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4대 문명 (Cradle of Civilization) "이란, 인류 문명의 원류를 "중국ㆍ인도ㆍ이집트ㆍ메소포타미아"의 4갈래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중국 청나라 말기 변법자강운동 사상가인 "량치차오 (梁啓超ㆍ양계초ㆍ1873~1929ㆍ56세ㆍ중화민국 정치가ㆍ언론인ㆍ저술가)"가 1900년 자신의 저서 "20세기 태평양가 (二十世紀太平洋歌)"에서 언급한 이후, 일본의 고고학자 "에가미 나미오(江上波夫)"등이 사용하면서 주로 동양을 중심으로 확산된 개념이다.
1. 세계에서 가장 먼저 문명을 발달시킨 "메소포타미아ㆍ인더스ㆍ이집트ㆍ황하" 문명
• 문명의 성립 요소 : 일반적으로 국가ㆍ청동기ㆍ문자의 성립 등
• 문명 발생지의 특징 : "북반구"에 위치ㆍ대부분이 기후가 온화ㆍ모두 큰 "강"을 끼고 있어, 기름진 토지를 지닌 지역→ 4대 강을 끼고 있어, 기후ㆍ교통ㆍ토지 등 "고대 농업 발달"에 유리
• 메소포타미아 : BC 4000~ BC 600년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왕조) : 유프라테스 강ㆍ티그리스 강의 주변 (이라크)ㆍ수메르인(Sumer) 문명
• 인더스 문명 : BC 3300~ BC 1900년 : 인더스 강ㆍ가가하크라 강(파키스탄) 사이ㆍ갠지스 강
• 이집트 문명 : BC 4000~ BC 332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나일 강 하류
• 황하 문명 (황허 문명) : BC 2000 ~ : 황허강 중하류 지역ㆍ동아시아 문명의 주춧돌
2. 메소포타미아 문명 (수메르인(Sumer) 문명)
BC 4000~BC 600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왕조) : 유프라테스 강ㆍ티그리스 강의 주변(이라크)ㆍ수메르 인(인류 최초 도시국가건설)→ 아카드 인→ 아무르 인(바빌로니아 왕국 건설)ㆍBC 18C 함무라비 때 전성기
중동 "유프라테스 강ㆍ티그리스 강"의 주변 지역(현, 이라크)을 일컬으며,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온 말로서 "메소"는 중간이라는 뜻을, "포타미아"는 "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두 강이 자연적으로 가져다주는 비옥한 토지로 인하여, BC 약 6000년 구석기 시대에 인간이 정착하였다.
개방적인 지리적 요건 때문에, 외부와의 교섭이 빈번하여, 정치ㆍ문화적 색채가 복잡하였다. 폐쇄적인 "이집트 문명"과는 달리, 두 강 유역은 항상 이민족의 침입이 잦았고, 국가의 흥망과 민족의 교체가 극심하였기 때문에, 이 지역에 전개된 문화는 "개방적ㆍ능동적"이었다.
"유프라테스 강ㆍ티그리스 강" 사이의 "메소포타미아 지방"은, 강의 범람이 불규칙적이고 잦아서, "치수ㆍ관개" 등 대규모 사업이 필요하여, 사람들이 모여들어, 여러 도시 국가가 나타나고, 교역ㆍ상업 활동이 활발해졌다. (개방적인 지형→ 이민족의 침입 빈번→ 정치적 변동이 심함)
• 사회 : "수메르 인"의 문명이 토대가 되었고, "아카드ㆍ아무르 인"들의 문명이 가미되었다. 화폐는 쓰지 않고, "물물교환"이 이루어졌다.
• 종교 : 현세적 다신교ㆍ사후 세계 불인정ㆍ점술 발전ㆍ점성술 발전ㆍ신에 대한 생각과 현세적인 가치관→ 노아 홍수 설화ㆍ길가메시 서사시
• 역법 :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하여, 1년을 12달로 하는 "태음력"을 만들고, 다시 하루를 24시간, 1 시간을 60분, 1분을 60초로 하는 "60진법"을 만들었다. 원을 360°로 나누는 것도 그들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 수메르의 정치 사회구조 : 귀족- 왕ㆍ왕족ㆍ고위 관료ㆍ고위 성직자- 정치권력ㆍ거대 토지 소유. 수메르인은 이미 발달한 신전ㆍ제사(祭司) 계급을 갖고 있었다. 고급관리가 되는 지름길 : "신전 부속의 서기(書記)학교"에서 점토판에 "설형문자(楔形文字)"를 배우는 일
• 평민- 토지 소유ㆍ처분 가능ㆍ신분을 살 수 있었다.
• 노예- 전쟁포로ㆍ외지인ㆍ범죄자ㆍ채무자(3년 후, 일반인으로 복귀 가능)
• 수메르인 문자 : 처음으로 썼던 문자는 "상형문자"(형체가 있는 물건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
그러나 나타내기가 어려운 것들이 많았기에, 뒷날 그들은 "쐐기 모양"으로 나타낸 "설형문자"를 제작. 뒷날, "페니키아인"들이 이 "설형문자"를 간단하게 만들었으며, 이 "페니키아 문자"에 모음이 보태져서 오늘날 쓰고 있는 "알파벳의 근본"이 되었다.
• 유명한 인물 : "우르(우르의 왕)ㆍ사르곤(아카드 왕국을 창건한 인물)ㆍ함무라비(고대 바빌로니아 왕국 건설)ㆍ티글라트-필레세르 1세(아시리아 제국 창건)" 등이 있다.
• 역사는 BC 4000년경, "이라크 남부"의 지방 군소 도시들의 출현에서부터, BC 400년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점령까지 이어진다. "우루크ㆍ니푸르ㆍ니네베ㆍ바빌론" 등의 도시와, "아카드 왕국ㆍ우르 제3왕조ㆍ아시리아 제국" 등 중요한 영토국가를 포함한다.
• BC 5000년경~ BC 600년경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왕조"가 시작될 무렵까지를 "고대 메소포타미아"로 분류한다.
• 신석기 시대 : 하섹 (Hassex)ㆍ사쿠라(Saqurra)ㆍ할라프(Halaf) 문화
• 금석병용시대 : 우바이드 기(BC 5900~ 4000)ㆍ우루크 기(BC 4000~ 3100)
• 초기 청동기 : 옘뎃 나섹 기(BC 3100~ 2900)ㆍ초기 왕조 도시기(BC 2900~ 2350)ㆍ아카드 제국(BC 2350~ 2193)ㆍ우르 제3왕조(수메르 르네쌍스/신수메르기ㆍBC 2119~ 2004)
• 중기 청동기 : 초기 아시리아 왕국(BC 2000~1800)ㆍ고대 바빌로니아(BC 1800~1700)
• 후기 청동기 : 카사이트 왕조 / 아시리아 중기(BC 1600~1200)
• 철기 시대 : 신 히타이트(BC 1100~700)ㆍ신 아시리아 제국(BC 1000~ 700)ㆍ신 바빌로니아 제국(BC 700~600)ㆍ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BC 600~ 400)
3. 인더스 문명 (인더스 계곡 문명)
BC 3300~ 1900년 - 인더스 강ㆍ하크라 강(파키스탄) 사이, 때로는 "인더스 가가 하크라 문명ㆍ인더스 사라스바티 문명"이라 부르기도 한다. "인더스 사라스바티"라는 이름은" 가가 하크라 강"을 "리그 베다"에 나온 "사라바스티 강"으로 판정하는 입장에서 부른다.
BC 2600~ 1900년경에 흥했던 문명이다. "인더스 강과 가가 하크라 강 (Ghaggar-Hakraㆍ현재 파키스탄과 북서쪽 인도에 걸쳐 있는)"사이에 있었다. 처음 발굴된 유적지가 "하라파"에 있었기 때문에, 가장 부흥했던 시기는 "하라파 문명"이라고 부른다.
BC 1500년경부터 "인더스 강의 범람, 삼림 파괴" 등으로 쇠퇴하게 되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활발히 교류해서,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인장" 등 "인더스 문명"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1920년대부터 지금까지 발굴은 계속되고 있다.
• 유물 : 도시 유적에서는 많은 테라코타제의 토우ㆍ석회암제의 상(像)ㆍ동석제(凍石製)의 호부(護符)ㆍ도장ㆍ귀금속으로 치장된 장신구 등이 출토되었다. 테라코타제의 토우 : 신상ㆍ동물ㆍ완구 류로 분류된다.
• 신상(神像) 토우 : 풍요ㆍ다산(多産)의 기원 대상으로서, 유방이나 허리만을 과장한 지모신(地母神)의 부류가 많고, 눈과 코를 극단적으로 생략하며, 표정이 파충류와 흡사한 그로테스크한 것도 있다.
• 동물 토우 : 일상 친근히 여기고 있었던 공작ㆍ원숭이ㆍ양ㆍ거북 같은 것도 조형화(造形化)하였으며 그 조형 감각은 거칠고 소박하지만, 그런 동물들의 특징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 도장 : "토테미즘"에 의한 부적이라거나, 소유권 주장의 도장이라거나 그 밖에 여러 가지로 해석되고 있는데, 유품이 서아시아의 엘람 지방이나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도 발견되어 그들이 평화로운 무역을 적극적으로 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항아리 : "녹로"를 사용하여, 아름다운 형태를 만들고, 붉은 바탕 표면에 검은 무늬를 그린 뚜껑 달린 항아리 종류가 있는데, 이런 "소성 채문 토기(燒成彩紋土器)"는 "이란의 채문 토기 문화"와 유사한 조형ㆍ채화 기법을 보인다.
• 석회암 제ㆍ청동제 조각상 : 조형 감각이나 표현 기법도 놀랄 만큼 뛰어나다. 공작ㆍ무소ㆍ코끼리ㆍ생명의 나무와 같은 주제가 치밀하고 정교하게 인각(印刻)되어 있다.
'상식 - 서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문명 (아메리카) ① 마야 문명 (Mayaㆍ치첸이트사) : 황금기 300~900 (0) | 2022.09.01 |
---|---|
세계 4대 문명 ② 이집트 문명ㆍ황하 문명 (0) | 2022.09.01 |
정의란 무엇인가? : 마이클 샌델 교수 (1953~ )ㆍ공리주의 (0) | 2022.08.31 |
유럽 열강 : 아프리카의 식민지 분할 (1880~1914)ㆍ베를린 회의 (1884) (0) | 2022.08.31 |
이기적 유전자 (The Selfish Gene) : 리처드 도킨스 (1976년 작) (0) | 2022.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