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형문자 (Cuneiform Scriptㆍ쐐기문자)"를 발명한 것은 "수메르 인"으로, "점토" 위에 "갈대나 금속"으로 만든 "펜"으로 새겨 썼기 때문에, 문자의 선이 "쐐기 모양"으로 되어 "설형문자"라고 하며, "쐐기문자"라고도 한다.
◆ 설형문자 (Cuneiform Scriptㆍ쐐기문자)
BC 3000년경부터 약 3,000년간 "메소포타미아"를 중심으로, "고대 오리엔트"에서 광범하게 사용된 문자로, 발명한 것은 "수메르 인"으로, "점토" 위에 "갈대나 금속"으로 만든 "펜"으로 새겨 썼기 때문에, 문자의 선이 "쐐기 모양"으로 되어 "설형문자"라고 하며, "쐐기문자"라고도 한다.
"그림문자 (회화문자)"로부터, 독특한 "설형문자"를 발명하여, "고대 오리엔트"에서 널리 사용하였다. "한자(漢字)"와 마찬가지로 "회화문자(그림문자)"에서 생긴 문자이다.
"설형문자"는 BC 1C 경까지 사용되었으나, "그리스문자ㆍ나 아랍문자"의 보급으로 점차 잊혀 지게 되었다.
① "영어"는 약 1,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영어"의 시발점을 정확하게 규정지을 수는 없지만, 대체로 "게르만 족"의 하나인 "앵글로색슨 족")이 449년을 계기로, "유럽 대륙"에서 대거 "영국"으로 건너온 이후부터, 실제 "영어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문자 체계"는 BC 3000년경부터, "수메르 인"들이 기록을 위해, 젖은 점토 위에 도구를 이용해 흔적을 남기기 시작하면서부터 발달했으며, 초기에는 주로 "수"를 세기 위해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점토"를 굳혀서 만든 서판에 주로 "신전"에 바치는 물품(곡물ㆍ소ㆍ양ㆍ물고기ㆍ노예 등)을 표시한 문자기호를 새겼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자는 "수메르 유적"에서 발견된, "남부 메소포타미아 우루크(Uruk)의 에안나 신역(神域)의 제4층(우루크 후기)"에서 발견된 문자였다.
발견된 문자의 수도 많은데, 현재 알려진 문자의 수는 약 1,000자에 달한다. BC 3100년 무렵의 것으로 여겨지는 "점토판"의 문자들은 "초기 수메르어"로 보이며, 아직 완전히 해독되지는 못했다.
② 그 후로도 "설형문자"는 그 기호가 조금씩 간략화 되어, "쐐기 모양"에 가까워졌으며, "표음 문자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초기 왕조시대"에 이르면, "설형문자"는 일반화되고, "표음문자ㆍ표의문자"가 병용되었다. "바빌로니아 남부"를 통일한 "셈 계"의 "아카드 인"들은 "설형문자"를 채용하여, "아카드 어"를 표기하였다. 그로부터 "표음문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커지고, "표의문자"의 수는 줄어들었다.
③ "아카드 어"는 제국 멸망 후에도, 국제어로서 "오리엔트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문자기호의 수는 초기 "수메르"에서는 2,000정도 사용되었으나, "중기 바빌로니아"에서는 600정도, "후기 아시리아"에서는 350정도로 감소되었다.
④ "고대 페르시아 설형문자"는 자획(字畵)도 간략해지고, 자수도 37개로 정리되었다.
"시리아의 라스 샴라"에서 발견된 "우가리트 설형문자"는 "30개의 자음문자"로만 되어 있고, "후대의 히브리어나 아랍어"와 같은 "자음 알파벳 방식"으로 발전해 있었다.
'상식 - 서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르드 족 (Kurdsㆍ이란계)ㆍ아라랏 산 (노아의 방주 도착지?) (0) | 2022.09.01 |
---|---|
고대 문명 ⑧ 함무라비 법전 (BC 1750ㆍ 바빌로니아) (0) | 2022.09.01 |
고대 문명 ⑥ 바빌로니아 (Babylonia) 문명ㆍBC 1800년 경ㆍ이라크 (2) | 2022.09.01 |
고대 문명 ⑤ 수메르 (Sumer) 문명ㆍBC 4000 년경ㆍ이라크 지역 (0) | 2022.09.01 |
고대 문명 ④ 비옥한 초승달 지대 (Fertile Crescent) (0) | 2022.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