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1946.02.08일에 설립되었으며, "신탁통치 반대"라는 공통의 목적으로, "이승만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김구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가 통합하여, 출범한 사회운동단체ㆍ정치단체로, "촉성은 빨리 이룬다."는 뜻이다.
1. 국민회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마산지역) → 한민회 → 국민회
• 결 성 : 1945.09
• 목 적 : "경남 창원시 마산 창동 공락관"에서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탈퇴하고, 결성된 우익단체로, 이 단체는 "미군정"에 적극 협조하였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건준): "여운형"이 일제강점기 말에 조직한 지하조직인 "조선건국동맹"을 중심으로, "8ㆍ15광복" 이후에 출범시킨 정치조직)
초기 이들은 1945.08.17일에 결성된 "마산지역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회원들 중 하나였다. 여기에는 "사회주의자ㆍ민족주의자ㆍ무정부주의자ㆍ친일반민족행위자" 출신들이 대거 참여했었다. 이 단체는 "마산지역 치안"을 실질적으로 담당하였는데, "치안대장" 등의 핵심요직을 진보적인 성향의 인물들이 독점하자, 내부 분열이 일어났다. 이후 "친일 인사ㆍ무정부주의자"들이 대거 탈퇴하는 사건이 일어나, "한민회"라는 조직을 만들게 된다. "한민회"는 "미군정"에 적극 협조하였으며, 이후 "국민회(國民會)"로 명칭을 변경하게 된다.
2.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6.06월 "민족통일총본부"로 재발족
(독촉ㆍ대촉국ㆍ국민회ㆍ독촉국민회ㆍ독립촉성국민회)
• 결 성 : 1946.02.08. → 1946.06월 "민족통일총본부"로 재발족
• 목 적 : 반탁운동단체
• 인 물 : 총재 (이승만)ㆍ부총재 (김구)
"신탁통치 반대"라는 공통의 목적으로, "이승만(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김구(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가 통합하여, 출범한 사회운동단체ㆍ정치단체ㆍ"촉성은 빨리 이룬다."는 뜻이다. "민족통일총본부"로 재발족 이후, "김구ㆍ김규식" 등의 "남북협상파"는 "제헌국회 총선"에 불참하게 된다. 이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독자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 이들은 이후 "제헌국회"에 참여하여, "이승만이 대통령에 선출되는 과정ㆍ남한 단독정부 수립ㆍ 제헌헌법 제정" 등에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3. 조선민족청년단 (족청ㆍ族靑) → 대한청년단 (한청)
(족청 계는 "자유당 창당"의 핵심세력)
• 결 성 : 1946.10 (서울에서 조직)
• 목 적 : 청년운동단체
• 설 립 : 이범석 (광복군 참모장ㆍ상해 임시정부의 광복군 광복군 육군 중장)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여 6명의 당선자를 냈으며, "이승만 집권" 뒤 "대한청년단"에 흡수ㆍ통합되었다. 1949.01.20일 "대한청년단"에 흡수됐다. 이후 "대한청년단 족청 계"는 "자유당 창당"의 핵심세력이 되었으나, 그 수장인 "이범석"이 권력투쟁에서 패배한 후, "자유당"에서 배제되었다.
4. 서북청년회 (서북청년단ㆍ서청) → 대동청년단 → 대한청년단 (한청)
• 결 성 : 1946.11.30일 - 이름처럼 "한반도 서북 지역"에서 월남한 이북 출신ㆍ청년단체 (대한혁신청년회 + 함북청년회 + 황해도회청년부 + 북선 청년회 + 양호단 + 평남 동지회 + 평안 청년회 등)를 통합하여, 서울 YMCA에서 창단
• 목 적 : 보수운동 단체ㆍ극우 반공주의 청년단체 (김구 살해) → 같은 우익조차 외면했다.
• 사 건 : 제주 4ㆍ3 사건(1948.04)ㆍ보도연맹 학살사건(1950.06)ㆍ국민방위군 사건(1951.01)
• 인 물 : 위원장 (선우기성ㆍ1946.02월 월남) / 이성순 (시라소니): 깡패ㆍ서북청년단 감찰부장 / 영락교회 (한경직 목사): 교회의 청년들이 결성한 "서북청년회"가 "서북청년단" 시초
• 사무실 : 동아일보 사옥 (한국민주당 본부)
• 활동자금 : 실업가 (한반도 서북부 출신)ㆍ미 군정청 고위관리들ㆍ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이승만 계열)에 의존
5. 대동청년단 → 대한청년단 (한청)
• 결 성 : 1947.09.21
• 목 적 : 모든 청년운동단체들의 통합
• 설 립 : 지청천 (상해 임시정부의 광복군 총사령관)
원래 "지청천"은 "광복군"을 이끌고 국내에 진주하려하였으나, "연합군"의 반대로 무산되어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했다. "지청천"은 우선 국내의 "오광선"에게 "광복군의 국내 지대 설립"을 명령한다. 우선 "국내 32개 단체"가 통합에 호응하여, "대동청년단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대동청년단"의 기원이 시작되었다.
6. 대한청년단 (한청)
• 결 성 : 1948.12.19
• 목 적 : 정당 및 정치깡패 단체
• 인 물 : 총재 (이승만)ㆍ단장 (신성모)ㆍ최고위원 (장택상ㆍ지청천ㆍ전진한ㆍ서상천ㆍ유진산ㆍ강낙원)
"이승만"은 "대동청년단"을 중심으로 "청년조선총동맹ㆍ국민회청년단ㆍ대한독립청년단ㆍ서북청년회" 등 전국 20여 개의 청년단체를 흡수·통합하여, "대한청년단"을 결성하였다. "한민회"는 "미군정"에 적극 협조하였으며, 이후 "국민회(國民會)"로 명칭을 변경하게 된다.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은 각지에 난립한 "우익 청년단체들"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우익 청년단체들"은 "좌익 청년단체들"과의 경쟁에서는 큰 역할을 했지만, "정부 수립" 이후 중요성은 이전보다 떨어졌다. "이승만"은 이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자신의 정치적 기반으로 삼고, 덤으로 "이범석ㆍ지청천" 같은 청년단체 지도자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조선민족청년단(이범석)"은 처음에는 합류를 거부했지만, "이승만"의 압박에 못 이겨, 1949.01.20일 "대한청년단"에 합류하였다. 이후 "대한청년단"은 "족청 계ㆍ비 족청 계"로 분열되었다.
7. 삼우회 (三友會)
• 결 성 : 1948.12.19
• 목 적 : 광복 당시 활동한 테러 단체 (각지로 자신의 회원들을 "경찰서장ㆍ보통경찰"로 파견해 "농민위원회ㆍ노동조합ㆍ민주청년동맹" 등 "좌익 단체" 회원들을 살해)
• 인 물 : 김중남 (광복청년단 위원장)ㆍ서한두 (광복청년단 거창군단 단장)ㆍ송태원 (광복청년단 의성군단 단장)ㆍ장택상 (극우 테러를 비호하고 묵인)ㆍ노덕술 (해방 이후, 테러와 연루)
"이승만"의 통제 하에 있고, "광복청년단ㆍ독립촉성청년동맹 대표들"이 가입하고 있었다.
'한국 (근 • 현대사) > 이승만 • 김구 • 박정희 • 정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체 ③ 백의사 (白衣社)ㆍ남의사 (藍衣社) (2) | 2022.09.23 |
---|---|
단체 ② 서북청년단 (서청) → 대한청년단 (한청) (2) | 2022.09.23 |
장면 ② 친일논란ㆍ무능력자?ㆍ대통령 취임 음모론 (1) | 2022.09.23 |
장면 ① 총리 (7대ㆍ의원내각제ㆍ1899~1966ㆍ66세) (0) | 2022.09.23 |
윤보선 ② 516 군사정변 방조 ?ㆍ평가ㆍ사상ㆍ신념 (2) | 2022.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