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생각 없이 배우면 얻는 게 없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게 된다 >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지럽고,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이 말씀은 학문을 할 때 반드시 배움과 생각이 함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子曰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자왈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위정편> 제15장
1. 해석
이 문장은 공자가 강조한 "배움의 두 축", 즉 ‘배움(學)’과 ‘생각(思)’의 균형을 이야기합니다.
-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는 것이 없다 : 學而不思則罔 (학이불사즉망)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고 외우기만 한다면, 그 의미와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고 혼란(罔)에 빠진다는 뜻입니다. 말하자면, “깊이 없이 앵무새처럼 배운다”는 거죠. -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 思而不學則殆 (사이불학즉태)
반대로, 공부도 안 하면서 머릿속으로만 끊임없이 생각하면, 잘못된 추측이나 위험한 착각에 빠지기 쉽다(殆)는 경고입니다. 즉, “근거 없는 생각은 오히려 위험하다”는 의미입니다.

2. 의미
학이불사 (학습만 함) |
책만 열심히 보고, 외우기만 하고, 스스로 질문하거나 생각하지 않음 | 지식을 응용하지 못함 / 이해 부족 |
사이불학 (생각만 함) |
배우지 않고 추측, 상상, 자기 판단에만 의존함 | 왜곡된 이해 / 착각 / 위험한 결정 |
3. 현대에의 적용
① 학생에게
무조건 암기만 하는 공부는 진짜 이해가 아니에요. 꼭 "왜 그렇지?"를 스스로 묻고 생각해봐야 합니다. 반대로, "난 이런 방식이 더 나아" 하며 교재나 기초 공부 없이 자기 주장만 하면 위험해요.
② 직장인에게
일처리나 업무를 매뉴얼대로만 하고 생각 없이 반복하면 발전이 없습니다. 하지만 아무런 조사 없이 감으로만 결정하고 실행한다면 큰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③ 일상 속에서
누군가의 말을 듣고 받아들이기만 하면 편견에 휘둘릴 수 있어요. 하지만 아무것도 배우지 않고 자기 생각만 고집하면 편협해지죠.
4. 결론
공자는 진짜 배움은 ‘배움과 생각이 함께할 때’ 완성된다고 말합니다.
- 배우되 깊이 생각하라.
- 생각하되 바탕은 꼭 공부하라.
이 균형을 잘 지키는 것이 지혜롭고 바른 삶으로 나아가는 길입니다.
반응형
'명언 • 고사성어•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 존경받는사람 (文質彬彬ㆍ문질빈빈) (2) | 2025.04.30 |
---|---|
논어 : 덕 (德)이 있는 사람 (0) | 2025.04.29 |
논어 : 군자(君子) 상달ㆍ소인(小人) 하달 (0) | 2025.04.27 |
논어 : 미리 미래를 준비하자 (2) | 2025.04.26 |
논어 : 배움에 대한 태도 (1) | 2025.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