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언 • 고사성어• 고전/논어

논어 : 지혜와 배움에 대한 태도

by 당대 제일 2025. 5. 3.
반응형

 <배움은 빠름보다 끈기가 중요하고, 타고난 것보다 마음가짐이 성장을 이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은 최상이고, 배워서 아는 사람은 그 다음이며, 어려움에 처해서 배우는 사람은 또 그 다음이다. 그러나 어려움에 처해도 배우지 않으면 그 사람은 가장 낮은 사람이 된다."   <계씨편> 9장

子曰 生而知之者上也 學而知之者次也 困而學之又其次也 困而不學 民斯爲下矣
자왈  생이지지자상야  학이지지자차야   곤이학지우기차야    곤이불학  민사위하의

1. 핵심 요점 해설

이 말씀은 사람의 지혜와 배움에 대한 태도에 따라 4가지 부류로 나눕니다:

 生而知之者上也 –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은 상급이다

타고난 지혜를 가진 사람들.
공자는 이를 최고의 사람이라 표현하지만, 현실에서는 매우 드문 존재입니다. 오늘날로 치면 '천재형 인재'.

②  學而知之者次也 – 배워서 아는 사람은 그 다음이다

스스로 학습하고 깨우치는 사람들.
이 부류가 가장 일반적이며, 공자도 학문을 통해 자신을 수양해 나간 사람으로서 이 단계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困而學之又其次也 – 곤란에 처해서 배우는 사람은 또 그 다음이다

삶의 고난을 겪고 나서야 배우기 시작하는 사람.
늦게라도 배우는 것은 훌륭하며, 이는 성장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困而不學 民斯爲下矣 – 곤란에 처했음에도 배우지 않는 사람은 하급이다

실패나 어려움이 있어도 배우려 하지 않는 사람은 발전할 수 없으며, 가장 낮은 단계의 인간형이라 공자는 말합니다.

2. 공자의 교육 철학

이 말은 공자의 ‘배움의 태도’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보여줍니다:

  • 인간은 타고난 능력보다 배우려는 자세가 더 중요합니다.
  • 늦게 깨달아도 배울 수 있다면 가능성이 있는 사람입니다.
  • 그러나 어려움 속에서도 배우지 않는다면 성장 가능성이 없으며, 이는 진정한 ‘하급’이라는 것입니다.

공자는 지혜는 선천적인 것보다, 후천적인 노력과 자세가 더 중요하다는 관점을 강조했습니다.

3. 오늘날에 주는 메시지

  1. 늦은 배움도 의미 있다
    → 지금 배우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타이밍보다 방향과 의지가 핵심이다.
  2. 고난은 배움의 기회
    → 어려운 상황에서 배우고 반성하는 사람은 다음 단계로 성장할 수 있다.
  3. 학습을 멈추는 순간 정체된다
    → 끊임없이 배우고, 스스로를 갱신해야 한다.
    배우지 않는 태도는 삶을 바꿀 수 없게 만든다.

4. 정리

공자는 인간의 지혜와 삶의 질은 타고난 능력보다 
‘어떻게 배우고, 언제 배우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어떤 상황에서도 배우는 자세입니다.
고난 속에서도 배우려는 자는 가능성이 있고,
아무리 천재라도 배우려는 마음이 없으면 결국 퇴보하게 된다는 것을
이 말씀을 통해 우리에게 일깨워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