁 지원독려 "방응모 (方應謨ㆍ1883~1950.08(?)ㆍ67세)"는 "조선일보" 사주로,  "교동 광업소"를 운영하며, 모은 재력을 바탕으로, "조선일보 부사장" 재직 중,  사주가 되었으며,  1933.07~ 1950.07월까지 "종신"으로 "조선일보의 사장"을 역임하였다. 1935년, 창간한 월간잡지 "조광 (朝光)"은 친일 논란이 있다. 1. 방응모 (方應謨ㆍ1883~1950.08(?)ㆍ향년 67세)"김구ㆍ한용운"의 재정적 후견인ㆍ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언론인ㆍ정치인ㆍ교육자ㆍ법조인ㆍ기업인 (금광 경영)ㆍ조선일보사 사주 (9대ㆍ전임 사주 : 조만식)ㆍ"동아일보 정주 지국장"을 지내다가, 1924년 "금광업"에 뛰어들어, 큰 부를 얻게 되었다. 1932.06월, "조선일보"에 입사하였고, 이후 "영업국장"이 되.. 2022. 10. 26.
조선일보 ① 조만식 (고당ㆍ1883)ㆍ조선의 간디ㆍ북한내각 재정부장 1950.05.16일, 북한 당국이 "조만식"을 남쪽에서 활동 중 체포되었던 "김삼룡ㆍ이주하"와 교환할 것을 제의하기도 하였으나, 국내에서 끝까지 일제에 굴하지 않고 지조를 지켜온 몇 안 되는 우파 민족주의자인데다 대중들이 더 선호한다는 사실을 껄그럽게 여긴 "이승만 (李承晩ㆍ1875~1965ㆍ90세)"은 "조만식 (曺晩植ㆍ1883~1950.10.18ㆍ67세)을 38선 이남까지 데리고 내려오라"는 조건을 붙여, 사실상 교환을 거부했다. 1. 조만식 (曺晩植ㆍ1883~1950.10.18ㆍ향년 67세) 독립운동가(조선의 간디)ㆍ이북 최고 지도자ㆍ조선민주당(개신교 정당)총재ㆍ교육자ㆍ종교인ㆍ언론인ㆍ조선일보사 사주 (8대)ㆍ조선일보사 사장ㆍ오산학교 교장ㆍ숭인중학교 교장ㆍ평양 YMCA 청년회 총무(1921): 평안.. 2022.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