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언 • 고사성어 • 고전 • 속담/손자병법

손자병법 : 정보 통제ㆍ심리 통제ㆍ불필요한 판단 배제

by 당대 제일 2025. 5. 28.
반응형

< 전쟁에서 "정보 통제ㆍ심리 통제ㆍ불필요한 판단 배제"의 중요성 >

"손자"는 군대를 하나의 심리적 유기체로 보았습니다작전이 노출되면 예측당하고, 병사가 스스로 판단하면 혼선이 생기며, 조직에 미신과 의심이 퍼지면 사기가 꺾입니다. 따라서 그는 리더에게 요구합니다

"전략은 비밀로, 판단은 리더에게 집중시켜, 불필요한 공포는 제거하고, 전진만 남기라" 이는 "조직기업군사심리전위기관리"에 모두 통용되는 탁월한 전략의 본질입니다조용한 통제 속에서 "명확한 전진", 이것이 "손자의 군리 (軍理)"입니다손자병법의 이 구절들은 전쟁에서 정보 통제, 심리 통제, 불필요한 판단 배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내용입니다. 이를 하나씩 해석하고, 현대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군대를 운용하고 계책을 세움은 측정 불가해야 한다.

運兵計謀 爲不可測  (운병계모 위불가측)

이 말은 군대의 "작전전략은 외부에서 예측할 수 없어야 한다"는 뜻입니다병력을 어떻게 움직이고, 어떤 계책을 쓸 것인지는 철저히 기밀로 유지되어야 하며적뿐 아니라 내부 병사들도 완전히 알 수 없도록 해야 한다는 전략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습니다이는 "계획은 속에 감추고, 결과는 행동으로 드러내라""손자"의 기본 원칙 중 하나입니다.

< 현대에의 적용 >

"기업 전략정치 전략군사 작전포츠 전략" 등 모든 경쟁 상황에서 전략은 드러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으로 적용됩니다"중요한 결정은 핵심 리더만 알고, 불필요한 정보 노출을 최소화"해야 혼선과 누설을 막고, 기민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2. 사람이 자기 마음대로 판단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使人不得慮  (사인부득려)

이는 전장에서 말단 병사나 일반인이 전체 전략을 판단하고, 예측하는 것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병사는 명령을 따라야 하며, 자신의 추측이나 해석으로 독자적으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입니다판단의 혼란은 조직 전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에, "정보해석 권한"은 상부에 집중되어야 합니다.

< 현대에의 적용 >

기업이나 조직에서 모든 정보를 개방하고 자유롭게 판단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프로젝트나 위기 상황일수록 지휘 체계는 명확히 하고, 불필요한 "하향 판단권"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불길한 징조를 금하고, 의심을 제거하면, 죽음이 닥쳐도 막힘없이 전진할 수 있다.

禁祥去疑 至死無所之  (금상거의 지사무소지)        (): 불길한 징조      (): 의심

이 말은 전쟁 중 쓸데없는 "미신징조" 따위에 휘둘리지 않고, "의심 없이 행동하면 두려움도 사라진다"는 뜻입니다.

군대가 "미신"에 흔들리고, 명령에 의심을 품으면, 정신력이 무너지고 싸울 수 없습니다.

오직 임무에만 집중하고, 명확한 리더십 아래 전진하면, "죽음의 길"도 돌파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 현대에의 적용 >

위기 상황에서 팀이나 조직이 "의심불신불확실성소문비합리적 공포"에 휘둘리면, 기능이 마비됩니다리더는 "근거 없는 소문미신의혹과도한 추측"을 단호히 배제하고, 확신을 심어야 합니다"명확한 지침비전"을 통해, 조직이 의심 없는 전진을 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 요점 정리 >

운병계모 위불가측 (작전은 예측 불가해야 한다) 전략은 핵심 인물만 알고 외부·내부에 모두 비밀로 유지
사인부득려 (하위자가 자기 판단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하위 조직원의 독자적 판단을 통제하고 일관된 행동 유도
금상거의 지사무소지 (미신과 의심을 제거하면 죽음도 두렵지 않다) 불필요한 루머, 공포, 의심을 제거하고 명확한 목표 제시
 
반응형

댓글