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1 • 2차 세계 대전 • 독일 • 일본

나치 당 (Nazi)ㆍ독일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NSDAP)

by 당대 제일 2022. 12. 14.
반응형

 

"나찌 당 (Nazi)ㆍ독일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NSDAP)"는 1919~ 1945년까지 존재했던 독일의 정당으로,  국가 사회주의(National Sozialismus) = 영어로 번역하면 National Socialism 쯤 된다. 여기서 Na(앞 단어) + Zi(뒷 단어) = 나치 (Nazi) 라 줄여서 만들었다. 

 

1. 나치 당 (Nazi)ㆍ독일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NSDAP)

NSDAP =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민족주의ㆍ반유대주의ㆍ반공주의ㆍ전체주의ㆍ군국주의" 등을 중점적 정책을 내세웠으나, 이와 "사회주의"를 절충한 정도는 논란이 된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평화협정 베르사유 조약에 강력히 반대해서 폭넓은 지지를 얻었으며, 이른바 "아리아인ㆍ게르만인ㆍ독일인"의 우월주의를 주장하였다. 당의 정책은 25개조 강령에 잘 드러나 있다. (25개조 강령 : 1920.02월에 히틀러가 발표한 나치당의 강령이다)

• 창 당 : 1920.02.24        • 후계 정당 : 사회주의 제국당         당 원 : 1945년 현재 700만 명         중앙 당사 : 독일 뮌헨         대 표 : 1921~1945 : 아돌프 히틀러 (1920~1921 : 안톤 드렉슬러1945 : 마르틴 보어만)

• 아이디어 : 독일(게르만 민족)이 가장 우수하다. 세계를 지배해야 한다. 민족에 서열을 매긴다. 우생학에 근거한 유전병 후손 예방법→ 독일인의 "순혈성"을 위협할 사람을 "단종"시키는 법1939.09.01일(2차 대전 시발점), 독일에 있는 환자들을 죽이라는 "히틀러"의 문서명령 하달이후 수년간, 지적장애환자어린이 환자(3~13)중증장애 유아(3세 이하) 10만 명을 단종 시킴.

• 유대인 = 독일 경제 불황의 원흉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벌고, 독일을 좀먹고 있다)

2. 나치 당 (Nazi) 출현ㆍ제2차 세계 대전 이유

1919.06.28 : "베르사유" 조약 체결→ "독일"의 해외식민지를 "프랑스ㆍ영국"에게 할양 → 승전국들은 "베르사유 궁전"에 모여, 패전국에 대한 처리를 논의  → 전쟁 배상금(1,320억 마르크(현, 205조 원) 지불 약속 (제2차 대전 발발 이유 중 하나)

"케이스"(영국 재무성ㆍ거시경제 창시자)의 경고, "경제와 화폐를 파탄시키면, 야만이 살아나온다." → 무분별한 통화발행 → 물가상승ㆍ실업자 600만 명 (독일 빵1개- 1918(0.5마르크)ㆍ1928(천억 마르크)ㆍ1$= 4조 마르크) → 좌파ㆍ공산당은 파업 → 독일이 엉망 → 반격 준비(제국주의자ㆍ자본가ㆍ보수세력ㆍ민족주의자) → 1923년, 히틀러의 뮌헨 폭동(맥주 홀 폭동)ㆍ실패ㆍ체포ㆍ대중적지지 → 재판장을 선전의 장으로 만든 연설가 → "하나 된 위대한 독일"이란 환상 설파(국가민족사회주의) → 나치당이 선거에서 1당이 됨 → 히틀러가 연방총리 "지금부터 공익은 사익에 우선한다." 선언 → 당의 판단에 따른 통치시작 →유대인 해고ㆍ아우토반 건설(사회부양책ㆍ대규모 토목공사로 취직 증대) → 공산당ㆍ자유주의자 작살 → 사회가 조용 → 질서ㆍ활기 → 히틀러의 업적ㆍ선전에 심취 → 불안한 사회 속에서 그저 강 인한 "우리"에 속하고 싶었던 무수한 보통 사람들 → 그들의 마음은 한 정치인의 욕망을 이루는 "전체주의의 재료"가 됐다.

3. 당의 상징

나치의 상징으로는 군인의 거위걸음, 오른손을 쳐든 경례, Hakenkreuz(Swastika, 국기의 갈고리 십자), 모자에 달린 해골마크, 검정색 제복과 갈색 셔츠, 장화 등 이다.

경례 : 오른팔을 높이 들고, 손을 뻗어 하는 경례법

사실은 로마군의 경례 방법으로서, 카이사르 이전에도 로마군의 전통적인 경례 방법이었다. 로마 제국을 짝사랑했던 이탈리아의 무솔리니가 자신이 로마 제국을 다시한번 이루어보겠다는 야욕에서 로마식 경례 방법을 도입하고, "사단"을 "군단"이라고 부르는 등 로마군의 형식과 관례를 도입한다. 히틀러는 그런 무솔리니를 흉내 내어, 독일군에 로마군 형식, 관례를 도입한다. 나치의 "오른팔 쳐들기" 금지되어 있어, 신나치주의자들은 5개의 손가락을 모두 펼치는 것이 아니라 , 3개만을 펼친다고 한다.

Hakenkreuz (Swastika, 국기의 갈고리 십자)

당의 상징인 갈고리 십자(하켄크로이츠)는 1920년에 채용되고, 1945년이후에 역사 속에서만 볼 수 있다. 나치스를 상징하는 것으로 굳어버려, 독일에서는 Hakenkreuz를 사용할 수 없도록 법으로 금지시켰다. 원래 "고대 게르만족의 상징"으로, 이른바 "룬 문자"라고 불리는 문자형태의 종류로 일종의 기호였다. 하켄크로이츠는 고대 힌두교의 표를 증폭한 것으로, 아리아 민족의 승리를 위해서 싸우는 사명을 상징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Hakenkreuz는 고대 게르만족의 고유한 전통 상징으로 행운을 상징하여 사용하던 룬문자의 하나였다. 룬문자는 이것 말고도 친위대를 나타내는 문자로 사용되는 번갯불 모양(SS)의 상징도 마찬가지다. 게르만족과 아리아인종의 고유성과 우월성을 주창하며, 반 유태투쟁을 벌여온 히틀러에게는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게르만족 고유의 상징이었고, 이런 민족주의 관점에서 당연히 게르만족 고유의 상징이 채택된 것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국가별 국기의 상징

• 태극기 : 태극은 우주 자연의 궁극적인 생성원리를 상징하여, 적색은 존귀(尊貴)와 양(陽)을 의미하고, 청색은 희망과 음(陰)을 나타내며, 사괘(四卦)는 천지일월(天地日月)· 사시사방(四時四方)을 의미 

• 미 국 : 별은 미국의 50개주를 의미, 붉은 색과 흰색의 줄은 처음 독립선언 당시 13개주이다. (성조기의 변천사를 보면 주(州) 숫자의 변화상을 알 수 있음)  / 프랑스 : 3색기는 자유, 평등, 박애의 프랑스 혁명정신을 표현  /  노르웨이 등 북부 유럽의 국기 : 한결같이 성인을 상징하는 십자가  / 현대 백인인종주의 극우파 : 기본적으로 Hakenkreuz를 변형시킨 것으로, Hakenkreuz처럼 보이게 할 속셈으로 그렇게 변형한다.

 나치 당 (Nazi)기의 상징

붉은색 : 피 (Blut), 히틀러에게는 피의 순수성을 의미, 사회적 이념   /  검은색 : 대지 (Boden)  /  하얀색 : 프로이센의 깃발 (현 국기에는 없는 색), 히틀러에게는 민족주의적 이념

붉은색, 검은색, 하얀색의 편성은 "구 독일제국" 국기에 사용된 것이다. 히틀러는 마르크스주의자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다.(요하임 페스트가 쓴 "히틀러 평전"에 표현) 그들의 이념을 배운 게 아니라, 그들의 수단과 방법을 배워 그것을 정리, 발전시켜 그들을 타도하는 데 사용했던 것이다. 

히틀러는 깃발은 세계관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믿었기에 그 세계관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것이 필요했다. 그가 고려한 것은 민족으로서 의미를 가질 것, 공산당 및 사민당에 대항할 수 있는 색깔 "새로운 운동"(히틀러 "나의 투쟁")으로서 상징, 민중에 대한 심리적 파급 효과였다. 특히 그가 주목한 것은 색깔의 사용 문제였다. 붉은색에서 오는 느낌이 사람들을 흥분시키고, 충동을 유발한다고 보았기에 필요했으며, 또한 사민당과 공산당의 색깔이기도 했다. 그들의 수단을 빼앗아 사용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투쟁을 극대화하려고 한 것이다.

1848년 이래, 흑- 적- 금의 3가지 색의 깃발은 독일 내에서는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의미하는 상징이었기 때문에 히틀러로서는 사용해서는 안 될 색깔이었고, 그렇게 해서 결정된 것이 흑- 백- 적이다. 원래 프로이센을 상징하는 흑, 백과 한자동맹을 나타내는 백, 적의 색깔을 합쳐 1871년 이후 독일제국의 깃발에 사용되던 색깔이다. 극우집단이며, 민족주의 세력으로서, 이보다 더한 색깔은 없었을 것이다. 

그것은 과거의 영광에 대한 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하기에 충분했고, 당시 병사로서 히틀러는 그 색깔에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흑- 백- 적 자체는 당시 독일의 민족주의적 우익과 보수 세력을 겨냥한 것이고, 특히 붉은색은 좌익 쪽으로 기울여있던 그룹을 향한 것이었다. 또한 반공산주의 측면에서 공산진영을 조롱하는 의미도 있지 않았나 싶다. 훗날 나치스가 정권을 장악한 후에, 전통적으로 좌익 노동운동 세력의 축제인 05.01일 메이데이를 나치식의 노동절로 만들어버린 것도 선전 효과와 공산주의 세력, 친 좌익노동운동 세력을 겨냥한 것임을 괴벨스가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있는 것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불교 표시" 또는 "절 표시"와의 차이

인도에서 전래된 것으로, 범어로는 "슈리바차ㆍ바스티카"라고 한다. 읽을 때는 보통 "만(萬)" 또는 "만자(萬字)"라고 한다.  또한 만자에도 2종류(좌만, 우만)가 있는데, 둘 중에 어느 것이 본래 모양인지도 불확실하다. 

"만(萬)"가 나치즘과 아무런 상관이 없음은 물론이다. 일부 신비주의 전문가들은 나치의 상징으로서의 스와스티카는 악마를 상징하거나, 역 십자가를 상징한다고도 하는데, 자세한 것은 확인하기 어렵지만, 다만 히틀러를 비롯한 나치의 핵심 인물들이 신비주의적 악마 종교에 심취해 있었다는 주장도 종종 제기되기도 한다.

슈리바차는 비쉬누 또는 그 화신 크리슈나의 가슴에 나 있는 털 모양이다. 털이 소용돌이치는 모양으로 나 있는데, 그 모양을 부호화한 것이 바로 만자인 셈이다. 범어 문헌에 따르면 슈리바차는 "시바신"이 지니고 다니는 삼지창이라고도 하고, 바라드바자라는 선인(仙人)이 비쉬누신의 가슴에 물을 끼얹고, 그 위에 슈리바차를 그려 넣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렇게 볼 때, 슈리바차가 반드시 위와 같은 만자 모양이었던 것 같지는 않다. 삼지창 모양을 비롯하여 무언가 다른 모양의 부호도 슈리바차였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슈리바차 또는 스바스티카가 비쉬누신하고만 연관되어 등장하는 것도 아니다. 불교가 아닌 자이나교를 창시한 사람의 가슴에도 이 표시가 되어 있었다고 하며, 그 밖에도 이상적인 군주도 이 표시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부처의 신체적 특징 가운데에 하나로 "손과 발에 슈리바차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에 인도, 동남아의 부처 발자국을 새긴 돌, 바로 위의 표시를 새겨 넣은 경우가 적지 않다. 신과 인간을 통틀어서 위대한 사람이 지니는 신체적 특징의 하나가 바로 만자였음을 알 수 있다. 부호가 중국에 들어오면서 왜 하필 만(萬)으로 불리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매우 좋다, 완전하다, 탁월하다, 뭐 그런 의미로 만자를 적용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만 가능하다.

4. 명 칭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은 흔히 "나치"(Nazi, 단수 및 접두사),"나치스(Nazis, 나치의 복수형)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당의 정식 명칭이 아닌 널리 쓰이는 줄임말이다. 당명의 "Nationalsozialistisch"를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하느냐, "민족사회주의"로 번역하느냐 에는 논란이 있다. 독일어 단어 "Nation"은 국민, 국가 또는 민족을 뜻하는 낱말이다. 한편, 사회주의라는 말의 어원은 그 나라의 공장, 토지, 농지, 기업 등의 생산수단의 소유권을 자본가들이 소유하느냐(자본주의), 국가가 소유하느냐(국가 사회주의), 노동자들의 정당이 소유하느냐(볼쉐비즘)에 따라, 분리된다.

히틀러는 이 중 공장 등의 생산수단을 국가가 소유할 것을 분명히 하였으므로, 민족을 아무리 그 정당강령에서 중요시하였더라도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나치즘에 사용하려면, 국가사회주의로 번역을 하는 것이 사회주의라는 정의에 부합한다고 보는 주장도 있다. 이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이론에 의한 중간단계로서의 국가가 소유권을 가지는 사회주의 이론에도 부합한다.

"제3제국"(das Dritte Reich)이라는 표현은 아돌프 히틀러가 로마제국을 "제1제국", 1871년 통일의 결과로 수립된 독일제국을 "제2제국"이라 부르고, 자신이 수립한 나치독일 체제가 독일국민의 "3번째 제국"으로서 천 년을 갈 것이라고 주장한 이후 사용되었다. 물론, 히틀러가 천 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호언장담을 했던 제3제국은 12년 4개월 밖에 유지되지 못했다. 나치즘(Nazism)은 나치의 사상 체계 및 그들이 수립한 전체주의 체제를 뜻하는 것으로 혼용되어 사용된다.

5. 당의 역사결성

1919.01.05일에 베르사유 조약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결성하였으며, 초대 대표는 안톤 드렉슬러이다. 09.12일, 히틀러는 자신의 상관 장교로부터 독일 노동자당(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옛 이름)을 조사하라는 명령을 받게 된다. 당 대회는 뮌헨의 한 맥주홀에서 있었는데, 우연히 그 대회에 참석하게 된 히틀러는 자신의 의견을 말하게 되고, 그것이 계기가 되어 독일 노동자당의 위원이 되게 된다.

6. 뮌헨 폭동당 세력 확대

1923.11.08일 히틀러는 에리히 루덴도르프 등과 함께 뮌헨 폭동을 일으켰다. 그날은 빌헬름 2세를 네덜란드로 망명시키고, 바이마르 공화국이 출범한 지 5년째 되는 기념일이었다. 그날 히틀러와 루덴도르프가 맨 앞에 서고, 3,000여 명의 돌격대원들과 말을 타고 시위행진을 했다. 그런데 경찰들이 갑자기 공격을 개시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당황한 히틀러는 "그만 둬! 루덴도르프 각하가 계시는 게 안 보이는가?" 라고 말했다.

하지만 루덴도르프의 이름도 소용이 없었고, 그 총격전으로 16명의 나치 당원이 사망했다. 심하게 부상당한 괴링은 이탈리아로 도망쳤고, 히틀러는 말에서 떨어져 팔이 골절된 채로 도망쳐야 했다. 뮌헨 폭동으로 한때 당이 해산되기도 하였지만, 다시 세력을 잡게 된 나치는 당 이름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으로 바꾸고, 1926년 총선 때는 슈트라서, 괴벨스, 괴링 등 12명의 국회의원이 나치에서 나오게 되었다. 그 뒤, 나치는 여러 단체를 만들어 나치의 세력을 조금씩 늘리기 시작했다. 그 뒤 1932년 총선에서 나치는 230명이나 되는 국회의원이 나치에서 나와 제1당이 된다.

7. 나치 내각 성립

1929년 경제 대공황이 터지고, 그 여파로 독일의 경제는 혼란스러워졌다. 히틀러는 "이때다" 하고 생각하여 국민을 적극적으로 선동했다. 히틀러의 선동에 현혹된 독일 국민들은 히틀러를 열렬히 지지하게 되었으며, 자본가와 군도 히틀러와 나치에 대한 지지를 표했다. 결국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했다. 하지만 나치는 의원 수가 과반수를 넘지 않았기 때문에 보수정당인 독일국가인민당과 연립 내각을 구성하였으며, 나치에서는 히틀러와 괴링, 프릭이 의원으로 임명되었다. 수상이 된 히틀러는 1933.03.05일 총선거를 실시하기로 하고, 국회를 해산하였다.

8. 1당 독재

히틀러는 정권을 잡고 일당 독재 정치를 펼치기 시작했다. 히틀러는 나치가 총선거에서 승리하자 전권위임법(수권법)으로 독일국가인민당을 비롯한 모든 정당을 해체시키고 바이마르 헌법을 폐지했다. 그리고 10월에는 국제 연맹을 탈퇴하고 군대를 재정비하였다. 히틀러는 1934년 돌격대장 에른스트 룀을 숙청했는데, 룀은 히틀러의 부하들로부터 권총을 받았으나 자살을 거부하였으며, 결국 히틀러의 부하들에게 암살당한다. 히틀러가 오래전부터 자신의 측근이었던 룀을 죽인 이유는 돌격대의 세력이 너무 커졌고, 그에 따라 자신들이 정규 국방군이 되겠다는 그들의 주장이 히틀러의 뜻과 달라, 양자 간에 갈등을 겪었기 때문이었다.

히틀러는 1935.01월에는 자를란트 주를 합병하고, 르카르 노조약으로 군대 주둔이 금지된 라인란트에 군대를 진주시켰다. 하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전쟁을 우려하여, 군대를 보내지는 않았다. 1936.08월에는 베를린에서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처음에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11회 하계 올림픽 개최지를 베를린으로 선정했을 때는 국민과 정부 모두 기뻐하지 않았다. 히틀러도 올림픽을 싫어했으나, 올림픽 경기장을 선전장으로 이용하기로 했다. 또한 히틀러는 계속해서 군대를 정비해, 1938년에는 오스트리아 나치당과의 협상으로 오스트리아를 손쉽게 합병했으며, 이듬해에는 체코를 합병하고 슬로바키아를 보호국으로 삼았다.

그리고 1939.09.01일 폴란드를 침공해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이듬해에는 덴마크, 노르웨이,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등을 점령하고, 승승장구하며 소련을 침공했다. 하지만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군이 크게 패하고, 미국의 참전과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성공으로 프랑스까지 해방되어 전세는 역전되었다. 결국 연합군에 의해 베를린이 포위당하고 독일은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했다. 히틀러는 독일이 항복하기 7일 전에 자살했다.

9.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5년 독일이 연합군에게 항복하면서 나치는 사실상 해산되었고, 9.10일에는 법률에 의해서 금지되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에 의해 범죄 조직으로 인정되었다. 지금도 독일에서는 소위 반(反)나치법에 의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이라는 공식 명칭이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어, 엔에스(NS)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독일에서는 제3제국과 관련된 상징물을 일상에서 사용하는 것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예외는 역사서, 소설, 영화 등 어쩔 수 없는 경우에 한해서이다. 

명칭뿐 만 아니라 나치 관련 각종 기장의 착용 및 제복의 착용 또한 금지되어 있다. 나치 독일의 "오른팔 쳐들기" 역시 금지되어 있어서, 신나치주의자들은 5개의 손가락을 모두 펼치는 것이 아니라 3개만을 펼친다고 한다.(원래 오른팔 들기 인사법은 고대 로마 제국에서 유래한 것이다).

10. 당의 구성

나치당의 일반 당원들은 주로 시골이나 도시 지역의 중산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7%는 상류층에 속하였으며, 7%는 농민이었다. 35%는 산업 노동자였으며, 51%는 중류층에 소속되었다. 최대 단일 직업 집단은 초등학교 교사였다. 당이 결성된 1920년에는 당원 수가 약 2000명에 지나지 않았지만, 1933년 정권 탈취 시에 당원 수는 250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1945년에 당이 해산되었을 때 공식 당원 명수는 합계 700만 명에 달했다.

11. 군사 조직

1935년 국방군 및 경찰에 소속되지 않는 군사조직이 친위대(SS:Schutzstaffel) 내부에 설치되었다. 여기에 지원하면, 의무 병역 기간에 들어갔다. 1940년에는 무장 친위대(Waffen-SS)로 개명되었고, 육군· 해군· 공군에 이어 제4의 군대로 인지되었다. 나치당이 정권을 탈취하기 전에는, 국방군이 정치적인 영향을 갖게 되는 것을 염려하여, 국방군의 병사는 비(非)정치적일 것을 요구받았기 때문에, 국방군에 입대하려고 하는 나치 당원은 탈당이 요구된 일이 있었다.

12. 그 외 조직

파트타임 적으로 소집되는 일반 당원 외에 아래와 같은 조직에 들어갈 수도 있었다.

① 나치 여성단 : NSF, NS-Frauenschaft           ② 돌격대 : SA, Sturmabteilung           국가사회주의 기병대 : NTKE, Nationalsozialismus Kavallerie           국가사회주의 전차대 : NTDBE, Nationalsozialismus Drehscheibe           히틀러 청소년단 : HJ, Hitlerjugend           나치 노동자회 : NSWKN, NS-Nazi Workers Association           독일 소녀단 : DBM, Bund Deutscher Mädel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