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 역사 • 사건 • 인물

사건- 1898 : 변법자강운동 (100일 변법ㆍ무술변법)→ 무술정변

by 당대 제일 2022. 12. 3.
반응형

 

"변법자강 운동 (變法自強 運動)ㆍ100일 변법ㆍ무술변법(戊戌年)"은 1898년, "캉유웨이 (康有爲ㆍ강유위ㆍ1858~1927ㆍ69세)"가 추진한 "정치 운동"으로, "변법자강책(變法自強策)"이다. "서양의 기술"만이 아닌, "정치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2단계의 근대화 운동"이 추진되었다.

 

1. 변법자강 운동 (變法自強 運動)100일 변법무술변법 (戊戌年)

"위안스카이" "변법파"를 배신하고, 이 사실을 "영록(서태후 측근)"에게 밀고100일 천하로 실패

일 시 : 1898.06.11.~ 1898.09.21 (103일 간)          내 용 : "캉유웨이의 변법자강책"에는 "과거제도 개혁조세 개혁탐관오리 혁파각종 경제개혁" 등이 담겨 있었고, "무술변법"을 통해, 이중 일부를 실행에 옮기기도 한다.          

결 과 : "서태후" "합방"의 음모를 알아낸 후, "정변"을 감행 (무술정변)100일 천하로 실패ㆍ"광서제" 유폐"캉유웨이양계초""영국인"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일본"으로 피신  이른바 "무술육군자"라는 "담사동양예유광제임욱" 4명의 "군기장경""캉유웨이" 아우인 "강광인어사(양심수(楊深秀))" 등이 처형

인 물 : 캉유웨이 (변법파 핵심인물변법자강운동 주도자)양심수 (楊深秀)송백노 (宋伯魯)ㆍ강광인 (캉유웨이 동생)양계초담사동양예유광제임욱

광서제 (光緖帝1871~ 1908향년 37청나라 11대 황제 (1874~1908))

1898.09.21, "서태후"가 일으킨 "수구파의 정변(무술정변)"으로 유폐ㆍ서태후의 지원으로 즉위"청나라" 역사상, "최초""방계 혈통" 출신 황제 (서태후의 여동생과 시동생(순현친왕)이 낳은 아들이다.)

동태후 섭정(1874.12~1881.04)서태후(이모(姨母)서백모(庶伯母)) 섭정(1881.04~1889.02)친정 (1889.02~ 1898.08)무술변법 자강운동 실시(1898.06.11.~1898.09.21(103일 간))무술정변(1898.09.21서태후가 일으킨 변)으로 유폐되어, 서태후에게 다시 실권이 박탈1898~1908까지 "허수아비 임금"의 신세를 지냈다.

"광서제"10년간 갇혀 있었으며, 1908"서태후"가 죽기 하루 전, "서태후"에 의해 살해되었. 1908.11.14, "푸이"를 후계자로 세운 다음 날, "광서제" 세상을 떠났다 "광서제"가 갇혀 있던 곳은 여름에는 "이화원의 옥판당"이었고, 겨울에는 "중남해의 영대"였다.

 이홍장 (李鴻章리훙장1823~190178)

청 말기의 한족계 거물급 중신 정치가청의 부국강병을 위한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사람ㆍ"태평천국의 난" 이후, 정계의 실력자로 등장하였으나, "청일 전쟁"을 계기로 실각하였다.

 캉유웨이 (康有爲강유위1858~192769)

중국 "청나라~ 중화민국" 사상가정치가"량치차오(양계초)"와 함께 중국 근대 정치사상가

캉유웨이

"서양의 군수 기술 도입"으로 근대화를 추진하려던 "양무운동""모란사 사건(1874~1875)청불전쟁(1884)청일전쟁(1894~1895)" 등의 연전연패로, 그 한계점을 드러내고 말았다이리하여 "서양의 기술"만이 아닌, "정치제도를 도입해야 한다.""2단계의 근대화 운동"이 추진되었는데, 이를 "변법운동"이라 한다.

"광서제"는 당시 "서태후"의 손아귀에 휘둘리고 있었고,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개혁 정치를 추구하기 위해, "캉유웨이"의 갖가지 정책을 지지하게 된다"캉유웨이의 변법자강책"에는 "과거제도 개혁조세 개혁탐관오리 혁파각종 경제개혁" 등이 담겨 있었고, "무술변법"을 통해, 이중 일부를 실행에 옮기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변법은 "광서제"의 미약한 권위에 의존했고, 결국 "반 개혁파(서태후 등)"에게 패배해 외국으로 망명을 가는 결과로 끝이 난다. 이로 인해 "무술변법""100일 변법"이라고도 불린다"변법자강 운동"을 둘러싼 국내외적인 이해관계는 매우 복잡하게 얽혀졌다.

"개혁파수구파"의 대립이 결국, "광서제서태후"의 권력다툼, "한족만주족"의 대립으로 이어졌고 나아가, 개혁을 둘러싼 "영국러시아" 간의 다툼 등이 개혁을 실패로 몰고 갔다특히 "변법자강 운동"은 근대적 시민의식이나, "부르주아 세력"이 발달하지 못한 "중국"의 전통사회에서 "혁신적인 지식계층"에 의해 추진된 "민족주의적 구국운동"으로, 대중 기반이 취약하였기 때문에 "완강한 보수수구세력"의 반대를 극복하지 못하여,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변법자강 운동" 시기, "변법파"의 핵심인물이었던 "캉유웨이""이토 히로부미(일본 전임총리)티모시 리처드(영국 선교사)"등의 꾐에 넘어가, "중국미국영국일본의 4국 합방""광서제"에게 건의할 것을 "양심수(楊深秀), 송백노(宋伯魯)" 등에게 지시했다고 한다.

1898.09.20, 변법파 관리인 "양심수""광서제"에게 다음과 같이 상주하였다"신이 청하옵니다. 우리 황제께서 빨리 대계를 결정하여 영미일의 3개국과 단단하게 결합되어, "합방"이라는 이름의 기형을 싫어하지 말아야 합니다."

다음 날인 09.21, 다른 변법파 관리인 "송백노"도 다음과 같이 상주했다"티모시 리처드가 내방한 목적은 중영과 연합하여 합방하는 것입니다 시절의 정세를 잘 알고, 각 국의 역사를 잘 아는 인재를 수백 명씩 선정하여, 네 나라에 군정, 세금 및 모든 외교 관계 등을 사찰하고, 군사를 훈련하고, 외국의 침범에 저항하는 (중략 황제께서 신속하게 외무를 통해 중신을 선발하도록 하시옵소서. 예를 들면, 대학사 리홍장을 티모시 리처드와 이토 히로부미에게 면담하게 하시어, 방법을 강구하게 하시옵소서."

중국의 "군사정치권력"을 다른 사람한테 넘길 뻔했던 위기의 상황이었다이때 "서태후""군기처"에서 베껴온 사본을 통해, "신정(新政)"과 관련된 상주문의 내용을 파악하는 한편 "어사 양숭윤"의 진언에, "이토 히로부미의 중국 방문"이 정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보기 시작하였다따라서 "양심수송백노""합방"을 주장한 상주문의 내용을 "서태후"가 알고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태후""합방"의 음모를 알아낸 후, "정변"을 감행하여, "합방계획"을 무산시켰고, "중국""분할과 병탄의 위기"로부터 구해냈다.

1898.09.21, "수구파의 정변(무술정변)"으로 "광서제""영대"에 유폐되고, 이어 09.23"캉유웨이 체포령" "정변"이 선포되었다이와 함께, 이른바 "무술육군자"라는 "담사동양예유광제임욱" 4명의 "군기장경""캉유웨이" 아우인 "강광인어사(양심수(楊深秀))" 등이 처형되었다"변법자강운동" 주도자인 "캉유웨이양계초""영국인"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일본"으로 피신하였다이렇게 "변법자강운동(무술개혁)""100일 천하"로 실패하였다.

2. "양무운동"의 한계"변법론"의 등장

"서양 정치"를 따라, "국회"를 만들었고, "헌법"을 제정했다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는 "유학"을 중시하는 "과거제"를 개혁하고, "서양 학교"를 설립하기도 했으며,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따라, "입헌군주제"도 도입하려고 했었다.

"양무운동"이 한창 추진되고 있던 1880년대 후반부터, "변법론"이 대두된 것은 먼저 대외적인 위기상황에서 굴욕적인 타협으로 인하여, "양무운동"의 파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이와 함께 "양무운동가""()"이 주도하는 기업 운영방식인 "관리가 감독하고, 민간이 경영하는 형식""군수공장 경영이 비효율적"이라는 인식이 "변법론"으로의 전환을 가져오게 만든 것이다.

"변법자강운동"을 주도한 "캉유웨이"의 변법주장이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1888"1차 상서(上書)"에서였다이와 함께 당시의 "청류파 고관"이었던 "장지동" 등이 "의원제와 법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정치활동의 기반을 다져나갔다"캉유웨이"는 전통적인 "유교와 공자"에 대한 과감한 비판을 가하면서, "개혁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캉유웨이"가 주목한 것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이었으며, "청일전쟁"의 결과, 일본이 승리한 것은 바로 이를 증명하는 것으로 단정하였다.

"캉유웨이""정치제도를 개혁하여야만, 부국강병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고, "청일전쟁"의 패전결과,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거부" 운동을 전개하였다이리하여 "변법자강운동" 개혁의 전단계로서, 급진적인 "캉유웨이"의 지지자인 "양계초담사동" 등에 의해, "호남 성"에서 개혁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들 급진적인 개혁론자들이 "학회학당신문잡지" 통해, "캉유웨이의 변법개혁론"을 적극적으로 고취하였다그러나 이는 근대 서양의 "자유평등주의"와는 거리가 멀었고, "황종희"가 주창했던 "군권(君權) 견제론" 내지는 "맹자"를 매개로 한 "군주정체하(君主政體下)에서의 귀민(貴民) 정도"의 온건한 것이었다.

3. "무술 개혁"103일 천하

1897, "독일""교주만 점령"에 의하여, 열강에 의한 "중국 분할이 임박하였다"고 생각한 "캉유웨이" "광서제"에게 다시 상서(上書)를 올려, "개혁"을 주장하였다상서의 요점은 대외적으로 "영국일본" 등과 연합하여, "분할 국면"의 타개책과 대내적으로는 "제도국(制度局)"을 설치하여, 전면적인 개혁을 단행하자는 것이었고, 개혁의 초점은 "제도의 개혁"이었다.

"캉유웨이""변법개혁을 하지 않으면, 황제는 물론이고, 관리들도 온전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을 고취하여, "광서제"의 마음을 움직이고,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개혁에 착수하였다먼저 개혁의 중심기구로 "제도국"을 개설하여,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황제"는 이곳에서 국정을 의논하여, 새로운 제도를 제정하자고 주장하였다.

1898(무술년) 04.23, "광서제""캉유웨이"의 주장을 받아들여, 개혁을 지향하는 특별조치를 내리면서, 소위 "무술변법"을 개시하였다이때 "캉유웨이"의 중요한 활동은 "황제"에게 개혁 내용을 건의하는 일이었다개혁 내용을 보면, "제도국 개설개혁파 관리의 임용사민(士民)의 상서(上書) 허용상업 진흥 신식학교 설치자유로운 의복제도" 등이었다.

"개혁 운동"의 중심이 되는 "제도국 설치""보수적인 대신들"의 반대에 부딪혀 진전이 없었으나, "과거제에서 팔고문의 폐지서원의 학당 전환" 등 몇 가지 개혁이 추진되었다07.19, "캉유웨이"는 개혁에 방해가 되는 "수구파 대신의 숙청"을 요청하여, "예부상서"를 비롯한 고급관리를 "서태후의 재가"도 없이 파직시켰다이어 "개혁파 관리(담사동 등)" "군기장경(軍機章京)"으로 임명하여, "제도국설치" 방향으로 나아갔다이리하여 07.27일에는 "2차 개혁"을 단행하여, 유명무실한 "관료기구"의 철폐, "제도국"의 성격을 갖는 "무근전(懋勤殿)"을 개설하고, "황제의 군사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친위군"을 창설하여, "신건육군(新建陸軍)"의 창설자인 "위안스카이"에게 "친위군"을 맡기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의 진행은 결과적으로 "서태후"를 정점으로 하는 "수구세력"의 결속을 가져왔고, "개혁을 강행하다가는 광서제의 제위까지 위태롭다"는 불안감을 불러 일으켰다따라서 "서태후""수구파"의 기대 속에, 심복부하 "영록""임시 직례총독"에 임명하여, "북양육군" 장악하게 하고, "변법 반대의 쿠데타"를 비밀리에 구체화하였다.

이에 위기를 느낀 "담사동"은 일찍이 "강학회"의 회원이며, "신건육군"을 장악하고 있던 "위안스카이""수구세력을 타도하는 군사행동"을 일으키도록 요청하였다그러나 "위안스카이"는 곧바로 "변법파"를 배신하고, 오히려 이 사실을 "서태후"의 측근인 "영록"에게 밀고함으로써 "변법 운동"은 역전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