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비학 (numerology)"이라는 말은 라틴어로 숫자 (number)을 의미하는 라틴어 "누메루스 (numerus)"와 사고ㆍ표현 등을 의미하는 희랍어 "로고스 (logos)"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므로 "수비학"이라는 단어는 "숫자의 과학"으로 풀이될 수 있다.
◆ 운명수 : "타로 카드속의 수비학ㆍ점성학ㆍ연금술ㆍ카발라" 등의 숫자 의미
"수비학"은 기본적으로 "숫자"가 사람ㆍ장소ㆍ사물에 대해, 제공해줄 수 있는 신비한 숨겨진 의미를 공부하는 학문이다. "수비학"을 사용하여 이름자에 쓰인 글자들을 숫자들로 치환할 수 있으며, 또 생년월일 등을 풀이해 줄 수도 있다. 역사상 많은 "수비학" 체계들이 있어 왔지만, 그중에서도 3가지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 "칼데아 (Chaldean)"의 수비학 • "피타고라스 (Pythagorean)"의 수비학 • "카발라의 게마트리아"의 수비학
고대인들은 미래를 예언하기 위해, "수비학"을 사용하였는데, 즉, 이미 태고부터 수는 마법적인 힘을 갖고 있어서 일정한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믿음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고대 "인도"에서는 "수"를 신성에 가까운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수"의 신비적 속성에 대한 이러한 믿음이 바로 "수비학의 요체"를 형성하게 된다.
최초의 본격적인 "수비학자"이자, "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2,600년 전의 희랍인 "피타고라스(Pythagoras)"는 "숫자들이란 무한에 경계를 짓는 것이며, 사물의 참된 본성을 구성하며, 모든 개념들은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라고 한 바 있다. 나아가 그는 1~ 9까지 숫자들의 속성ㆍ관계를 묘사하였고, 그는 "현대 수비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동양이건, 서양이건, 어느 종교이건 대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수가 있게 마련인데, 예를 들면, 행운의 ⑦, 죽음을 의미하는 ④, 기독교의 ⑥⑥⑥ 등은 오늘날 한국사회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숫자들이다.
① 운명수 : 개인의 삶에서 가장 영향력을 발휘하는 숫자로 알려져 있다.
(계산방법) "⑪ㆍ22"는 특별한 수로 취급되며, 생년월일(양력생일) 각자의 수를 더해, 마지막 수가 ⑩이 나올 경우, "① + 0 = ①"로 생각한다. 가령 ⑪이 나올 경우, 큰 수인 ⑪을 "성격의 수", 마지막으로 "① + ① = ②"를 "영혼의 수"라고 하기도 한다.
② 타로 카드
안에 이미 "수비학ㆍ점성학ㆍ연금술ㆍ카발라" 등의 사상이 들어가 있다. 우리는 새로운 것을 보는 게 아닌, "카드 안"에서 그것을 재발견하는 것이다.
1. ① 운명수
• 상 징 : 모든 것의 중심ㆍ독립심ㆍ왕관ㆍ최고ㆍ통일ㆍ출발ㆍ유일한 것ㆍ지배하는 것ㆍ①은, 사람이 꼿꼿이 서 있는 모습을, 수직의 선으로 쓰는 일이 많다. "나폴레옹"의 운명 수였으며, 금세기의 유명한 심리학자인 "융 박사"는, ①은 조화를 상징하고, 독립하는 것, 혼란한 것을 통합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고 말한다.
• 점 성 : 태양 • 인 상 : 의지가 강하고, 지도력이 있는 사람 • 심리적 암시 : 행동력ㆍ지도력 • 신체적 암시 : 머리ㆍ척수 • 타로 카드 : 솜씨 있게 사물을 조종하는 "마술사" 모습
2. ② 운명수
• 상 징 : 여성의 수이며ㆍ모성적인 애정ㆍ이성ㆍ조화ㆍ균형ㆍ조심성
• 점 성 : 달 • 심리적 암시 : 적응의 수ㆍ교제ㆍ조화ㆍ협조ㆍ이해력ㆍ동정심ㆍ독주를 싫어하는 수 • 신체적 암시 :몸의 양측ㆍ대뇌와 좌우의 균형감각 • 타로 카드 : 지성을 겸비한 "고승"의 모습
3. ③ 운명수
• 상 징 : 남자의 수(①을 제외한 최초의 홀수)ㆍ마음 든든한 수로ㆍSex의 수(프로이드)ㆍ창조/ 자기표현을 말해 주는 수ㆍ자기가 지니고 있는 힘을 외부를 향해 발산해 가는 수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내는 정력을 상징. 그러나 감소된 효과로 나타나면, ③은 파괴ㆍ혼란에 연결되는 수
• 점 성 : 목성 (별 중에서 가장 행운의 별) • 인 상 : 남과의 교제에도, 세 사람이 모이면 보다 활발하고 떠들썩하게 된다. • 신체적 암시 : 목소리ㆍ목구멍ㆍ폐와 관계
4. ④ 운명수
• 상 징 : 십자(十字)형, 사각형과의 관계가 깊은 수ㆍ기초가 되는 수(건물 기초ㆍ기둥)ㆍ4가지의 방위(동서남북)ㆍ아담(Adam, 인류 최초의 남성 이름)의 4개 문자ㆍ세계의 4대 대륙(유라시아ㆍ아프리카ㆍ북ㆍ남아메리카)등 ④는 전체를 만들어 내는 기초 수ㆍ심리학자인 "융 박사"는, ④를 "인간의 정신, 영과 결연이 되는 수"라고 말하고 있으나, "인간 심리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모습이라고 말한다.
• 점 성 : 토성 • 심리적 암시 : 안전을 제일로 생각해, 착실하게 꼼꼼히 노력해 의무를 수행해 나가는 수 • 신체적 암시 : 수족ㆍ양다리(세계를 움직임)ㆍ양손(사물을 움직임) • 타로 카드 : 물질의 세계를 지배하고, 기초를 만들어 내는 "황제"의 모습
5. ⑤ 운명수
• 상 징 : 인간을 상징하는 수ㆍ항상 움직이는 활동적인 인간의 모습ㆍ진보ㆍ모험ㆍ행동력ㆍ인간의 모습(머리를 꼿꼿이 세워, 양손을 펴고, 양다리를 크게 벌리는 때). 그러나 감소된 효과로 나타나면, 침착성이 없다든가 무책임하다든가 하는, 제멋대로의 기질
• 점 성 : 수성과 화성이 ⑤와의 결합에 강하다. • 심리적 암시 : 인간의 오체ㆍ오감(시ㆍ청ㆍ후ㆍ촉ㆍ미각)
6. ⑥ 운명수
• 상 징 : 사랑의 결정ㆍ미ㆍ조화ㆍ완성ㆍ중심ㆍ사랑과 현실의 조화를 표시하는 완전 미ㆍ단체와 정신의 조화ㆍ물질과 마음의 조화를 표시하는 수ㆍ여성 수② + 남성 수③의 결합(2 x 3)에 의해서 탄생→ 2중 삼각형 (육각성)
• 점 성 : 금성 • 심리적 암시 : 조화ㆍ행복한 가정ㆍ건강ㆍ애정ㆍ봉사 • 신체적 암시 : 성기ㆍ심장ㆍ혈관계 • 타로 카드 : 남과 여의 완전한 조화를 표시하는 "사랑"의 카드
7. ⑦ 운명수
• 상 징 : ⑦은 "구약성서"를 뜻하며, ⑧은 "신약성서"를 뜻한다. 완전조화ㆍ신비ㆍ지식ㆍ학문ㆍ연구ㆍ분석ㆍ명상ㆍ우주를 지배하는 중요한 수ㆍ동ㆍ서양을 막론하고, 예부터 중요한 수로 생각. 고대인이 눈으로 식별 가능한 7개의 행성(달ㆍ태양ㆍ수성ㆍ금성ㆍ화성ㆍ목성ㆍ토성)의 수ㆍ무지개의 7개 색ㆍ얼굴에 있는 구멍(눈ㆍ귀ㆍ코ㆍ입)의 수
• 점 성 : 천왕성 • 신체적 암시 : 내분비기관 • 타로 카드 : 마음ㆍ몸ㆍ혼의 "삼위일체"를 나타내는 "전차"의 카드
8. ⑧ 운명수
• 상 징 : 수 가운데 가장 강력한 수ㆍ지배할 힘을 발휘하는 숫자ㆍ성공ㆍ지배ㆍ상호 대립된 것- 파괴와 성공ㆍ전쟁과 평화ㆍ기초를 나타내는 수④의 2배의 수이며, 이중의 기초를 뜻한다. 자기 주위에 이중으로 둘러싸인 것을 말해 준다.
• 점 성 : 토성 • 심리적 암시 : 조직력ㆍ지배력ㆍ성공ㆍ권력 • 신체적 암시 : 인간의 골격
9. ⑨ 운명수
• 상 징 : 완성ㆍ인간애ㆍ철학ㆍ신비주의ㆍ이상주의ㆍ⑩을 단위로 하는 맨 끝수이며, 마침내 반환점이 된다.
• 점 성 : 3개의 별이 40도 각도로 "정삼각형"을 만드는 배치가, 3개가 조립된 모습이다. 이것은 별의 배치 속에서, 가장 완전한 조화를 지닌 모습이다. • 인 상 : 심신이 모두 균형 잡혀 있다. 신진대사가 활발하며, 병다운 병치레를 하지 않고, 상처에도 강한 체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것을 과신하기 때문에, 쓸데없는 무리한 행위를 일으키기 쉬운 것이 단점이다. 남성이면 폭음폭식하며, 여성인 경우는 때 없이 폭식하거나 반대로 전혀 먹지 않는다든가, 수면을 너무 취하거나, 전혀 취하지 않거나 한다. 일시적으로 심신의 균형이 깨지더라도 회복력이 빠른 것은 타고난 좋은 체질 탓이다. • 직 업 : 철학자ㆍ작가ㆍ음악가 등 인간애가 넘치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보인다.
10. ⑪ 운명수
• 상 징 : 인간 창조의 수ㆍ수태ㆍ혁신ㆍ신비적인 뜻이 내포
"중국의 도(道) 사상"에는 ⑤+⑥ 합으로 만들어진 수로, "하늘과 땅의 결합ㆍ소우주와 대우주와의 결합"을 나타내고 있는 수ㆍ인간의 몸에 있는 "구멍"의 수는 "남성- ⑩개의 구멍ㆍ여성- ⑪개의 구멍"이 있다. "정자"가 여성의 난소 속에서 발육하느냐 못하느냐의 Key가 되는 것이, ⑪일간(중세 유럽에서는 오카르트 적으로 이렇게 생각했다)이며, 태아가 모로부터 ⑪의 능력을 계승받는다.
11. ㉒ 운명수
• 상 징 : 시간과 공간을 나타내는 수ㆍ우주를 표현하는 ④개의 문자 + 이성을 표현하는 ⑦개의 문자 + 감정의 세계를 표현하는 ⑪의 문자 = (22) 문자→ 우주의 시간과 공간을 상징
• 타로 카드 : 중심이 되는 카드의 "대 아르카나"는 22매 의미→ (22)의 숫자를 상징 • 220 : (22)>의 10배인 (220)을 고대 유럽에서는 "아주 오랜 옛날"이라는 뜻으로 사용하였다.
'상식 - 일반 •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집 (固執) : 최家는 왜 고집이 쎌까? (2) | 2022.12.25 |
---|---|
풍수지리 (風水地理) ③ 집안ㆍ가구 배치 (2) | 2022.12.25 |
손금ㆍ수상학ㆍ수상술 (手相ㆍPalmistry) (0) | 2022.12.25 |
역술인 ⑥ 2대 백운학 (白雲鶴) : 이종우 (1921~1979ㆍ58세) (4) | 2022.12.24 |
역술인 ⑤ 1대 백운학 (白雲鶴) : 박유붕 (朴有鵬ㆍ1806~1866) (0) | 2022.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