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인물 • 악녀 (10인) • 부덕 (6인)

악녀 ④ 장녹수 外, "연산군"의 여인들

by 당대 제일 2022. 9. 18.
반응형

 

"연산군 (燕山君1476~ 1506재위 1494~1506(12)향년 29)"이 사랑을 기울인 3명의 여인은 "장녹수 (張綠水1466? ~ 1506향년 39) 최전향 (崔田香궁녀)수근비 (水斤非노비)"였다.

 

1. 연산군 (燕山君1476~ 1506재위 1494~1506(12)향년 29)

성종(成宗) 장남"적자" 신분으로 세자에 책봉폐비 윤씨 아들(얼굴에 손톱자국을 내어 폐비가 됨)ㆍ훗날 폐위된 "광해군(15)"과 함께, 조선왕조 대표적인 "폭군패륜아의 전형"으로 지목ㆍ한글사용을 금지했던 왕극심한 피부질환자예술적 재능이 많아, 술을 마시면 시와 춤을 잘 추었다. 1506, "중종반정"으로 폐위되고, "강화군 교동도"로 유배되었다가, 그해 11월에 병으로 사망했다.

2. 장녹수 (張綠水1466? ~ 1506향년 39) 연산군보다 10살 위의 유부녀 (아들 1)

"연산군"의 후궁(9번째 여자)기생/ 기 출신으로 "후궁"에까지 오른 여인ㆍ더구나 아들을 둔 몸으로 "숙용", 아니 "후궁"의 지위에 오른 여자는 조선을 통틀어서 "장녹수" 뿐이다천하의 "요부(妖婦") "교사(嬌邪)"와 요사스러운 "아양"은 견줄 사람이 없었고, 거만하였다"제안대군(예종의 2째 아들)"의 노비(어머니는 천민 출신의 첩) 천인(賤人) 출신

"천비 출신 기생"으로, 어릴 적부터, 몸을 팔아 생계를 연명하며, 여러 남자를 전전하였다. 비록 얼굴은 보통을 넘지 못했으나,  30살이 넘어서도 나이에 비해 매우 앳된 동안(童顔)으로, 피부몸매가 16살 처녀같이 고았다고 하며, 특히 목소리가 고와 노래에 타고난 재능이 있었고, 가무(歌舞)를 비롯한 다방면의 예술분야에 천재적인 재능을 겸비하였다고 한다. 성품이 영리하여 사람의 뜻을 잘 맞추었고, 특히 노래에 타고난 재능이 있었다.

   : 참형 (斬刑"중종반정" 직후, "군기시(軍器寺)" 앞에서 참수)             남 편 : 연산군  1502년경에 만남 (1502~ 1506 (25)- 장녹수 (35) )          자 녀 : 아들 (가노(家奴) 아들)(연산군 딸)

3. 최전향 (崔田香궁녀)수근비 (水斤非노비)

"연산군"에게는 "장녹수" 이전에 승은(承恩)을 입은 궁녀가 2명 있었는데, 바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게 "최전향(崔田香)""수근비(水斤非)"이다. "최전향"은 궁녀 출신으로 "연산군"에게 승은을 입은 궁녀이고, "수근비"는 원래 "관노(官奴)"다가 자색이 곱다는 이유로 "연산군"의 눈에 들어, "연산군""옥금이"라는 여자를 대신 "관노"로 내리고, "수근비" 궁궐로 불러들여, 승은(承恩)을 입힌 여인이다.

당시 "장녹수"는 이 두 여인을 질투하고 있었는데, 질투하기로는 이 두 여인들도 마찬가지였다그러나 장녹수와의 기 싸움에서 1달을 못가고, 궁 밖으로 내쳐졌다"연산군"은 얼마 뒤에 장 80대씩을 때린 후,"최전향""강계", "수근비""온성"으로 유배를 보내고, 전 재산을 몰수한다. 그러다 2달도 채 되지 않아, 희대의 사건이 터져 버렸다.

1504(연산군10) "장녹수"의 집에 "연산군장녹수" 비난하는 "괴서(怪書)"가 붙었는데, 이때 귀양가 있던 "최전향수근비"가 주모자로 지목되었다그 후 두 사람의 일족 60여 명이(부모형제, 친척) 모두 잡혀와 고문을 당하였으나, 아무도 자백하는 이가 없었고, 다시 이웃사람 40여 명을 잡아다가 국문하였다.

"연산군""최전향수근비""군기시"앞에서 알몸으로 사지를 찢고, 머리를 뽑아 문 위에 달았다능지처참하고, 머리를 외딴 섬에 묻게 하였다. 또한 가족들은 죽이고, 가까운 친척은 모두 멀리 귀양 보냈다손과 발은 하나씩 땅에 묻어 두었으며, 질투하고 음해한 자의 말로를 보게 한다는 의미로 잘린 머리를 궁녀들에게 억지로 돌려보도록 시켰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 1006.09일의 기록에서, 사관(史官)은 "이는 장녹수가 참소(讒訴)하였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모습이 고와서 장녹수가 마음으로 시기하여 밤낮으로 왕을 부추겨서, 두 사람의 부자형제를 하루아침에 다 죽였다"고 적고 있다.

4. 월산대군 (月山大君1455~1489왕족성종의 형연산군의 큰아버지) 부인 박씨

"연산군""월산대군 부인 박씨"에게 세자를 보호해달라는 핑계로 끌여들여 강간했다. 그리고 의복을 특이하게 만들어주고, 은으로 만든 책을 쓰게 하는 등 특별한 "은전"을 베풀었다. 연산군의 예는 "비빈(妃嬪후궁첩실)"과 같았다. 일설에는 "연산군"의 아이를 가진 박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도 하고, "음애일기동각잡기"에는 "연산군"에게 몸이 더럽혀져 병이 나서 죽은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박씨의 남동생이 "박원종(1467~1510무신)"으로, 이때부터 그는 복수의 칼을 갈기 시작했다. 그는 "연산군"을 몰아내고 "중종"을 왕위에 앉혔다. 중종실록(5417), "박원종의 졸기편" "원종의 맏누이는 월산대군 이정의 아내로, 폐주가 간통하여 늘 궁중에 있었는데, 폐주가 특별히 원종에게 숭정(崇政)의 가자를 주니, 원종이 분히 여겨 그 누이에게 말하기를 "왜 참고 사는가? 약을 마시고 죽으라" 하였다.

5. 판서 "윤순 (尹珣)"의 부인 구씨 (영의정 구치관 (1406~1470)의 증손녀)

"연산군"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쫒겨나자, "중종""윤순"을 형조판서에 임명하자, "사헌부사간원"은  "윤순이 과거에 오른지 5년만에 자헌대부에 승진되었으며, 아내도 연산군의 사랑을 입어 대궐에 드나들어 자못 추잡한 소문이 있었으니, 사람들은 "윤순이 자헌대부로 승진괸 것은 계집을 판값이라"하였사옵니다. 지금에 와서도 오히려 벼슬을 그대로 하고, 그 아내도 전처럼 대우하고 있으니, 뭇 사람의 평판이 비루하게 여겨 비웃고 있사옵니다" <국조고사>

"문정왕후(중종의 3번째 계비)"가 왕비로 책봉될 당시, 윤순의 부인 구씨는 성밖으로 영원히 쭂겨났다 "순의 아내 구씨는 영의정 치관의 증손녀로, 연산군때에 그의 추잡한 소문이 자못 퍼졌었고, 정축년 7 왕비를 책봉한 다음에는 대간의 논박으로 도성밖으로 내쫒기게 되었다. 윤순이 그때에 비로소 소행을 알고는 부끄러움과 한탄으로 상심하며, 날마다 주색을 일삼았다. 구씨는 식음을 전폐하다 죽었고, 윤순 역시 병이 되어 죽었다." < 중종실록 17(1522) 105일 정축 >

6. 생원 "황윤헌"의 첩

미모도 빼어나고, 가야금을 매우 잘 탔다. 연산군은 이 첩을 매우 사랑했다. 이 소문을 들은 "구수영(具壽永1456~1523중종반정 공신)"은 첩을 빼앗아, "연산군"에게 바쳤다. 그녀의 웃음소리가 듣고 싶었고, 상냥한 말소리도 듣고 싶었지만, 첩은 아예 말문도, 웃음도 닫아버렸다.

"화가 난 연산군이 황윤헌을 죽였다. 황윤헌의 첩이 웃음도, 말문도 닫아버린 까닭이 지아비를 잊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여긴 탓이었다." < 황토기사 >

7. 최유회 (崔有淮)의 딸

가야금을 매우 잘 탔다. "정승 한치형"이 그 딸을 데려와 "구사(관노비벼슬아치의 말/가마 앞에서 소리를 질러, 행인을 비키게 했던 노비)"의 아내로 만들고, 그녀와 관계했다. 여자를 뽑을 때, "임숭재신항"이 다투어, 이 딸을 추천했다. 이번에도 "구수영"이 선수를 쳤다 "구수영"이 먼저 빼앗아 "연산군"에게 바쳤고, 연산군은 매우 사랑했다.

실록에는 남아있지 않으나, 그녀를 "숙의(淑儀후궁)"에 봉해졌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최 숙의"가 머리를 풀어헤치고 통곡을 했다. "어찌 그러는 것이냐 "아버지가 병들어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사옵니다. 소녀를 보내주시옵소서"

친정아버지가 병이 난 것은 사실이었지만, 죽었다는 핑계로 궐을 나가고 싶었던 것이었다 "연산군"이 급히 내시를 보내자, "최유회"는 연산군이 매우 노했다는 말을 듣고는 스스로 자결했다 내시가 갔을 때는 "최유회"는 죽어 있었다. 이튿날 술에서 깬 연산군은 그 소식을 듣고, "후하게 장사를 치르라 명했다. < 소문쇄록 >

8. 성세정 (成世貞1460~?성수침(成守琛도학자명필)의 숙부)의 상주 기생

"성세정"영남감사로 있을 때, "상주 기생"을 어여삐 여겨 한양으로 돌아왔다. 소문을 들은 "연산군"이 그녀를 취했다. 하루는 "너는 성세정이 보고 싶으냐?"  저 질문은 분명 자신을 떠보려는 의도였다. 그녀는 그 의도를 읽고, 코맹맹이 소리로 교태를 부렸다. "어찌 그런 마음이 있겠사옵니까? 그 사람이 저를 집에 두었지만, 사나운 아내를 무서워해서 서로 왕래가 없어 저를 외롭게하였나이다. 어느때나 마음이 상하지 않은 적이 없었사옵니다."

"연산군"이 흡족하게 웃으며 말했다. "그래? 그렇다면 그를 죽이고 싶은 것이냐?"  기생의 웃음이 어색하게 굳었다. "성세정"의 목숨이 자신의 말 한마디에 달린 것이다 죽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하면, 분명 미련을 운운하며, 자신을 해할 것이 뻔했다 "그저 죽이는 것은 통쾌하지 않사오니, 반드시 곤장을 쳐서 변방으로 귀양을 보내어 갖은 고생을 시 뒤에 죽여주시옵소서" 연산군이 기생의 말을 그대로 따랐다 "성세정은 3번이나 귀양지를 옮겨다니며, 거의 죽을 뻔하다가, "중종"이 왕위에 오르며, 죽음을 면하였고, "중종" 19년에 "개성부 유수"로 졸하였다. < 장빈호찬 >

기생이 궁을 나와 "성세정"을 만나니 "성세정"이 말하였다 "목숨을 건진 은혜는 머리칼을 다 뽑는다 해도 갚을 길이 없다. 그러나 임금을 모셨던 네 몸을 어찌 감히 가까이할 수 있겠는가?" 그러고는 오직 옛집과 남녀 노비만을 주었다 "성세정"의 아들 참판 "성윤(成倫)"이 매년 연말에 봉급을 보내주었다 기생 역시 종신토록 정조를 지키고, 나이 80을 넘게 살았다.

9. 남천군 이쟁 (南川君 李崝)의 부인 최씨

1505.06.27.(연산군11), "연산군"이 명했다 "죄인 이유녕(李幼寧)의 집을 곽숙의(淑儀)에게, 권주(權柱)의 집을 남천군 이쟁에게 주라 "연산군""남천군 이쟁"의 부인 최씨와 통간하고, 그로인해 "권주"의 집을 하사받은 것이었다.

"남천군 이쟁"은 본성이 영리하지 못하고, 술사의 요망한 말을 몹시 믿어서, 집 동산에 모사 두어 칸을 짓고, 늘 거처하면서 액막이를 해댔다 그러는 동안 "부인 최씨""연산군" 뿐만아니라, 얼족인 "홍준"과도 간통했다.

10. 꿈 때문에 죽은 기생

총애받던 기생이 하나 있었다. 한날은 자신의 동무에게 지난 밤 꿈에 대해 말하였다 "나 지난밤 꿈에 옛 주인을 보았어, 그런데 기분이 좋지 않았지 뭐니?"  그런데 이 이야기를 "연산군"이 듣게 된 것이다. "연산군"은 즉시 쪽지를 써서 내시에게 주었다 "연산군"은 꿈 이야기를 꺼냈던 기생과 함께 방에 들어갔다.

조금 있으니, 나인이 은쟁반을 들고 들어왔고, 기생이 물었다. "전하, 이것이 무었이옵니까" "열어보겠느냐?"  기생이 얼씨구나, 한껏 들떠 그러겠노라 고개를 끄덕이고, 연탁위에 얹힌 은쟁반의 뚜껑을 열었다 "으악!" 기생의 찢어지는 듯한 비명소리가 궐내로 퍼졌다. 은쟁반 위에는 그녀가 언급했던 전 주인의 머리가 올려져 있었다. "연산군"은 그 기생도 아울러 죽였다.

11. 운평(運平) 옥지화(玉池花) : 치마를 밟았다고 목이 잘리다.

1505.12월에는 기생인 "운평(運平) 옥지화(玉池花)""장녹수"의 치마를 밟았다는 이유로 "군기시(軍器寺)" 앞에서 목을 베어, 그 머리를 "취홍원(聚紅院)뇌영원(蕾英院)"에 돌려 보이고, "연방원(聯芳院)"에 효시(梟示)하기도 하였다.

1505.11.07(연산군11) "연산군"의 총애를 받던 장녹수의 위세가 하늘을 찌르던 시절이었다"연산군"의 유흥을 위하여 동원된 기생 중에, 하급 기생인 "옥지화(玉池花)"라는 기생이 후궁 장녹수의 치마를 밟은 사건이 발생하였다장녹수가 "연산군"에게 알렸는지, 왕이 신하를 불러 모아 "옥지화"를 처벌하도록 명하였다그러자 "영의정좌의정좌찬성우찬성" 그리고 "각조(各曺) 판서""대사헌"까지 나서서 "옥지화""죄가 참으로 크니, 참형에 처해야 한다"고 이구동성으로 진언하였다.

이 말은 들은 "연산군"은 다음과 같이 답변하였는데, "연산군 일기"의 기록을 보면"운평(雲平) 옥지화(玉池花)가 숙용(淑容)의 치마를 밟았다 하니, 이는 만상불경(慢上不敬)에 해당하므로 무거운 벌을 주고자 하니, 승지 강혼(姜渾)은 밀위청(密威廳)에 데려가 형신(刑訊)하라 또 이 뜻으로서 의정부육조한성부대간(大諫)에게 수의하라"하니, 영의정 유순좌의정 박숭질좌찬성 김감우찬성 김수동좌참찬 신준호조판서 이계남공조판서 한사문한성부 판윤 민효증대사헌 반우형호조참판 박열예조참판 안윤량공조참판 정광세가 의계(議啓)하기를 

"옥지화의 죄는 지극히 만홀(慢忽)하오니, 위의 분부가 지당합니다. 명하여 참()하소서"하니, 전교하기를 "옛말에 그릇 때문에, 쥐에게 돌을 못 던진다고 하였으니, 아주 천한 것이 질그릇이나 이것으로 요강을 만든다면 진실로 천하지만, 만약 어전에서 쓸 물건을 만든다면 천하게 여길 수 없다 옥지화와 같은 운평(運平, 하급 궁중기생)이 숙용(淑容, 3품 후궁)이나 숙원(淑媛, 4품 후궁)에 대하여 감히 저와 다를 것이 없다고 생각해 조금이라도 능멸함이 있다면, 불경하기가 그지없으니, 이런 사람이 있으면, 마땅히 벌로 다스려야 한다." "옥지화"는 장녹수의 치마를 한번 밟았다는 죄로 결국 목이 베어졌다.

12.  "연산군"의 정비(正妃) : 폐비 신씨

"연산군"을 쥐고 흔들었던 3명의 여인(장녹수최전향(崔田香)수근비(水斤非))의 그늘에 가려진 한 여인이 있는데, 연산군의 부인이었던 "폐비(廢妃) 신씨(愼氏)"이다

3명의 여인의 전횡 속에서 숨죽이며, "연산군"의 사랑을 갈구하고, 횡포를 간청하던 신씨에 대하여,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 1209.02일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폐비 신씨는 어진 덕이 있어, 화평하고 중후하고 온순하여, 아랫사람들을 은혜로 어루만졌다 왕이 총애하는 사람이 있으면 왕비가 더 후하게 대하므로, 왕은 비록 미치고 포악하였지만, 매우 소중한 대접을 받았다 왕이 무고한 사람을 죽이고, 음란방종함이 한없을 때마다 밤낮으로 근심하였다.

때로는 울며 간하되, 지극히 간곡하고 절실하였는데, 왕이 들어주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성을 내지는 않았다. 또 빈번히 대군공주노복 들을 엄하게 타일러, 함부로 방자한 짓을 못하게 하였는데, 연산군이 교동으로 쫓겨 갈 때 울부짖으며, 기필코 왕을 따라가려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