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언 • 고사성어• 고전/논어27

명언 : 논어 (공자의 경고) 1. 공자의 경고 : "사십에 미움을 보인다면, 끝난 것이다" 논어 양화편 26장 >살아가며 미움은 피할 수 없는 감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공자는 "사십에 미움을 보인다면 그 인생은 이미 끝난 것" 이라며, 생각보다 강한 어조로 경고합니다. 이는 단지 나이에 따른 감정 조절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완성과 깊은 성찰의 필요성을 강조한 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논어 양화편 26장의 짧은 구절을 바탕으로, 공자가 말하는 ‘미움’의 의미와, 왜 하필 ‘사십’이 기준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이 사십에 미움을 보인다면 그것은 이미 끝난 것이다" : 子曰 年四十而見惡焉 其終也已 (자왈 연사십이견오언 기종야이)이 말씀은 매우 간결하면서도 날카롭습니다. "見惡 (견오).. 2025. 4. 6.
논어 : 공자의 인생 7단계 1. 공자의 인생 7단계 : 논어 위정편 제4장의 지혜공자의 말씀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구절 중 하나가 바로 논어 위정편 제4장입니다. "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로 시작되는 이 구절은, 인생의 성장과 깨달음을 일곱 단계로 나누어 표현한 것으로, 동양 철학뿐만 아니라 우리 삶의 방향성에도 큰 울림을 줍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짧지만 깊은 말씀을 하나하나 풀어보며, 공자가 말하는 ‘이상적인 삶의 성장 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 :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자왈 오십유오이 지우학)공자는 15세에 비로소 학문에 대한 뜻을 세웠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학(學)’은 단순한 지식 축적을 넘어, 인격 수양과 진리 탐구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입니다. 현대에 빗대자면, .. 2025. 4. 6.
논어 : 나이를 부르는 말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 나는 나이 15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30살에 뜻이 확고하게 섰으며, 40살에는 미혹되지 않았고, 50살에는 하늘의 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으며, 60살에는 남의 말을 듣기만 하면 곧 그 이치를 깨달아 이해하게 되었고, 70살이 되어서는 무엇이든 하고 싶은 대로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 1. 예기 (禮記) : 곡례편 (曲禮篇) • 10세 : 유 (幼) : 이때부터 배우기 시작한다. • 20세 : 약 (弱) : 비로소 갓을 쓴다. • 30세 : 장 (壯) : 집 (家ㆍ妻)을 가진다. • 40세 : 강 (强) : 벼슬을 하는 나이다. • 50세 : 애 (艾) : 관정 (官政)을 맡는다. • 60세 :.. 2022.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