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은 마치 미치지 못할 것 같은 갈급한 마음으로 배움에 임해야 하며, 배운 것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하듯 배움에 임해야 한다.
1. 해석
학문은 마치 미치지 못할 것 같은 갈급한 마음으로 배움에 임해야 하며, 배운 것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하듯 배움에 임해야 한다.
• 학여불급 (學如不及)
배우는 것은 마치 미치지 못할 것처럼" 또는 "아직 배우지 못한 것처럼" 배워야 한다는 뜻입니다. 즉, 배우고자 하는 마음이 항상 부족하다고 느끼고, 끊임없이 더 배우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구절은 배움에 대한 갈급한 마음을 강조하며, 아직 배울 것이 많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 유공실지 (猶恐失之)
"배운 것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하듯" 배워야 한다는 말로, 배운 것을 소중히 여기고, 그것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배운 지식이나 진리를 쉽게 잊지 않도록 끊임없이 복습하고 마음속에 새겨두어야 한다는 가르침입니다.

2. 의미
공자께서 이 말씀을 하신 이유는, 학문을 배우는 태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배움이 단지 지식이나 정보의 습득에 그쳐서는 안 되며, 깊은 학문을 추구하는 열정과 그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실천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십니다.
① 배움에 대한 끊임없는 갈
"미치지 못할 것 같은 갈급한 마음"은 배움을 멈추지 않고 끝없이 추구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배울 것이 끝이 없다는 마음을 가지고, 끊임없이 배우려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이것은 겸손한 자세를 의미하며, 배움에 끝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항상 더 많은 것을 배우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가르침입니다.
② 배운 것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배운 것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하듯" 배워야 한다는 것은 배운 지식이나 경험을 쉽게 잊지 말고 그것을 잘 지켜나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배운 것을 항상 기억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습과 실천을 통해, 배운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그것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교훈입니다.
3. 현대에의 적용
공자께서 말씀하신 배움에 대한 태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특히, 지식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우리는 항상 배우고, 배우고 또 배워야 합니다. 단지 책을 읽고 공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배운 것을 실제로 실천하고, 잃지 않기 위해 꾸준히 복습하며 실천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① 직장에서의 학습
직장에서 새로운 기술이나 지식을 배울 때, "아직 배우지 못한 것처럼" 배우고, 배운 것을 "잃어버릴까 두려워" 계속 연습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하루의 업무 속에서 배운 내용을 계속적으로 적용하고 지식의 깊이를 더해 나가는 것이 성공의 열쇠입니다.
② 개인적인 성장
개인적으로 자기계발을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직 배운 것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가지며, 배운 것들을 꾸준히 복습하고 잃어버리지 않도록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결론
공자께서 하신 이 말씀은 배움에 대한 자세에 대한 중요한 교훈입니다. 우리는 배움에 대해 갈급한 마음을 가지고, 항상 부족하다고 느끼며, 배운 것을 잃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실천하고 복습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받아야 합니다. 이 태도는 지식의 깊이를 더하고, 지식이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게 합니다.
'명언 • 고사성어 • 고전 • 속담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 군자(君子) 상달ㆍ소인(小人) 하달 (0) | 2025.04.27 |
---|---|
논어 : 미리 미래를 준비하자 (2) | 2025.04.26 |
논어 : "삶"도 잘 알지 못하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 (0) | 2025.04.24 |
논어 : 군자 (君子)와 소인 (小人)의 차이 (0) | 2025.04.23 |
논어 : 군자가 지녀야 할 생각 (9가지) (0)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