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인어공주 (1989년, 애니메이션)
- 원제 : The Little Mermaid
- 원작 : 안데르센 동화
- 줄거리 : 바닷속 공주 ‘아리엘’은 인간 세계에 동경을 품고 살다, 인간 왕자 ‘에릭’을 사랑하게 됩니다. 목소리를 대가로 마녀 ‘우르술라’와 계약하고 인간이 되지만, 여러 갈등 속에서 결국 사랑과 정체성을 찾아갑니다.
- 특징 : 디즈니 르네상스의 시초 / 유명한 OST: Part of Your World, Under the Sea, Kiss the Girl / 아카데미 음악상 2관왕 (주제가, 오리지널 스코어)
2. 캐스팅 논란 : 인어공주 (2023년, 실사판)
- 아리엘 역 : 흑인 배우 할리 베일리 (Halle Bailey) 캐스팅 → 애니메이션 속 백인 아리엘과 다른 인종이라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논란 발생 → 특히 “원작 훼손 vs 다양성 존중”이라는 문화 전쟁 이슈로 번짐 → 유튜브 예고편 영상은 “싫어요 폭탄”으로 기록 (공개 직후 싫어요 수 200만+ 추정)
- 디즈니의 입장 : "모든 아이들이 자신을 화면에서 볼 수 있어야 한다"며 다양성과 포용성 강조
- 팬들 사이 반응 : 일부는 “연기와 노래는 훌륭하다”고 옹호, 하지만 전통적인 캐릭터 이미지와의 괴리에 대해 반감도 거셌음
3. 흥행ㆍ비판적 평가 : 인어공주 (2023년, 실사판)
① 흥행 성적
• 제작비 : 약 $250–300M (마케팅 포함 시 더 큼)
• 전 세계 수익 : 약 $570M → 북미에서는 중간 이상, 하지만 해외 흥행 특히 아시아권(중국, 한국 등)에서 부진 → 수익 대비 순이익은 낮은 편, “기대 이하” 흥행이라는 평가
② 비판적 평가 포인트
• 과도한 CG 사용 : 바닷속 장면이 어색하고 생동감 부족
• OST 편곡 논란 : "Kiss the Girl" 등의 가사가 현대적 가치에 맞게 수정됨 (논란 유발)
• 캐릭터 디자인 : 플라운더ㆍ스커틀ㆍ세바스찬 등의 "실사화된 모습"이 귀엽지 않다는 반응
• 서사 변화 : 아리엘이 더 능동적으로 바뀌었으나, 일부는 "캐릭터의 매력 감소"로 봄.
4. 전반적인 반응
① 긍정적 평가
• 흑인 배우 "할리 베일리 (아리엘 역)"의 가창력과 진정성 있는 연기
• 다양성과 새로운 해석 시도
② 부정적 평가
• 원작 팬들의 향수 훼손
• 과도한 현대화와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반감
• 실사판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마법이나 동화적 느낌이 부족하다는 지적
정리하자면, 2023년 「인어공주」는 기술적 완성도, 문화적 메시지, 원작 재해석이라는 측면에서 실험적인 시도였지만, 그 시도가 모두 대중의 지지를 받지는 못했던 작품이에요.
반응형
'애니메이션 (Ani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즈니 : 미녀와 야수의 실사판 (2017) 영화 (1) | 2025.04.27 |
---|---|
디즈니 : 101마리 달마시안과 실사판 (1996) 영화 (1) | 2025.04.27 |
디즈니 : 백설공주와 실사판 (2024) 영화 (0) | 2025.04.26 |
디즈니 : 애니메이션 ③ 2004~2024 (Walt Disney Animation) (1) | 2025.04.26 |
디즈니 : 애니메이션 ② 1977~2003 (Walt Disney Animation) (0) | 2025.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