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 역사 • 사건 • 인물

사건- 1927 : 중국 인민해방군 (홍군ㆍ신사군ㆍ팔로군ㆍ제8로군)

by 당대 제일 2022. 12. 4.
반응형

 

1927.08.01일, "중국 공산당"이 "난창 폭동"을 일으키면서 만든 "무장반군"의 이름을 "중국 공농혁명군(中國工農革命軍)"으로 지었고, 1928.05.25일, "중국 공농홍군(中国工農紅軍)"으로 개명했다. 1937년, "2차 국공합작"이 개시되자, 편제상 "국민당 군"에 편입되어, "국민혁명군 제8로군ㆍ신사군"의 명칭으로 불렸다. 해방 이후, 1947년 "2차 국공합작"이 "국민당 군"의 선공으로 붕괴하면서 "국공내전"이 시작되자, "팔로군"은 "신사군"과 함께 "중국 인민해방군"에 편입되었다. 현재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국 공산당의 당 군이며, 사실상 "중화 인민공화국"의 정규군이다.

 

1. 중국 인민해방군

1927~1937 : 홍군 (紅軍공농혁명군)1934.10~1935.11 : 대장정 (大長征옌안 정착10만 명) 1937~1947 활동 : 국민당 군에 편입 (신사군(新四軍)팔로군8로군(八路军))1947: 중국 인민해방군에 편입 (신사군 + 팔로군)

중국 인민해방군

2. 1927~1937 : 홍군 (紅軍공농혁명군)

1927.08.01 : 난창봉기난창폭동(南昌暴動)난창기의(南昌起義)1927.09.07 : 추수봉기

1927.08.01, "412상하이 쿠데타""국공결렬""국민당"에서 축출된 "중국 공산당""장시성 난창"에서 중국 혁명을 위해 일으킨 봉기현재 "중국 인민해방군""난창 봉기일""건군 기념일" 삼고 있다

1927.08.01, 새벽 2시를 기해 "난창봉기"가 일어났다. 잠시 "난창"을 점령하였지만, 08.03일 이어진 포위공격으로 "주덕"은 이들을 이끌고, "징장산"으로 퇴각하여 "마오쩌둥"과 합류를 하였다"마오"는 이들을 제4군으로 개편하고, "추수 봉기"를 일으켰다. 이후 이들이 이름을 바꾼 군대를 "홍군(紅軍)"이라고 하였다. "홍군"은 시기지역에서 여러 가지 호칭조직을 가지고 있었다같은 이데올로기를 가진 군대이며, 어느 군대도 모두, 통칭은 "홍군(중국공농홍군)"이라고 불렀다.

개 요

코민테른의 요청을 받아들인 "쑨원"의 주도로, 1923년 국민당과 공산당은 협력관계(1국공합작)었으나, 1925"쑨원" 사망 후, "장개석""국민당" 당수가 되면서, "공산당" 탄압은 매우 심해졌다결국 앙금이 폭발하여, "공산당""장개석"을 비판하기 시작했고, "장개석""공산당"의 세력확장이 두려워 1927.04.12"상하이"에서 "국민당 군경찰삼합회 조직폭력배"들을 동원하여 "공산당" 괴멸에 가깝게 학살했다.(상하이 쿠데타)

"공산당"의 지도자격인 "리대소"는 체포된 후 총살을 당했다. 이를 본 "모택동"과 공산주의자들은 독자적인 군대를 조직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난창 봉기"를 통해 "중국 공농홍군"이라는 공산주의 군사조직을 결성했다. 중국 전역을 "장개석"의 국민당이 점령하면서, 세력은 날로 커져갔고 중국 자본가세력가들의 막강한 지지를 받았다. 동시에 국민당 내부의 부정부패노동자/ 농민착취는 심해졌고, 심지어 노동자/ 농민들"민당 군"을 하나의 "약탈 도적단" 세력으로 보았다.

"공산당 홍군""3대 기율 8항 주의(三大纪律 八项注意)"라는 엄격한 규율을 통해 모범적인 군대로 인식되었고, 지역을 들를 때 마다 지역 공동체의 농민들과 합세하여 지주를 처형하고, 토지개혁을 실시해 주었다. 이러한 적극적인 민심도모를 통해, 농민과 노동자에게 큰 지지를 받았다

당시 "모택동""홍군"을 지휘하면서, 농민 중심의 혁명 전개가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되었고, 그 결과, 체계화된 사상으로써 나온 것이 바로 흔히 알려진 "모택동 주의"이다1937,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오랜 내전을 잠시 중단하고, "국민당"과 연합하여, "홍군""팔로군사군"으로 편재되었고, "중일전쟁"이 승리로 끝난 후에는 다시 분열하여, 현재의 "중국 인민해방군"으로 개편되었다.

 리다자오 (리대쇠ㆍ李大釗ㆍ1889~1927ㆍ38세): 중국 혁명가ㆍ중국에서 10월 혁명과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선전하고, "천두슈ㆍ마오쩌둥"과 함께 "중국 공산당"을 창립하였다. 그는 "천두슈ㆍ마오쩌둥ㆍ 저우언라이ㆍ주더ㆍ취추바이ㆍ덩중샤ㆍ마오둔" 등과 함께, 중국 공산당의 초기 지도자이었으며, 이들과 함께 조선 공산당의 성립ㆍ전개에도 영향을 끼쳤다.

주요 전투

1930~1931: 1차 강서성 포위전 (홍군 승리) :  공농홍군(4만 명): 모택동주덕 / 국민혁명군 (15만 명): 장개석

1931.05.31: 2차 강서성 포위전 (홍군 승리) : 공농홍군(3만 명): 모택동주덕 / 국민혁명군 (20만 명): 장개석

1931.07.01: 3차 강서성 포위전 (홍군 승리) :  공농홍군(3만 명): 모택동주덕 / 국민혁명군 (30만 명): 장개석

1932~1933: 4차 강서성 포위전 (홍군 승리) : 공농홍군(7만 명): 주은래주덕 / 국민혁명군 (55만 명): 장개석

1933~1934: 5차 강서성 포위전 (국민혁명군 승리) : 공농홍군(13만 명): 이립삼장국도왕명볼셰비키(28) / 국민혁명군 (110만 명): 장개석한스 폰 젝트 (독일인 군사고문단)

1933~1934: 5차 강서성 포위전 (국민혁명군 승리)

"1차 국공내전"에서 국민당공산당 사이의 최대 내전이다"장개석""한스 폰 젝트 (독일인 군사고문단)"의 조언에 따라, 그동안의 패전으로 주요 거점을 집중적으로 공격하든, 전면돌파를 하든, "지구전 방식"을 채택하여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구전 방식"이란, 막강한 군사력으로 해당 중소규모 거점을 확실히 점령하면, 그 지역을 새로운 "소규모 요" 만들어 천천히 진격해나가는 방식이다이러한 방식은 많은 인력자가 필요한 방법이지만, "만주"를 제외한 중국 본토 전역을 점령한 "국민당"에게는 인력물자란 걱정 사항에 해당되지 않았다.

또한 처음으로 "장개석""강서성 포위전"100만 명이 넘는 군사력을 투입했다그에 반해, 당시 "모택동"이 권력의 중심에서 잠시 물러나고, 전통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이 당권을 장악하게 되었는데, 이들은 "코민테른"에서 파견한 "오토 브라운(군사고문관)"의 조언을 들어, 그 간에 썼던 "모택동"의 게릴라전 방식을 폐기하고, 전격전으로 가야한다는 주장을 펼쳤다그러나 "국민당"에 비해 인력물자가 확실히 부족한 "홍군"에게 "전격전" 맞지 않는 전략이었다.

"오토 브라운"의 조언대로, "홍군"은 전면적으로 진지를 구축하고, "국민당"11 전면전을 펼쳤지만, 오히려 그것은 "국민당"에게 크나큰 도움이 되었다. "홍군""전면전"을 위해 만들어놓은 진지는 "민당"이 점령하고 나서, 요새화를 할 시간이 들지 않게 해주었다"국민당"은 소 거점 여러 곳을 막강한 군사력으로 점령한 후, "지구전 작전"에 들어갔다.

"홍군" 경우, "전면전"에서 대부분의 병력을 잃고, 뒤늦게 "게릴라 전술"을 채택하지만, 이미 "국민당" "강서성" 주위 거점 깊숙이 침투한 상태였고, 병력 또한 차이가 심해 게릴라전을 펼쳐도 별다른 수가 없었다또한 "홍군"은 평소에 "국민당"이 소 거점을 점령한 후에도 대충 군사를 재정비하여 무리한 돌입을 시도할 줄 알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진행됐다여기서 "공산당" 지도부가 방심하여, 적군의 전략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이 보인다.

"국민당"은 대규모 인력과 자원으로 소 거점 하나하나를 요새화했고, 점점 "공산당" 중앙 거점을 하나하나씩 조여 가기 시작했다. 결국 중앙 공동체인 "강서성 소비에트"가 무너지기 직전에 처했다는 것을 파악한 친-소련파 중국 공산지도부는 다시 "모택동"의 노선으로 회귀하였고, 9만 명의 "홍군""모택동"의 지휘 하에 "옌안"까지 후퇴하"대장정"에 돌입하게 된다

3. 1934.10~1935.11 : 대장정 (大長征)대서천(大西遷)홍군의 옌안 정착 성공

"중국 공산군 (홍군ㆍ紅軍ㆍ마오쩌둥이 진두지휘)" "국민당군"의 포위망을 뚫고, 370일 동안, 25,000리 (9,800km)의 거리를 걸어서 "옌안"으로 탈출한 사건

대장정 : 1934.10.15~ 1935.11         공농홍군( 10만 명): 모택동 / 국민혁명군 ( 70만 명): 장개석         인 원 : 10만 명 이상 출발 (홍군 1 방면군)  8천여 명 생존

이 동 : 루이진 (瑞金장시 성(江西省)의 현)옌안 (延安산시 성(陝西省))         옌 안 : 중국 공산군 대장정의 종착지 (명의 성지)         결 과 : 홍군의 옌안 정착 성공 (중국 공산당홍군주력이 국민당 군을 피해 도주에 성공함)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새로운 수도가 정해짐.

중국 공산당 공농 홍군 (86천명) : 지휘관 - 모택동         중국 국민당 국민혁명군 (70만명) : 지휘관 - 장개석

군사적으로는 패주였지만, 중국 전역에 걸쳐 "홍군"의 이념을 알리고, 중요 핵심 지도자급 인물들이 생존으며, 홍군의 전략, 전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사건이었기에, 중국공산당 발전의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장정을 통해 홍군의 전략이 "게릴라전(유격전)"으로 바뀌었고, "마오쩌둥"이 핵심 지도자로 등극하였다.

장정 기간을 1년으로 보고, 1명의 거리를 1m로 계산하면, 100km이르는 행렬이 하루에 40km 이상을 쉬 않고 행군한 셈이다. 병사가 겨우 8,000명으로 줄어 있었다. 매일 평균 250여 명이 전사한 셈이다. 생존율은 고작 10%, 함께 출발한 "마오쩌둥"의 두 아이동생도 생존자 명단에 포함되지 못한 상태였다.

4. 1937~1947 활동 : 신사군 (新四軍육군 신편 제4(新編 第四軍))

중국 국민혁명군 소속(중국공산당 주력군)야전군산시성 본부국공내전 참전 지휘부 사령관 : 군장(예팅 (엽정)부 군장 (샹잉 (항영)1만여 명으로 구성(1940)) 개편 지휘부 : 대리 군장 (천이 ())정치위원 (류사오치 (유소기))30여만 명

1937.07, "항전군"이 일어나고, 10"국민당 정부""8개 성의 홍군(紅軍) 유격대"를 개편하여, "국민혁명군 육군 신편 제4(新編 第四軍약칭 新四軍)"으로 만들었다1938.03~04, "신사군 제123지대(支隊)4지대"를 나누어, "안후이 남부 옌쓰(암사)지구중부 수청(서성)지구"에 집중시켰고, "양쯔강"남북의 적후방으로 진입시켜, "유격전"을 벌였다후에 "공산당"의 세력이 급속히 팽창하자, "국민당" "신사군""안후이 남부지구"에서 철수시켰다.

1941.01, "신사군 군부"는 직속부대 9,000여 명을 이끌고, "안후이 남부지구"에서 북으로 이동하다가, "징현(경현) 마오린(무림)지구"에서 "국민혁명군(국부군國府軍)" 8만여 명의 포위공격을 받았다이때 "예팅"은 체포되고, "샹잉"은 돌격 중 전사했으며, "신사군"은 거의 전멸했다.(신사군 사건)

그 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다시 "신사군 군부"를 건립하여, "천이(진의)를 대리 군장류사오치(유소기)를 정치위원으로 삼아, 전군을 "7개 사단"으로 개편했다8년에 걸친 항전 중, "신사군 주력부대"30여 만 명에 이르렀고, 후에 "팔로군(八路軍)"과 합하여 "중국 인민해방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5. 1937~1947 활동 : (팔로군8로군 (八路军))

중국 국민혁명군 소속(중국공산당 주력군)야전군산시성 본부국공내전 참전 지휘부 사령관 : 주더(朱德주덕)모택동

1937, "2차 국공합작" 후에 공산당 휘하, 독립적 성향을 가진 부대로, "국민혁명군 제8로군"으로 설립되었고, "신사군"과 함께 "화베이 지방"에서 항일전의 최전선을 담당한 부대이다적극적인 항일전과 민심도모로 인해, "중일전쟁" 기간에 "공산당" 큰 발전에 기여했다"팔로군"은 군복군모의 색은 "황토색"지만, "홍군"시대의 "남색 군복"의 군인도 많았다. 왼팔에 "8(八路)"라고 씌여진 완장을 붙인다. 군화는 신지 않고, 포화나 짚신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947, "2차 국공합작""국민당"의 선공으로 붕괴하면서, "팔로군""신사군"과 함께 "인민해방군" 편입되었다팔로군의 전과는, 중국 측의 연구에 의하면 작전 회수는 약 99,800, 전사한 일본군일본 제국에 협조한 괴뢰국의 군대까지 모두 합하면 약 500,000명 정도 된다일본제국 (386,000명 전사422,500명 부상)만주국 (90,500명 전사228,000명 부상)몽강국 (15,700명 전사49,750명 부상)

개요

"국민당"1920년대 "1차 국공 내전" 당시, 빈약한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 군대 수나 재정적 기반을 유지하고 있었다"장개석"은 군대를 이용해 "상하이 쿠데타(一二事件)"를 부흥시켰고, "차 국공합작"을 붕괴시켰다"마오쩌둥"은 군벌열강에 대항하려면 민중에 의한 혁명 운동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공산당"은 이 씁쓸한 경험으로부터 독자적인 군대의 창설을 해야 했다"장개석""국공합작"으로 "공산당 군""국민 혁명군 제8로 군단"에 소속하였고, 이들을 최전방에 두었다최전선에서 "관동군"을 상대할 하나의 방패막이로 보았고, 사실상 항일전을 수행하다가 그 수가 동나길 바랐다. 그러나 그것은 "공산당"에게 있어서 큰 기회로 바뀌었다.

"마오쩌둥"에 의한 "인민전쟁 이론(인해전술: 점화한 적군을, 인민의 바다 안에 매장한다)"에 따라, "공산당" 중국 각지의 침투 공작을 적극적으로 행했다. "공산당"에 협조적인 지역을 넓히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런 활동 결과, "공산당" 세력은 증식되었고, "중일전쟁"이 끝난 1945년에는 98만명 정도의 "게릴라 군"을 모으게 된다.

1937,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팔로군"의 존재는 "관동군"에게는 매우 두려운 것이었다"팔로군"은 신출귀몰적인 "게릴라 능력"을 발휘했다. 주로 "일본군"의 수송 부대전투 부대를 기습 공격해, 철도 등 수송망의 파괴도 행했으며, 이러한 공격은 매우 빈번히 행해졌다또한 "일본군"은 광대한 중국 대륙에서 부대를 분산하지 않을 수 없었기에 "팔로군"의 공격은 일본군의 작전 행동이나 농촌부의 지배에 타격을 주었다.

"국민 혁명군"의 경우, 정규 전술전략을 주로 사용하였기에 화력이 높았던 "일본군"에게 소중규모 전투에서 매번 패배하거나, "관동군"에 비해 사상자가 더 많이 나와 군사 약 300만 명 이상을 잃었고, 1945년 당시, "민당 군"의 규모는 110만 명 이상이 적어져 쇠퇴하였으나, "팔로군"은 비정규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여, 군대 수가 중일전쟁기간 보다 약 10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국민혁명군 제8로군 : 1937(12만 명) 1938(15.6만 명) 1940(40만 명) 1944(60만 명) 1945(98만 명) 1946(120만 명))

일본의 패전 후, "국공 내전"이 재개하면서, "팔로군"은 더욱 큰 힘을 발휘하게 된다"만주의 할힌골 전투"에서 승리한 "소련군""관동군"의 장비를 접수하였고 이것을 "팔로군"에게 주었다공군이 없었던 "팔로군""일본군" 항공부대의 장교를 회유하여 항공대원 양성하였고, 포병 전술, 전략이 미비하여 기본적으로 체계화된 "일본군"의 포병 전략을 베이스로 하였다. 또한 "팔로군" 내 조선인이 간의사좌익 아나키스트 계열의 항일군이었던 "조선의용대"를 필두로 "국공 내전"의 여러 전투에서 승리했다. "팔로군""국민당 군"과의 싸움에서 최종 승리하여, 1949.10월의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큰 역할을 완수했다.

팔로군 구성

독립단 : 조선인으로 구성 된 여단이다. 조선의용대 또는 1940년대 초반에 차출된 동북항일연군이 주축을 이뤘다.            기병단 : 주로 측면을 교란하던 기병대였다.            포병단 : 팔로군이 숲속이나 농촌지에 요새를 구축할 때 그 수성전은 주로 포병단이 맡았다.            타격단 : 팔로군의 주력 여단이었으며 게릴라 전술을 통한 관동군 후방 교란이 주요 목적이었다.            교도단 : 주로 경비 또는 죄수 교도를 맡았다.            특무단 : 지금의 헌병대의 역할이며 팔로군 내 군경 역할을 했다.

3대 기율 8항 주의 (三大纪律 八项注意)

"팔로군"은 점령지에서 어느 정도의 소지를 소유한 농민을 "부농"이라고 판단해 인민재판에 걸쳐 처형했다이것은 "팔로군"의 힘을 과시해 주민에게 공포심을 안게 하기 위한 목적이었고, "팔로군"에 대한 부정적 측면으로서 말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잔학행위는 지역 내의 빈곤한 자의 질투심, 복수심을 채우는 일로도 판단되어, 오히려 대중의 지지를 모으는 일에 공헌한 면도 있다중국 공산당 휘하의 팔로군에는 "3대 기율 8항 주의"라고 하는 규칙이 있었다. 이는 "팔로군"이 대중에게 지지를 받은 결정적 요인이 되었으며, 후에 "한국전쟁" 당시 중국에서 파견된 "인민지원군"에게도 나타났다

이 규율을 어긴 "팔로군"은 중형을 받게 되었고, 심하면 총살형에 처해졌다"팔로군""장개석" 휘하의 "국민혁명군"과는 반대로 이 엄격한 군대교조로 인해, "게릴라전"으로 큰 전과를 발휘할 수 있었다는 말도 있다.

3대 기율 (三大纪律)

모든 행동은 명령에 따라야한다.      인민의 바늘 하나, 실 한 오라기도 공짜로 취하지 않는다.      모든 전리품은 공유하여야 한다.

8항 주의 (八项注意)

병사를 구타하거나 욕하지 않고 불필요한 상명하복 관계를 만들지 않는다.      부녀자를 희롱하지 않는다.      공평하게 사고 판다.      포로를 학대하지 않는다.      말할 때는 온화하게 한다.      빌린 것은 반드시 되돌려 준다.      파손한 물건은 반드시 배상한다.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