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 역사 • 사건 • 인물

사건- 1934 : 홍군 대장정 (중국 공산군)ㆍ국공 내전 중

by 당대 제일 2022. 12. 4.
반응형

 

"홍군 대장정 (紅軍 大長征ㆍLong Marchㆍ대서천 (大西遷)"이란,  "중국 공산군 (홍군ㆍ紅軍ㆍ마오쩌둥이 진두지휘)"이 "국민당군"의 포위망을 뚫고, 370일 동안, 25,000리 (9,800km)의 거리를 도보ㆍ우마로만 이동하여, "옌안"으로 탈출한 사건이다.  장정 기간을 1년으로 보고, 1명의 거리를 1m로 계산하면, 100km에 이르는 행렬이 하루에 40km 이상을 쉬지 않고 행군한 셈이다. 병사가 겨우 8,000명으로 줄어 있었다. 매일 평균 250여 명이 전사한 셈이다. 생존율은 고작 10%, 함께 출발한 "마오쩌둥"의 두 아이ㆍ동생도 생존자 명단에 포함되지 못한 상태였다.

 

1. 홍군 대장정 (紅軍 大長征ㆍLong March)ㆍ대서천 (大西遷)

군사적으로는 패주였지만, 중국 전역에 걸쳐 "홍군"의 이념을 알리고, 중요 핵심 지도자급 인물들이 생존했으며, 홍군의 전략, 전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사건이었기에, 중국공산당 발전의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장정을 통해 홍군의 전략이 "게릴라전(유격전)"으로 바뀌었고, "마오쩌둥"이 핵심 지도자로 등극하였다.

일 시 : 1934.10.15 ~ 1935.11       이 동 : 루이진 (瑞金장시 성(江西省)의 현)옌안 (延安산시 성(陝西省))        옌 안 : 중국 공산군 대장정의 종착지 (명의 성지)        인 원 : 10만 명 이상 출발 (홍군 1ㆍ2ㆍ4방면군) 8천여 명 생존

결 과 : 홍군의 옌안 정착 성공 (중국 공산당홍군주력이 국민당 군을 피해 도주에 성공)ㆍ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새로운 수도가 정해짐.

중국 공산당 공농 홍군 (86천명) : 지휘관 - 모택동      중국 국민당 국민혁명군 (70만명) : 지휘관 - 장개석

대장정

1934.10.16, "중국 남부 장시성 서금 소비에트(공산당 점령지역)"8만 명의 "중국 홍군(중국 공산당 군) 1 방면군"이 군수품과 온갖 물자를 등에 지고 탈출하기 시작하여, 1935.10"산시성(섬서성)"에 도착했다탈출은, 1년 전부터 "장제스"70만 대군으로 "소비에트" 주위에 철조망시멘트 요새를 설치, 물샐 틈 없는 포위망을 치면서부터 예고됐다.

"중국 국민당군"의 압박으로 "소비에트 지역"이 점점 생활필수품의약품 등의 부족으로 고통을 받게 되고 지배영역과 병력이 감소되자, 공산당 지도부는 마침내 그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중국 남부 장시성푸젠성" 일대의 근거지를 버리고 탈출을 시도했다.

당시 "1 방면군"에는 "마오쩌둥저우언라이덩샤오핑" 등 홍군의 지도자급 인사들이 많았는데, "저우언라이"와 함께 지도력을 양분하고 있던 "마오쩌둥"은 소련의 압력으로 지도권을 상실한 상태였고, 모험주의 노선의 지도부가 상대적으로 매우 강했던 "국민당군"은 게릴라전이 아닌 정규전으로 대응한 것이 패전의 원인이 되었다.

"장제스 총통(중국 국민당)"이나 다른 관측자들의 눈에는 이들이 마침내 뿌리가 뽑힌 것처럼 보였다그러나 "장정"은 중국 공산당 역사에서 패배가 아니라 승리, 그것도 역사를 바꾼 "대승리"로 기록됐다"홍군""장정"을 통해, 혁명을 위한 엄청난 고난과 역경을 이겨냈다는 "신화"를 만들어냈고,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근거한 공산주의 혁명의 이념을 농촌지역에 전파할 수 있었다또한 대부분이 농민 출신인 "홍군"은 민폐를 전혀 끼치지 않았기 때문에, "장정"은 중국 공산당이 농민들의 지지를 받게 한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2. 경 과

"마오쩌둥저우언라이덩샤오핑펑더화이주더린뱌오" 등이 이끄는 홍군 "1방면군"1935.10"옌안"도착해 자리를 잡기까지 행군한 거리는 무려 25,000리 (9,800km)나 되었으며, 당초 출발자 중에서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인원은 불과 8,000명뿐이었다.  "홍군" 전군의 병력이 자주 분산 와해되는 타격을 입었고, 또 자주 신병을 충원하면서도 최종 목적지까지 살아남은 병사는 30,000이 되지 못했다이는 "장개석"의 공산당 섬멸의지가 얼마나 강력했나를 반증하는 증거이다.

"1"의 지도부와 노선 차이로 마찰을 빚고, 다시 "사천성"으로 회군하려던, "장궈타오"가 이끄는, 1935년 후반 "홍군"의 최대세력이던 "4방면군""장개석"의 집중타격 대상이 되어 2/3이 병력을 잃기도 했었다"중국 공산당"1921년 반()제국주의 등의 목표를 갖고, "상하이"에서 창립한 이후 15년 동안 중국 남부동부에서 이룩했던 공산주의 혁명의 성과를 모두 잃어버리고 첩첩산중에 움츠리게 된 것이다.

그러나 "홍군"은 여기서 실망하지 않고, 자신들의 이념과 전략전술을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농민들에게 자신들의 이념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어, 항일전선을 통해 "홍군"의 토대를 강화하는 노력을 펼쳤다.

당초에는 장기적인 목적지는 확정되지 않았다일단 "생존이 우선"이었기에, 압력이 약한 곳을 노려 탈출하였고, 강력한 "국민당군"을 피하는 게 1차적 목표였다최종목적지로 중국 서북부의 오지인 "산시 성"에 새로운 근거지를 마련하기로 결정하기까지는 많은 세월의 투쟁과 "홍군" 내부의 이견을 극복한 결과였다.

"소련"으로부터 지원을 받는데 유리하다는 것도 최종 목적지가 된 이유 중 하나이다포위망이 가장 약한 서남쪽을 돌파한 "홍군"은 추격해 오는 "국민당군"과 각 지역의 적대적인 군벌 군대를 뿌리치면서 서쪽으로 나아갔다그들의 뒤에는 가족 대부분과 병들거나 부상 입은 2만 명을 포함한 28,000명의 "홍군"이 남겨졌다.

처음 탈출 시엔 중화기문서인쇄기구 등 많은 짐들이 있어, 기동성이 약했기에 그 피해가 더 커졌다급한 탈출을 위해 그런 짐들을 버리는 과정에서 "홍군"의 중요 역사적 기록문서들이 상실된 것은 "중국 공산당" 역사에서 아픈 기억으로 남았다"홍군"은 패전의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강한 상대와 싸우는 데에는 "게릴라전"이 효과적인 전략임을 실감, 1935.01"마오쩌둥"의 노선이 다시 채택되고, 그에게 "당 지도권"을 주었다.

그 뒤 "홍군"의 군사행동은 한층 기동성을 띄어, 당시 최대의 군사력을 보유한 "4방면군(사천성 북부)"와의 합류를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장개석"이 이끄는 "국민당군"의 추격은 집요했다오지 끝까지 "1방면군"을 향한 추격은 이어졌고, "4방면군"과의 합류도 저지하려 노력하였다그럴수록 "홍군"의 도피 행렬은 오지와 첩첩산중으로 이어졌고, 공군까지 동원한 국민당군의 탄압더위 식량부족으로 도중에 많은 군인들이 죽었다. 그리고 농민들을 신병으로 충원하곤 했다.

대운하의 도하대설산을 넘는 강행군사천성에서 감숙성으로 향하는 대평원에서의 흙탕물기아로 극한의 위기를 자주 맞이했지만, 기동력군사들의 헌신"장개석" 외의 기타 군벌 및 소수민족과의 타협으로 위기를 극복해 냈다1935.10, 368일의 행군 끝에 "4방면군"과 합류할 수 있었다"1방면군"의 원호작전을 맡고 있던 "2방면군"11개 성, 18개의 산맥을 넘어 1935.10"감숙성"에서 "1방면군"과 합류할 수 있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