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근 • 현대사)/의병 • 독립운동 • 의열단 • 김원봉

사건- 20.12 : 대한 독립군단→ 자유시 참변 후, 분할 재편

by 당대 제일 2022. 10. 24.
반응형

 

"대한독립군단 (大韓獨立軍團)"은 1920.12월 "중·소 국경" 부근인 "밀산(密山ㆍ중국 흑룡강성 계서시 (鷄西市)에 위치한 항일 투쟁지)"에서 "독립군 세력"을 하나로 통합한 "연합부대"이다.

 

1. 대한독립군단 (大韓獨立軍團) :   병력 : 3,500여 명

1920년, "봉오동 전투(1920.06)ㆍ청산리 전투(1920.10)" 등에서 "독립군"에게 참패를 당한 "일본군"이 독립군 토벌작전을 대대적으로 단행하면서, "간도 참변(1920.10)"을 일으켰다.  이에  "북로군정서" 등 독립군 세력들은 "노령(露領) 연해주(沿海州)"로 건너가 "장기 항일전"을 준비하기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독립군"들은 "러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이동 중 1920.12월 "중·소 국경" 부근인 "밀산(密山ㆍ중국 흑룡강성 계서시(鷄西市)에 위치한 항일 투쟁지)"에서 독립군을 통합 및 재편성하여, 하나로 통합한 "연합부대"인 "대한독립군단"을 조직(12개)하였다.

"대한독립군단"의 총재는 "북로군정서" "서일"이었다. 부총재는 "홍범도ㆍ김좌진ㆍ조성환"이었으며, 총사령관에 "김규식", 참모총장에 "이장녕"이 추대되었다. 여단장에 "지청천", 중대장에 "김창완ㆍ조동식ㆍ오광선" 등이 선임되었다. 휘하에 1개 여단을 두고, 그 아래에 "3개 대대ㆍ9개 중대ㆍ27개 소대"가 편성되어 있었으며, 총병력은 3,500여 명이었다. 통합된 "대한독립군단" 조직(12개)은 다음과 같다.

북로군정서 (서일(사진 참조)ㆍ김좌진) : 1920.10 청산리 전투 대승     대한독립군 (홍범도) : 1920.06 봉오동 전투 대승     대한독립단 (지청천)     간도국민회 (구춘선)     대한신민회 (김성배)      의군부 (이범윤)      광복단 (이범윤)     혈성단 (김국초)      도독부 (최명록)     야단 (野團ㆍ김소래)      대한정의군정사 (이규)     군비단 (軍備團ㆍ김백일)

서일

 "간도"지역 "독립 부대"

 총군부 (최진동) : 1920.10 청산리 전투 대승     북로군정서(서일김좌진): 대한독립군단 소속- 1920.10 청산리 전투 대승     독립군 (홍범도): 대한독립군단 소속 - 1920.06 봉오동 전투 대승     국민회군 (안무)

 "러시아" 지역 "한인 의병대"

  (사령관- 김표돌부사령관- 박개서김덕보): 대표적인 무력군    다반군 (최 니콜라이): 대표적인 무력군    독립단군 (박 그리골리)

 이항군 (임표ㆍ고명수→ 박일리아): "상해 파 고려공산당"이 장악한 "상해 임시정부" 지지

 기타 부대

 자유 대대 : "이르쿠츠크 파(러시아) 고려공산당"이 장악한 "대한국민 의회" 지지       이청천 부대 (지청천)

자유시

연해주 자유시 (러시아 스보보드니ㆍ이만시(Iman)) 안전지대 위치 : "러시아 제야 강(Zeya river)"변에 위치한 "알렉세예브스크(Alekseyevsk)"라는 마을이며, 현재는 "스보보드니(Svobodny)"라는 지명으로 불린다. 러시아어로 "스보보다(Svoboda)"가 "자유"를 뜻하기 때문에 "자유시"라고 불렸다. 그리고 "제야 강"이 흘러, 흑룡강(黑龍江)과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중국의 국경도시 "헤이허(黑河)"의 지명을 따서 "흑하사변(黑河事變)"이라고도 한다.

"자유시"에 집결한 부대 (1921.01~03) :  밀산 이만 자유시

 박두희 (북로군정서)      • 이동휘 연계 부대      • 지청천 부대      • 홍범도 부대        • 안 무 부대

 "자유시"에 가지 않은 부대

• 김좌진 (북로군정서) : 밀산→ 이만→ 북만주로 회군    • 기타 부대 (이범석ㆍ김홍일 등) : 밀산에서 철수

 해 체 (1921.06): 1921.06월, "자유시 참변"이후, "대한독립군단"은 여러 부대로 재편되었다.

• 고려혁명군 (오하묵): 1921.08 이르쿠츠크 주 이르쿠츠크→ "적군 제5군"으로 부설     • 대한의용군사회 (이용): 1921.10 연해주 이만 시 (달네레첸스크)→ "적군 특별보병대대"로 재편      대한독립군단 (이범윤ㆍ김좌진) : 1922.08 흑룡강성 동녕현 (東寧縣)→ 잔존병력 재조직      적기단 (최봉설): : 1923.01 연해주 해삼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고려혁명군 (김규식): : 1923.05 길림성 연길현 (延吉縣)      대한독립군정서 (현천묵) : 1924.03 흑룡강성 동빈현 (同賓縣)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