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언 • 고사성어• 고전/손자병법

손자병법 : 싸움에 원칙은 없다

by 당대 제일 2025. 4. 16.
반응형

아래의 3개 문장은 "손자병법의 전술 철학"에서 핵심 중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손자는 전쟁에서의 승리는 "단순한 힘의 대결이 아니라, 전략의 예술임"을 강조한다.

 

1.  적과 맞서 반드시 지면서도 패하지 않게 하는 방법은 "기 (奇)와 정 (正)"을 섞는 것이다.   (可使必受敵而無敗者 奇正是也 - 가사필수적이무패자 기정시야)

이 말은 얼핏 모순처럼 보이지만, 핵심은 '예측 가능한 전술(正)과 예측 불가능한 전술(奇)'을 섞어 사용하라는 뜻입니다.

  • 正 (정) :  정면 공격, 정규적인 방식 (예: 보통의 진군, 전투 대형 등)
  • 奇 (기) :  기습, 측면공격, 속임수 등 예상치 못한 움직임

Point : 전투에서 "정"으로 적을 끌어들인 뒤, "기"로 결정타를 날리면 이길 수 있습니다. 즉, 정으로 붙고, 기로 이긴다.

 

2. 전쟁에서 바위로 계란을 치듯, 압도적으로 이기는 방법은 "허 (虛) 와 실 (實)"을 섞는 것이다.   (如以碬投卵者 虛實是也 - 여이하투란자 허실시야)

이건 적의 약점을 찌르는 방법을 말해요.

  • 虛 (허) : 비어 있는 곳, 방심한 곳
  • 實 (실) : 방어가 탄탄하거나 병력이 집중된 곳이에요.

Point :  자신은 ‘실’, 즉 준비된 상태에서, 적의 ‘허’, 즉 약한 부분을 치는 전략을 써야 합니다. 마치 단단한 바위(실)로 깨지기 쉬운 계란(허)을 치는 것처럼, 강한 내가 약한 적을 칠 수 있도록 유도하라는 뜻이에요.

 

3. 모든 전투는 "정공법"으로 부딪치고, "변칙"으로 이긴다.   (凡戰者 以正合 以奇勝 - 범전자 이정합 이기승)

이 문장은 손자병법의 전술 이론을 간단하고 강력하게 요약한 말입니다.

  • 정합 (以正合) : 정면전으로 ‘붙는다’
  • 기승 (以奇勝) : 기습/변칙으로 ‘이긴다’

Point :  전투는 겉보기에는 평범하고 정면 승부처럼 보이지만, 승부는 항상 예상 밖의 방식으로 결정난다는 것입니다. 이건 현대 전쟁이나 스포츠, 비즈니스 전략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4. 현대에 적용 방법

  • 비즈니스 : 정공법(정)은 제품 품질, 고객 서비스 같은 기본 역량이고, 변칙(기)은 예기치 않은 마케팅 전략, 경쟁사의 허점을 찌른 가격 정책 등입니다.
  • 축구/ 스포츠 : 기본 포메이션으로 수비를 유도하고, 기습적인 패턴이나 전술 전환으로 득점!
  • 정치/ 외교 : 공개적인 협상(정)을 유지하면서도, 이면 협상(기)으로 실질적 이득을 얻는 방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