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이야기23

김승호 : 돈의 속성 1. 돈의 속성『돈의 속성』은 김승호 회장이 돈을 벌고, 지키고, 불리는 법에 대해 쓴 책입니다. 김승호 회장은 가난한 이민자에서 시작해 미국에서 여러 사업을 성공시키며 억만장자가 된 기업가로, 이 책에서 돈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와 부자가 되기 위한 원칙을 설명합니다.이 책은 단순한 재테크 방법론이 아니라, 돈을 대하는 태도와 사고방식을 바꿔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부자가 되는 법은 이미 정해져 있으며, 돈을 다루는 올바른 습관을 익히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입니다.">2. 목차돈은 인격체다.나는 나보다 더 훌륭한 경영자에게 투자한다복리의 비밀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의 힘돈은 중력의 힘을 가졌다리스크가 클 때가 리스크가 가장 작을 때다남의 돈을 대하는 태도가 내 돈을 대하는 태도다.. 2025. 4. 2.
John Lee : 부자 학교 1. 부자 학교『존리의 부자 학교』는 대한민국 대표적인 금융 전문가 "존 리(John Lee)"가 부자가 되기 위한 핵심적인 원칙과 실천 방법을 설명한 책입니다.존 리는 이 책에서 부자가 되는 것은 특별한 능력이 아니라 올바른 금융 교육과 습관에서 시작된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 만연한 잘못된 금융 습관(저축과 부동산 투자만을 신뢰하는 것, 소비 지향적인 생활 방식 등)을 비판하며, 주식 투자와 장기적인 자산 관리가 부자가 되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설명합니다.이 책은 마치 "부자가 되기 위한 수업"처럼 구성되어 있으며,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금융 지식과 투자 전략을 쉽게 설명해 줍니다.2. 목 차1장 : 한국은 부자국가가 아니다모든 것은 ‘비교’에서 시작되었다       .. 2025. 4. 1.
John Lee : 부자되기 습관 1. 부자되기 습관『부자되기 습관』은 대한민국 대표적인 금융 전문가 '존 리(John Lee)'가 쓴 책으로, 부자가 되는 핵심 원칙과 실천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존 리는 "부자는 특별한 사람들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습관을 가진 사람들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어떻게 하면 평범한 사람들도 부자가 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책은 부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태도, 투자 마인드, 그리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줍니다.이 책에서 존 리는 한국 사람들이 가진 잘못된 금융 습관을 바로잡고,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실천법을 제시합니다.2. 목 차| 1장 |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 “대표님은 돈이 그렇게 좋으세요?”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 세 가지  ‘금융문맹’은 질병.. 2025. 4. 1.
John Lee : 금융 문맹 탈출 1. 금융 문맹 탈출『금융 문맹 탈출』은 대한민국 대표적인 금융 전문가 '존 리(John Lee)'가 한국 사회에 만연한 잘못된 금융 습관과 인식을 바로잡기 위해 쓴 책입니다.존 리는 한국 사람들이 오랜 기간 저축과 부동산 위주의 재테크를 신봉하며, 금융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금융 문맹" 상태에 빠졌다고 지적합니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주식 투자와 장기적인 자산 운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이 책은 돈을 다루는 올바른 방법과 어떻게 하면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는지를 쉽고 현실적인 시각에서 설명하며, 초보자들도 금융 지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2. 목차제1부 금융문맹 탈출1. 금융문맹이 무엇이기에?   -  존 리의 전 국민 부자 만들기 Q&A2. 401(k) 플랜과 미.. 2025. 4. 1.
John Lee : 왜 주식인가? 1. 존리의 왜 주식인가?『왜 주식인가』는 대한민국 대표적인 금융 전문가이자 전 메리츠자산운용 대표였던 '존 리(John Lee)'가 쓴 투자 철학과 재테크 전략을 담은 책입니다. 이 책은 주식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 사회에서 잘못된 금융 습관을 바꾸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를 키우는 방법을 설명합니다.존 리는 "노력해서 돈을 벌어야 한다"는 기존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자본이 돈을 벌게 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한국인들이 지나치게 저축과 부동산에 집착하는 반면, 주식 투자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주식이야말로 장기적인 부를 쌓는 핵심적인 방법임을 강조합니다.">2. 목차전면개정판을 쓰면서 - 주식, 가장 열심히 일하는 자산   들어가며 - 아직도 주식투자를 꺼리는 .. 2025. 4. 1.
John Lee : 엄마, 주식 사 주세요 1. 엄마, 주식 사 주세요『엄마, 주식 사 주세요』는 '존 리(John Lee)'라는 유명한 투자 전문가이자, 한국에서 주식 투자에 대한 교육 및 인식을 바꾸고자 활동하는 인물의 책입니다. 이 책은 주식 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 특히 주식에 대한 문턱을 낮추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존 리는 투자와 재테크를 어렵게 느끼는 사람들, 특히 주식 시장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주식에 접근해야 하는지, 그리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 위한 전략을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이 책은 단순히 주식 투자 방법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재정적 자유를 얻기 위한 마음가짐과 투자 철학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이야기합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주식에 대한 오해나 두려움을.. 2025. 4. 1.
건설공사 현장 용어 정리ㆍ토목공사ㆍ건축공사 "건설공사"란, "토목공사ㆍ건축공사ㆍ산업설비공사ㆍ조경공사ㆍ환경시설공사", 그 밖에 명칭에 관계없이 시설물을 설치ㆍ유지ㆍ보수하는 공사(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조성공사를 포함한다)ㆍ기계설비나 그 밖의 구조물의 설치ㆍ해체공사 등을 말한다. 1. ㄱ가꾸목 : 각목    가나모노 : 철물    가다 : 틀ㆍ본ㆍ꼴   가다 아시바 : 외줄비계  가다 와꾸 : 거푸집 (가와ㆍ가다) 형틀  가라 : 무늬ㆍ바탕ㆍ거짓  가라쓰 : 글래스ㆍ유리 가리방 : 줄판  가베 : 벽  가빠 (갑빠) : 비옷ㆍ덮개ㆍ천막 게다 : 보ㆍ도리ㆍ나막신ㆍ케터필터식 백호우   고데 : 흙손ㆍ인두 고바리 : 작은 보고바이 (고바우) : 물매 (건축)ㆍ경사 (토목) 벽돌의 세워쌓기곰방 : 운반 공고사 : 금강사  공구리 : 콘크리트 (ex) 공.. 2023. 1. 31.
법ㆍ시행령ㆍ시행규칙ㆍ조례ㆍ훈령ㆍ지시ㆍ고시ㆍ공고 "법"을 "상위법ㆍ하위법"으로 나눠놓는 이유는 상위법인 "헌법"이나 국회에서 제정하는 "법률"에서 구체적인 법을 제정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인데, 상위법에서 너무나 구체적으로 법을 만들게 되면, 그것을 집행하는 "행정부"는 현실에 맞는 집행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1. 법ㆍ시행령ㆍ규칙물론 최상위법은 물론 "헌법"이다. "헌법"을 초월하는 "법률"은 "위헌신청"을 하여,적법여부를 판단한다. "법률"은 "국회 의결"을 거친 규범이다. "시행령ㆍ시행규칙"은 의회 의결이 아닌 "국무회의"나 "장관 결재"를 통해 제정되는 규범이다. "시행령ㆍ시행규칙" 모두 법률에 근거한 하위법으로, "3권 분립"하에서 "행정부"가 제정하는 입법행위이다. "시행령"은 "대통령"이 제정하고, "시행규칙"은 ".. 2023. 1. 31.
형사소송 형벌의 종류 : 징역ㆍ금고ㆍ구류ㆍ사형 "형사소송법 (刑事訴訟法)"은 수사ㆍ형사재판 절차를 규정한 공법으로, 수사의 절차ㆍ재판의 개시ㆍ재판 절차ㆍ판결의 선고ㆍ선고된 판결에 대한 불복 및 확정 등에 대한 일반적인 법 규정을 망라한 절차법이다. "형사절차"를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민사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민사소송법"과 구별되며, 범죄의 구성요건과 그에 대한 형벌을 규정하고 있는 실체법으로서의 "형법"과도 구별된다. 1. 형사소송 형벌의 종류 (9종류) ①  자유형 : 징역ㆍ금고ㆍ구류            ② 명예형 : 자격상실ㆍ자격정지            ③ 재산형 : 벌금ㆍ과료ㆍ몰수            ​④ 생명형 : 사형2. 자유형 : 징역ㆍ금고ㆍ구류 ① 징역 : 자유형 중 가장 대표적이고, 사형 다음으로 중한 형벌 정해진 기간 동안 교.. 2023. 1. 31.
MOU (사전업무협약)ㆍLOI (의향서)ㆍEscrow (변호사 계좌) "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ㆍ양해각서(諒解覺書)ㆍ사전 업무협약)"란, 정식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투자에 관해 합의한 사항을 명시한 문서를 말한다. MOU는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서로의 입장을 확인하는 계약으로, 일반적인 계약서와는 달리 구속력을 가지지 않는다.  1. 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ㆍ양해각서(諒解覺書)ㆍ사전 업무협약)MOU란 Memorandum of Understanding의 줄임말로 "양해각서"라고 한다. 정식계약을 체결하기 전, 쌍방 당사자의 기본적인 이해를 담기 위해 진행되는 것으로 체결되는 내용에 구속력을 갖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MOU는 실제 계약을 할 때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대외 홍보 역할을 한다는 장점이.. 2023. 1. 31.
금융권 (제1ㆍ제2ㆍ제3)ㆍ제도금융권ㆍ슈퍼뱅크ㆍ리딩뱅크 "제도금융권"은 제1 금융권ㆍ제2 금융권이 있고,  "제도권 밖" 금융권은 제3 금융권 (대부업체ㆍ사채업체ㆍ사금융권ㆍ소비자금융))이 있다. "슈퍼뱅크"는 자본금도 크고, 지점도 많은 덩치가 엄청난 은행을 말하며,  "리딩뱅크 (선도은행)"는 한마디로 이끄는 은행. 덩치와는 상관없이 새로운 금융상품ㆍ경영방법을 개발하는 등으로 다른 은행보다 앞서가는 은행을 말한다. 1. 제1 금융권 : 예금을 받아, 대출해 주는 걸로 먹고사는 전형적인 은행 ① 일반은행 : KB국민은행ㆍ우리은행ㆍKEB 하나은행ㆍ신한은행ㆍ한국시티은행ㆍSC제일은행② 지방은행 : DGB 대구은행ㆍBNK 부산은행ㆍ광주은행ㆍBNK 경남은행ㆍ전북은행ㆍ제주은행③ 특수은행 : NH 농협ㆍ수협ㆍKDB 산업은행ㆍIBK 기업은행ㆍ한국수출입은행2. 제2 금융권 .. 2023.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