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이란,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 믿고 상습적으로 거짓된 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이다.
1. 유래 : 태양은 가득히 (알랭 들롱 주연)
"태양은 가득히"는 프랑스에서 제작된 "르네 클레망" 감독의 1960년 범죄, 스릴러 영화다.
"알랭 들롱" 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레이몬드 하킴"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소설 속 주인공인 "톰 리플리"는 야망이 높고 머리도 좋지만, 도덕 관념은 부족하고 폭력성도 있는 청년이다. 호텔 종업원인 그는 친구이자, 사교계 명사인 친구 "디키 그린리프"를 살해하고, 그의 신분으로 인생을 즐기게 된다. 그러나 그의 범죄는 "그린리프"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종말을 맞는다.
1960년에는 "프랑스 알랭 들롱" 주연의 영화인 "태양은 가득히(Plein Soleilㆍ르네 클레망 감독)"로 만들어져 신인 배우였던 "알랭 들롱"을 전 세계의 팬들에게 소개했다.
1999년에는 "맷 데이먼ㆍ귀네스 펠트로" 주연의 "리플리"로 재해석되었으며, 한국에서는 MBC "미스 리플리"라는 16부작 드라마로 번안되어 방영되기도 했다. 소설은 1955~1991년까지 36년에 걸쳐, 5부작으로 완결됐다.
2. 리플리 증후군 (Ripley Syndrome)
"패트리샤 하이스미스(미국 소설가)"의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1955)"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자신이 만든 "허구"를 "진실"이라고 믿고, 거짓말ㆍ행동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 현실과 욕망의 차이를 거짓말로 극복하면서, 그 거짓말을 사실로 믿어버리는 증상을 말한다.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허언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① 정의
자신의 상상 속 "허구"를 "사실"이라고 믿는 심리적 장애. "리플리 증후군"이란 용어는 미국 소설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Patricia Highsmith)"가 1955년 발표한 "재능 있는 리플리 씨(The Talented Mr. Ripley)"의 소설 속 인물에서 유래했다.
의학용어로는 "공상 허언증"이라고 하며, 자신이 상상하는 거짓 세계를 스스로도 사실이라고 믿는 증상이다. 이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흔히 자신에게 결여된 것에 대한 "컴플렉스"에서 출발, 거짓으로 다른 사람의 신분을 사칭하고 그 거짓말에서 위안을 느끼며, 사실과 자신의 거짓말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다.
② 증상
성취 욕구가 강한 무능력한 개인이 강렬하게 원하는 것을 현실에서 이룰 수 없을 때 주로 발생한다.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어 피해의식과 열등감에 시달리다가, 상습적이고 반복적인 거짓말을 일삼게 되고, 이 거짓말을 진실로 믿고 행동하게 된다. 1970년대부터 정신과 의사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③ 원인
"허언증"과 유사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로,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대개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욕망을 실현할 수 있는 가상의 세계, 혹은 타인의 삶에 대한 동경이나 과도한 집착의 결과라고 알려져 있으며, 충동적인 행동을 할 때가 많고, 때로 난독증이나 감정조절 장애와 같은 뇌기능 장애가 수반되기도 한다고 보고되었다.
심리학에서는 인지부조화 상태를 해결하려는 방법으로 "리플리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④ 유사한 증상 (허언증)
유사한 증상으로는 "허언증"이 있다. "허언증"은 진실이 아닌 이야기를 그럴듯하게 꾸며서 말하는 것에 아무런 죄의식을 갖지 못하는 병리적 증상이다.
이로 인해서 물리적 이익을 취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익과 관계 없이 타인의 관심을 받기 위한 목적이 더 클 경우가 많다. "허언증" 환자가 거짓말을 할 때에는 "거짓말 탐지기"에도 아무 신호가 잡히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상인과 차이가 있다.
'상식 - 서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FIFA 월드컵 : 쥘 리메 컵 (1930~1970)ㆍFIFA 컵 (1974~ ) (2) | 2022.08.29 |
---|---|
컴플렉스 ② 오이디푸스ㆍ엘렉트라 (호머 콤플렉스)ㆍ프로이트 (0) | 2022.08.27 |
카리스마 (Charisma)ㆍ막스 베버 (0) | 2022.08.27 |
파라독스 (Paradox)ㆍ역설ㆍ이율배반 (二律背反ㆍAntinomy) (0) | 2022.08.26 |
아방가르드 (Avant-garde)ㆍ전위 예술 (前衛藝術) (0) | 2022.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