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 역사 • 사건 • 인물

사건- 1861~1894 : 양무운동ㆍ동치중흥→ 변법자강운동

by 당대 제일 2022. 12. 3.
반응형

 

"양무운동 (洋務運動)ㆍ동치중흥 (同治中興)"은 군사중심의 "자강운동 (自強運動)"이다. "양무(洋務)"는 "청나라"와 서양 여러 나라와의 관계ㆍ교류 등을 말하는데, 19C 후반, "청나라 말기"에 관료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던 "군사중심의 근대화 운동"을 말한다. 유럽 근대기술의 도입으로 "봉건체제"를 유지ㆍ보강하려 했던 "청조의 자강운동"이다.

 

1. 양무운동 (洋務運動)동치중흥 (同治中興)자강운동 (自強運動)

"중체서용(中體西用)"을 내걸고 "청나라 황제 동치제""동치연간(同治年間1861~1874)"에 추진되었기 때문에,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고도 한다(중체서용(中體西用): 중국의 전통을 근본으로 하고 서양의 기술만을 수용한다)

당시 "청나라"는 열강의 침략적인 "아편전쟁애로호 사건" 등으로 여지없이 약체를 드러냈으며, 안으로는 "태평천국의 난"으로 인해, "봉건적 지배체제"가 위기에 빠져 있었다이런 상황에서 "한인(漢人)출신 관료들(증국번이홍장 등)"이 근대적인 "군사 공업"을 일으키는 한편, "장지동, 성선회" 등은 "관상 합판사업"을 크게 일으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양무운동" "청조 고관"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은 서구 열강에 대적할만한 군사력을 보유했지만, 낡은 제도전통관료들의 부정부패를 개혁하지 않아, "청프전쟁청일전쟁"에서 패배하는 아픔을 겪게 된다.(1861, 총리아문 설치 : 외교문제통상무기구입까지 서양 관련업무 총괄기관1861, "청조"는 구미 열강과의 외교문제를 전담할 "총리아문"을 설치하였다.

일 시 : 1861~ 1894 (신유정변(서태후의 실권 장악)~ 청일전쟁 패배)

내 용 : "청조""아편전쟁애로호 사건(2차 아편전쟁)"을 계기로 서양의 군사적 위력을 알게 되었고, 더욱이 내부에는 "태평천국의 난"으로 안팎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청조"는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부국강병"을 내세우면서, 서양을 모델로 하는 강력한 군사력과 각종의 근대 산업을 일으켜 난국을 타개하려는 "근대화 운동"을 추진하게 된다.

결 과 : 그러나 이 "자강 운동""군사 중심의 근대화"에만 치중했을 뿐, "사회정치 체제의 근대화"무시한 결과, 때마침 일어난 "청불전쟁청일전쟁"에서 뼈아픈 패배를 안겨주어, 약체성을 드러내고 말았다 그리하여 "구체제의 지배자"는 자리를 "무술변법 운동의 지도자"에게 물려주었다.

인 물 : 권력 중심 "서태후"에게 집중 (자신의 권력유지에 어떤 작용을 하느냐 만이 중요 정책추진 중심 "공친왕(의정왕(議政王)군기대신(軍機大臣)총리아문의 장관"으로, 구미외교 전담1884"청불전쟁"의 발발과 함께, 탄핵을 받아 사임.  지방의 한인(漢人)관료- "태평천국"을 진압한 "증국번이홍장좌종당"등이 추진  이들은 "중앙권력의 핵심"에 없었기에, 운동의 추진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증국번""호남 성" 출신의 학자로, "상군"을 조직하여, 엄격한 훈련과 서양식 무기로 무장하여 "태평천국" 진압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 그는 "양광 총독흠차대신"1860년에 임명된 후, 1872년 사망할 때까지, "중앙 정부" 정책결정에 참여하여, 초기 "양무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좌종당""호남 성" 출신으로, "태평천국 진압"에 공을 세웠고, 188118842차례 "군기대신"으로 발탁되어, "군수공장"을 건설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양무운동의 대표자" "이홍장 (사진 참조)" "증국번의 막우(幕友)"로 발탁된 후, "회군"을 조직하고, "상하이" 지방의 경제력을 배경으로 급성장하였다. 그는 "증국번"의 뒤를 이어, 1870"직례 총독"에 임명되어, 1895"청일전쟁"의 패배로 사임할 때까지 "직례 총독북양 통산대신"에 재직하면서, "양무운동"을 적극 추진하고, "청 말기" 외교문제를 풀어 나가는데, 큰 활동을 하기도 했다"양무운동"을 추진한 세력들은 서구의 군사적 위협을 인식하고, 기존의 "중화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체서용(中體西用중국의 전통을 근본으로 하고 서양의 기술만을 수용한다)" 내세웠다.

그러나 "양무운동 추진주체""봉건관료매판 관료세력"이지만, 그들은 "청조"의 전통적 관료와는 달리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성장한 "지방 관료세력"이었다따라서 이들은 무너져가는 "청조의 통치조직"을 재건하여, "봉건왕조의 체제"를 유지하려는데, 주된 개혁목표를 두었고, 이것은 "양무운동"의 최대 한계점으로 작용된다그런데, "양무파 관리들"은 정부 내에서 권력을 장악하지 못하였고, 정부 내에서도 극히 일부의 "진보적 관료"를 제외하면, 여전히 "보수적수구적 관료"가 중심이 되었다.

특히 "서태후의 섭정""양무운동"의 성패보다는, 이 운동이 자신의 권력유지에 어떤 작용을 하느냐에 따라서 정책추진이 변화무쌍하게 달라졌다이는 결국 "양무운동"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이와 함께 "양무운동"을 추진한 세력이 지방에 뿌리를 두고, 지역적 차원에서 이 운동을 추진하였기 때문에 "지방관"이 바뀔 때마다 중단되기도 하고, "지방관"이 임지를 옮길 때, 시설을 새로운 임지로 이전하는 사례도 드물지 않았다. 특히 "양무기업" 자체가 중요한 자금원이기 때문에, "기업의 주도권" 둘러싸고, 분쟁이 끊임없이 발생하였다

"양무운동"은 이렇게 정책적인 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중앙정부"에 의해 체계적으로 추진되지도 못하였다결국 이러한 한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크게 패함으로써, "양무운동"의 한계성과 관료들의 부패함이 드러나게 된다.

① 서태후 (청나라ㆍ西太后ㆍ1835~1908ㆍ73세)

청나라 말기 독재 권력자ㆍ함풍제의 3번째 황후ㆍ동치제의 생모ㆍ광서제의 이모ㆍ26세부터 수렴청정

• 47년 간 정치의 실권을 쥐었고, "광서제"의 이복동생인 "부의"를 옹립하고는 "다시는 자신처럼 여인이 정사에 관여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유조를 남기고, 이튿날인 11.15일 죽었다.  "서태후"의 장례는 120만 냥에 달하는 금액을 들여 성대하게 치러졌고, 수천 명의 사람이 장례에 동원되었다. 이후 청나라는 "신해혁명"에 의해 1912.02.12일 종말을 고했다.

• "서태후"의 죽음은 73세 생일에 몇날 몇일간 계속된 파티에서서 너무 많이 먹어, "이질"로 죽었다는 설이 유력했으나, 청말 중국에서 생활했던 "에드먼드 트렐로니 백하우스"의 책에서 당시 군부 실력자였던 "위안스카이"의 총격에 의해 죽었다고 기술하여, 화제가 되었다.

서태후 시대의 개막 : 신유정변 (辛酉政變기상정변북경정변)

1861.11.02., "청나라 북경"에서 "서태후공친왕(함풍제 동생)" 등이 일으킨 궁정 쿠데타ㆍ"함풍제" "열하"에서 사망하자, "공친왕"을 중심으로 한 "북경파" "숙순"을 대표로 한 "열하파"가 권력 대결을 벌였는데, 결국 "서태후공친왕"이 함께 정권을 장악하였다 "함풍제"가 죽은 후, "의귀비"에서 "태후"로 승격된 "서태후"는 자신의 야심을 달성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서태후"는 먼저 "동태후"를 설득하기로 하였다.

"지금 남편이 세상을 떠났으니 앞으로 마마나 저는 제대로 대접받지 못할 것입니다 재원과 단화, 숙순 등이 정권을 잡고 있는 한 우리에게는 좋은 날이라곤 없을 것이니, 공친왕과 합세하여 정변을 일으키지 않으시렵니까?"  "태후" "서태후의 말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녀의 의견에 동의하였다 "서태후" "태후"와 함께, 수렴청정을 시작하였으니, 이때 그녀의 나이는 불과 26세였다.

공친왕 혁흔 (恭親王 奕訢공충친왕(恭忠親王)1833~189865)

"도광제 (道光帝)"6함풍제의 이복동생청제국 황족종실군인정치가 (동치제의 섭정)ㆍ"2아편전쟁" , "함풍"의 명으로 사태수습 "베이징 조약" 체결 연합군 요구를 거의 수용ㆍ "의정왕(議政王)군기대신(軍機大臣)총리아문의 장관"으로, 구미외교 전담1884"청불전쟁"의 발발과 함께, 탄핵을 받아 사임

이홍장 (리훙장李鴻章1823~190178): 청 말기의 한족계 거물급 중신 정치가

청의 부국강병을 위한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사람ㆍ "태평천국의 난" 이후, 정계의 실력자로 등장하였으나, "청일 전쟁"을 계기로 실각하였다.

증국번 (曾國藩쩡궈판자인 척생 (滌生디성)1811~187261): 정치가학자

"유학(儒學)" 연구에도 당대 굴지의 인물로서, "송학(宋學)"을 중심으로 한 유교이념에 의해 봉건적 질서를 유지하려는 데, 몰두한 보수주의자이며, 정치적으로도 외국 근대공업의 도입에 주력한 실리 주의자였다. 농가에서 출생하여, 1838년 진사(進士)에 합격. "상군(湘軍)회군(淮軍)"을 이끌었음. 1851, "태평천국의 난"이 시작되, 향리에 돌아가, 농민을 조직하여, "상군(湘軍)"이라는 향용(鄕勇)을 편성하여, "태평천국 진압"에 주동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태평천국염군(捻軍)" 진압의 최고사령관으로서 활약한 공적으로, 청말(淸末) 최대의 정치가가 되었다.  "태평천국 군"을 진압한 후, "거사하여 황제에 즉위하라"는 부하들의 청을 수 없이 받았으나, 모두 거절하고, 끝까지 "청조의 충신"으로 남았다.

2. "양무파 관료" 의한 추진

"함풍제" 사후, "동치제"6세에 즉위하자, "공친왕(恭親王)"과 공모하여, 쿠데타로 반대파를 일소하고 모후(母后)로서, "동태후(東太后)" 함께 "섭정"이 되었다1875, "동치제"가 죽자, 누이동생의 3세의 아들을 옹립, "광서제(光緖帝)"로 즉위시켜, "동태후(東太后)" "섭정"이 되었다. "광서제"16세가 되자, "친정"이 시작되었으나, 국정 실권은 "서태후"가 쥐고 있었다.

"청조""아편전쟁애로호 사건(2차 아편전쟁)"을 계기로 서양의 군사적 위력을 알게 되었고, 더욱이 내부에는 "태평천국의 난"으로 안팎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청조"는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부국강병"을 내세우면서, 서양을 모델로 하는 강력한 군사력과 각종의 근대 산업을 일으켜 난국을 타개하려는 "근대화 운동"을 추진하게 된다이 운동의 기원은 이보다 훨씬 이전에 소급되는데, , "아편전쟁"에서 참패하였을 때, 이미 "위원" "해국도지"를 저술하고, 그 서문에서 서양의 장기(長技)를 배워, 서양을 제압한다고 주장하였다.

1860, "-프 연합군""베이징 점령"으로 "함풍제""열하(熱河)"로 도망쳤으며, 연합군은 "청조" 위신을 짓밟기 위해 "원명원"을 불태워 버렸다"아편전쟁" 이후, "청조"의 위기는 절정에 이르고, "황제"의 명을 받아 사태수습에 나선 "공친왕"은 연합군의 요구를 거의 받아들여,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한편 "함풍제""열하"에서 병사하고, 6살의 "동치제"가 즉위했다이 무렵, 궁정내부에 "신유정변"이 발생하여, "서태후"가 섭정을 하고, "함풍제"의 동생인 "공친왕" "의정왕(議政王)군기대신(軍機大臣)"이 되어, 실권을 장악하였다

1861, "청조"는 구미 열강과의 외교문제를 전담할 "총리아문"을 설치하였다"총리아문"은 단순한 "외교문제" 만을 취급하지 않고, "통상(通商)"을 포함하여, 무기의 구입까지 서양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이다"군기처"와의 관계는 명문규정은 없으나, "군기대신""총리아문"의 장관인 "총서대신"을 겸하여 "군기처의 분국(分國)"과 같은 성격을 띠고 있어서, "신정권의 권력핵심"에 해당하였다.

유럽 열강은 이 같은 타협적인 "서태후공친왕" 정권에 대하여 협조정책을 취하고, "청조태평천국 "에 대해 취하던 중립적 자세를 버리고, ""에 대한 적극적인 원조를 제공하면서, 근대적 산업기술자본협력을 제안하였다이에 따라 대외관계를 수습한 "청조의 관료들"은 서구의 근대적 무기를 이용하여, "태평천국 군"을 진압할 목적으로, "영국"으로부터 군함의 도입영국식 군사훈련을 계획하였고, "군기대신 문상""러시아"로부터 제공받은 근대적 무기로 무장한 "신기영(神機營)"을 창설하였다.

특히 "양무운동""상군(湘軍)과 회군(淮軍)"을 이끌고, "태평천국"을 진압한 "증국번이홍장 좌종당" 등 지방에 있는 "한인(漢人)관료"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그러나 이들은 "중앙권력의 핵심"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운동의 추진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양무운동" 시기의 권력의 중심은 "서태후"에게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공친왕"은 신설된 "총리아문의 장관"으로, 구미외교를 전담하여, "양무정책 추진"의 중심이었다그는 "군기처" 내에서 "문상" 등 일부 관료의 지지를 얻었으나, "반대파"의 견제를 받았으며, 1884"청불전쟁"의 발발과 함께, 탄핵을 받아 사임하게 되었다"중앙정부" 내에서 "양무운동의 추진세력"은 보수적 관료의 끊임없는 비판과 견제를 받았다그러나 "증국번이홍장좌종당" 등은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정치군사적 실력을 인정받아, 적극적인 "양무운동 추진세력"으로 발탁되었다.

3. 내 용

"양무운동""중체서용"이 의미하듯, 서양의 과학기술, 특히 "군수시설"을 받아들여, 중국의 "자강" 꾀하려는 "부국강병 운동"으로, 내용은 "무기장비군사 시설"에 집중되어 있다.

1863, "이홍장""상하이""강남제조총국"'을 세워, "총포탄약기선" 등을 만들었다 "난징"에는 "금릉기기국"을 세워, "대포화약"을 생산하였다.

1866, "좌종당""푸저우""선정국(船政局)"을 세워, "윤선(輪船)"을 제작하였다 "숭후(만주족 귀족출신으로, 북양삼국통상대신)""톈진기기국"을 설치하여, "화약포탄"을 생산하였다.

이러한 "4대 공장"이 설립된 이후, 각 지방에 "24개의 군수공장"이 건설되었다그런데 이들 공장에서 생산된 무기는 "총포탄약류"가 대부분이었고, 품질도 우수하지 못하였다이들 공장은 원자재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서양인 기사"에 의하여 공장이 운영되었으며, "중국인 관료"에 대한 막대한 인건비 지출로, 경영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한편, 공장이 필요로 하는 "석탄"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각지에 "광산"이 개발되어, 근대적 채광 시설을 갖춘 "광업"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또 공장의 부속기관으로 설치된 "번역관"과 교육 기관을 통해, 서양의 과학기술 서적이 번역 보급되면서, "기술 인력"이 양성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1874, "일본의 모란사 사건"을 계기로, "이홍장" 등은 "해군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1884"3대 함대(북양함대남양함대복건함대)"를 창설했다함대는 "중국"에서 건조한 배도 있었으나, 주력함은 주로 "영국독일"에서 구입하였다이들 "해군""상군(湘軍)회군(淮軍)"로 나뉘어, 통일적인 지휘계통이 이루어 지지 못했으므로 1884년에 터진 "청불전쟁"에서 "복건함대"가 궤멸되는 원인이 되었다이 밖에 유능한 지휘관 양성을 위해, "톈진""수사학당(水師學堂1880)무비학당(武備學堂1885)"을 세우고, "영국프랑스"로부터 "군사고문"을 초빙하여, 서양식 군사학을 교육하였다.

1867, "장지동""외교관 양성"을 위해, "총리아문""동문관(同文館)"을 설치하여, "영어프랑스어독일어시아어" 등의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였고, "동문관"에서 유학생을 파견하였다"증국번"은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여, "미국"으로 유학시켰다"이홍장""미국영국독일" 등지로 유학생을 보내어, "군사무기"에 관하여 연구하도록 하였다이러한 개혁활동은 "마건충"을 비롯하여, 각 분야에서 활동했던 인재들이 이를 통해 배출되었다외국 자본주의의 중국진출에 대항하여, "양무파""민족자본민간기업"의 양성에 힘을 쏟아, "반관반민(半官半民)의 관독상판(官督商辦)"의 새로운 기업을 육성해 나갔다.

1872, "이홍장""중국 해운업"을 독점하고 있던 외국 기선회사와 경쟁할 목적으로, "상하이"에 기선 회사인 "윤선초상국"을 창립하였다.    1881, 중국 최초의 철도가 "당산(唐山) ~ 서각장(胥各莊)" 사이에 건설되었다.    1890년대 초까지, "기융탄광(基隆타이완)개평탄광(開平즈리 성)막하금광(幕河헤이룽장 성)대야철광(大冶후베이 성)"에 열었고, "방직공장"도 각지에 건설하였다.

이러한 기업은 대부분이 "반관반민(半官半民)"의 성격을 가진 "관에서 감독하고, 민간이 경영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창업 초기에는 거액의 "국가 자금"이 투자되고, "양무파 고관"이 추천한 관료가 기업을 운영하였으나 후에는 민간으로부터 자본을 모집하여, 거액을 투자한 상인에게 경영을 맡기고, 국가는 이들 상인을 보호감독하였다여기에 투자한 상인은 "상하이" 등지의 "개항장"에서 자본을 축적한 "매판자본가대상(大商)"이었다

"관리"가 감독하고, "민간"이 경영하는 방식의 기업은, 거대한 외국자본주의의 압력에 맞서 취약한 중국의 기업을 지키기 위하여, 국가로부터 "세제상"의 특혜와 "관문(官物)관용(官用)"에 납품하는 "영업 독점의 특권"을 누리면서, 운영되었다이는 뒷날 관료들의 부패를 조장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양무운동"의 한계성을 드러내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